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삶의 질 저하
Cognitive Impairment and Decreas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Subsyndromal Depression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0 no.2, 2013년, pp.45 - 53  

류재성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제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문두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제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창인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제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준혁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제주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Non-major depression with fewer symptoms than required for 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has consistently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In this study, we aim to estimate the cog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임상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그 중요성에 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아증후군적 우울증 또한 주요우울장애와 마찬가지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인지 기능, 정신 건강 및 신체적 건강 등 삶의 질 저하를 야기할 것이라는 가설하에, 우울증을 주소로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아증후군적 우울증의 빈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삶의 질의 저하 및 일생 생활에 대한 기능적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장점은 진단기준에 맞는 주요우울장애와 역치 이하의 우울증을 비교한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24) 인지기능과 삶의 질 영역에 대해 아증후군적 우울증군과 주요우울장애군, 정상 대조군을 비교 평가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진단기준에 맞는 우울장애와 역치 이하의 우울증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설문지로 평가하거나,45-49) 전문가가 아닌 숙련되지 못한 면담자에 의해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진행되었다.
  • 12)25) 따라서, 기존 DSM-IV의 우울장애의 ‘하루 종일 또는 2주 연속’의 엄격한 시간에 진단기준으로는 노년기 우울증의 아증후군적 증상을 찾아내기는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 기준의 역치를 낮추어서 ‘2주 중 1주 이상, 하루 중 1/2 이상’ 충족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의 아증후군적 우울증의 진단기준은 우울증의 핵심증상을 요구하지 않아 진단적 특이도가 낮은 Judd 등의 진단기준6-8)과 시간 기준이 없어 아증후군적 우울증이 과도하게 진단되는 Lyness 등의 진단기준9)1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정의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증후군적 우울증이란 무엇인가? 아증후군적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대해 Judd 등은 DSM-IV의 9개의 우울증상 중에서 우울감 또는 흥미 상실의 핵심증상 없이 최소 2개 이상의 증상이 최소 2주 동안에 대부분 또는 항상 동안에 존재하는 경우를 아증후군적 우울증으로 정의하였고,6-8) Lyness 등은 DSM-IV 9개의 우울증상 중에서 증상의 지속기간, 연속성에 대한 시간 기준을 요구하지 않았지만, 우울감 또는 흥미의 상실과 같은 핵심증상 한 가지는 꼭 포함하면서 최소 2개 이상의 증상이 있는 경우를 아증후군적 우울증으로 정의하였다. 9)10) 일부 그룹에서는 특정 우울척도 점수의 절단점(cutoff point)을 기준으로 아증후군적 우울증을 진단 하는 등,11-13) 현재까지 통일된 진단기준은 없다.
현재 우울증을 정의 할 때 무엇을 이용하는가? 현재 우울증을 정의할 때 주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이하 DSM-IV)2)의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을 이용하지만, 실제로 임상현장과 지역사회에서 더 쉽게 만날 수 있는 우울증 환자는 DSM-IV의 엄격한 주요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3) 그리고, 노년층에서는 주요우울장애 이외의 우울증에서 더 많은 동반질환들이 발견된다.
DSM-IV의 9개의 우울증상 중에서 우울감 또는 흥미 상실의 핵심증상 없이 최소 2개 이상의 증상이 최소 2주 동안에 대부분 또는 모든 시간 동안에 존재하는 경우의 진단기준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첫 번째 기준은 DSM-IV의 9개의 우울증상 중에서 우울감 또는 흥미 상실의 핵심증상 없이 최소 2개 이상의 증상이 최소 2주 동안에 대부분 또는 모든 시간 동안에 존재하는 경우이다.6-8) 이 기준에서는 우울증상 중 핵심증상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우울증의 정서적, 인지적인 증상이 없으면서 신체증상, 신경식물증상(neurovegetative symptom)만 있는 경우에도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로 진단할 수 있어 진단의 특이도(specificity)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3) 두 번째 기준은 DSM-IV 9개의 우울증상 중에서 최소 2개 이상의 증상이 있고 그 중에 우울감 또는 흥미의 상실과 같은 핵심증상 한 가지는 꼭 포함해야 하지만, 증상의 지속기간, 연속성에 대한 시간에 대한 기준을 요구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Park JH, Lee JJ, Lee SB, Huh Y, Choi EA, Youn JC, et al. Preval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 in an elderly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J Affect Disord 2010;125:234- 240.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3. Park JH, Kim KW. Subsyndromal depression. Korean J Biol Psychiatry 2011;18:210-216. 

  4. Jeong HG, Lee JJ, Lee SB, Park JH, Huh Y, Han JW, et al. Role of severity and gender in the association between late-life depression and all-cause mortality. Int Psychogeriatr 2013;25:677-684. 

