$\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과 우울은 다른가? : Zung 자기보고식 불안 및 우울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Are Anxiety and Depression Distinct? : Exploratory Factor Analysisof Zung's Self-Rating Anxiety and Depression Scale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0 no.1, 2013년, pp.21 - 27  

정정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및 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대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및 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is a controversy regard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Some believe that these two symptoms are basically the same construct, that is, both measure what is called 'general distress' or two phenomena are distinct experiences which often coexist. To further un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불안과 우울이 독립된 개념인지, 아니면 한 가지의 일반적 불편감(general distress)를 나타내는 것인지 혹은 공통요인과 불안, 우울의 고유증상으로 구성된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BDI와 BAI 외에 우울과 불안을 측정하는 척도에 대한 연구가 없고, 영어권 외의 연구가 없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대표적인 자가보고식 불안 척도인 Zung의 자기보고식 불안 척도(Self-Rating Anxiety Scale, 이하 SAS)와 자기 보고식 우울 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이하 SDS), 두 척도를 결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불안 및 우울증상들의 타당성 있는 요인 구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높은 NA는 공포, 불안, 슬픔, 짜증, 외로움 등을 나타내는데 이는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이 공유하는 증상이다.17) 이렇게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은 서로 다른 요인과 공통된 요인을 동시에 가진다는 것이 또 하나의 가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 연구는 기존의 우울이나 불안을 측정하는 척도들이 주로 NA를 측정하기 때문에 불안과 우울을 타당하게 평가하지 못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 3)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경우였다. 한편, 배제 기준은 1) 정신병, 2) 정신 지체, 3) 기질성 정신 질환이나 신경학적 질환, 4) 신체적 장애로 인해 설문지 작성이 불가능한 경우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이란 무엇인가? 1) 불안은 감정, 정서 또는 기분으로 표현되는 정신적인 현상이며 불안장애뿐만 아니라 다른 행동장애에도 나타난다.2-4) 반면 우울은 슬픔, 주관적인 불행, 무기력감 및 실망 등의 기분의 저하 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식욕 감소, 성욕 감소및 체중 감소 등과 같은 신체 증상을 포함한다.5) 더욱이 불안 장애와 우울장애는 매우 흔한 정신 질환이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은? 정신건강의학과 환자들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은 불안과 우울이다.1) 불안은 감정, 정서 또는 기분으로 표현되는 정신적인 현상이며 불안장애뿐만 아니라 다른 행동장애에도 나타난다.
미국에서 실시된 대규모의 조사에 의하면, 불안 장애와 우울장애의 유병률은 어떠한가? 5) 더욱이 불안 장애와 우울장애는 매우 흔한 정신 질환이다. 미국에서 실시된 대규모의 조사에 의하면 정신 질환 중 1위와 2위를 차지할 만큼 유병률이 높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lb LC, Brodie HK. Modern clinical psychiatry. 10th ed. Philadelphia: Sauders;1982. 

  2. Sarason IG. Empirical findings and theoretical problems in the use of anxiety scales. Psychol Bull 1960;57:403-415. 

  3. Krause MS. The measurement of transitory anxiety. Psychol Rev 1961;68:178-189. 

  4. Cattell RB. Psychological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anxiety. J Neuropsychiatr 1964;5:396-402. 

  5. Akiskal HS. Mood disorders: Clinical features. In: Kaplan HI, Sadock BJ editor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9th ed. Baltimore: Williams & Willkins;1989. p.1693-1733. 

  6. Kessler RC, Chiu WT, Demler O, Merikangas KR, Walters EE.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2005;62:617-627. 

  7. Wittchen HU, Kessler RC, Pfister H, Lieb M. Why do people with anxiety disorders become depressed? A prospective-longitudinal community study. Acta Psychiatr Scand Suppl 2000:14-23 

  8. Wittchen HU. Critical issues in the evaluation of comorbidity of psychiatric disorders. Br J Psychiatry Suppl 1996:9-16. 

  9. Di Nardo PA, Barlow DH. Syndrome and symptom comorbidity in the anxiety disorders. In: Maser JD, Cloniger CR editors. Comorbidity in anxiety and mood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0. p.205-230. 

  10. Mountjoy CQ, Roth M. Stud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states. Part 1. Rating scales. J Affect Disord 1982;4:127-147. 

  11. Brown TA, Barlow DH. Comorbidity among anxiety disorders: implications for treatment and DSM-IV. J Consult Clin Psychol 1992; 60:835-844. 

  12. Haslam N. Categorical versus dimensional models of mental disorder: the taxometric evidence. Aust N Z J Psychiatry 2003;37:696-704. 

  13. Krueger RF, Piasecki TM. Toward a dimensional and psychometrically- informed approach to conceptualizing psychopathology. Behav Res Ther 2002;40:485-499. 

  14. Boyer P. Do anxiety and depression have a common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Acta Psychiatr Scand Suppl 2000:24-29. 

  15. Beck R, Benedict B, Winkler A. Depression and anxiety: integrating the tripartite and cognitive content-specificity assessment models. J Psychopathol Behav Assess 2003;25:251-256. 

  16. Boyd CP, Gullone E. An investigation of negative affectivity in Australian adolescents. J Clin Child Psychol 1997;26:190-197. 

  17. Reidy J, Keogh E. Testing the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Mood and Anxiety Symptoms Questionnaire using a british sample. Pers Individ Dif 1997;23:337-344. 

  18. Clark LA, Watson D. Tripartite model of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metric evidence and taxonomic implications. J Abnorm Psychol 1991;100:316-336. 

  19. Laurent J, Ettelson R. An examination of the tripartite model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its application to youth. Clin Child Fam Psychol Rev 2001;4:209-230. 

  20. Hewitt PL, Norton GR. The Beck Anxiety Inventory: Apsychometric analysis. Psychol Assess 1993;5:408-412. 

  21. Clark DA, Steer RA. Common and speciic dimensions of self-reported anxiety and depression: Implications for the cognitive and tripartite models. J Abnorm Psychol 1994;103:645-654. 

  22. Steer RA, Clark DA, Beck AT, Ranieri WF. Common and specific dimensions of self-reported anxiety and depression: the BDI-II versus the BDI-IA. Behav Res Ther 1999;37:183-190. 

  23. Zung WW.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1965; 12:63-70. 

  24. Lee JH.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Yeungnam Univ J Med 1995;12:292-305. 

  25. Zung WW.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Psychosomatics 1971;12:371-379. 

  26. Lee JH.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Yeungnam Univ Med J 1996;13:279-294. 

  27. Enns MW, Cox BJ, Parker JD, Guertin J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Beck Anxiety and Depression Inventorie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J Affect Disord 1998;47:195-200. 

  28. den Hollander-Gijsman ME, de Beurs E, van der Wee NJ, van Rood YR, Zitman FG. Distinguishing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a proposal for an extension of the tripartite model. Eur Psychiatry 2010;25:197-205. 

  29. Feldman LA. Distinguish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self-report: evidence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nonclinical and clinical samples. J Consult Clin Psychol 1993;61:631-638. 

  30. Stulz N, Crits-Christoph P. Distinguishing anxiety and depression in self-report: purificat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II. J Clin Psychol 2010;66:927-9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