  5. Pietrzak RH, Kinley J, Afifi TO, Enns MW, Fawcett J, Sareen J. Subsyndromal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course, and risk for incident psychiatric outcomes. Psychol Med 2012:1-14. [Epub ahead of print] 

  6. Judd LL, Rapaport MH, Paulus MP, Brown JL. Subsyndromal symptomatic depression: a new mood disorder? J Clin Psychiatry 1994;55 Suppl:18-28. 

  7. Judd LL, Akiskal HS, Paulus MP. The rol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ubsyndromal depressive symptoms (SSD) in unipolar major depressive disorder. J Affect Disord 1997;45:5-17; discussion 17-18. 

  8. Goldney RD, Fisher LJ, Dal Grande E, Taylor AW. Subsyndromal depression: prevalence, use of health services and quality of life in an Australian population.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04;39: 293-298. 

  9. Lyness JM, Heo M, Datto CJ, Ten Have TR, Katz IR, Drayer R, et al. Outcomes of minor and subsyndromal depression among elderly patients in primary care settings. Ann Intern Med 2006;144:496-504. 

  10. McAvay GJ, Bruce ML, Raue PJ, Brown EL. Depression in elderly homecare patients: patient versus informant reports. Psychol Med 2004;34:1507-1517. 

  11. Lyness JM, Caine ED, King DA, Cox C, Yoediono Z. Psychiatric disorders in older primary care patients. J Gen Intern Med 1999;14:249- 254. 

  12. Chopra MP, Zubritsky C, Knott K, Have TT, Hadley T, Coyne JC, et al. Importance of subsyndromal symptoms of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Am J Geriatr Psychiatry 2005;13:597-606. 

  13. da Silva Lima AF, Fleck M, Pechansky F, de Boni R, Sukop P.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instrument (WHOQoL-BREF) in alcoholic males: a pilot study. Qual Life Res 2005;14:473-478. 

  14. Yoo SW, Kim YS, Noh JS, Oh KS, Kim CH, Namkoong K, et al.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and Mood 2006;2:50-55. 

  15. Kim JM, Prince MJ, Shin IS, Yoon JS. Validity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among cognitively impaired Korean elderly and development of a 15-item short version (KGDS-15). Int J Methods Psychiatr Res 2001;10:204-210. 

  16. Lee DY, Lee JH, Ju YS, Lee KU, Kim KW, Jhoo JH, et al.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older people in an urban population of Korea: the Seoul study. J Am Geriatr Soc 2002;50:1233-1239. 

  17. Youn JC, Kim KW, Lee DY, Jhoo JH, Lee SB, Park JH, et al. Development of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09;27:310-317. 

  18. Han CW, Lee EJ, Iwaya T, Kataoka H, Kohzuki M.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health related QOL of healthy elderly people and elderly patients in Korea. Tohoku J Exp Med 2004;203:189-194. 

  19. Nam BH. Tes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SF-36 Health Surve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02. 

  20. Mackin RS, Insel P, Aisen PS, Geda YE, Weiner MW;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Longitudinal stability of subsyndromal symptoms of depression in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relationship to conversion to dementia after 3 years. Int J Geriatr Psychiatry 2012;27:355-363. 

  21. Chuan SK, Kumar R, Matthew N, Heok KE, Pin NT. Subsyndromal depression in old age: clinical significance and impact in a multi-ethnic community sample of elderly Singaporeans. Int Psychogeriatr 2008;20:188-200. 

  22. Lee MJ, Hasche LK, Choi S, Proctor EK, Morrow-Howell N. Comparison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ubthreshol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community long-term care. Aging Ment Health 2013;17:461-469. 

  23. Cuijpers P, Vogelzangs N, Twisk J, Kleiboer A, Li J, Penninx BW. Differential mortality rates in major and subthreshold depression: meta- analysis of studies that measured both. Br J Psychiatry 2013;202: 22-27. 

  24. Moore MT, Brown TA. Are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dysthymic disorder, and their subthreshold variants? J Nerv Ment Dis 2012;200:766-772. 

  25. Geiselmann B, Bauer M. Subthreshold depression in the elderly: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istinction? Compr Psychiatry 2000;41(2 Suppl 1):32-38. 

  26. Rodriguez MR, Nuevo R, Chatterji S, Ayuso-Mateos JL. Definitio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bthreshold depressive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BMC Psychiatry 2012;12:181. 

  27. Rohling ML, Green P, Allen LM 3rd, Iverson GL. Depressive symptoms and neurocognitive test scores in patients passing symptom validity tests. Arch Clin Neuropsychol 2002;17:205-222. 

  28. Naismith SL, Hickie IB, Turner K, Little CL, Winter V, Ward PB, et al.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clinical, etiological and genetic risk factors. J Clin Exp Neuropsychol 2003;25:866-877. 

  29. Mowla A, Ashkani H, Ghanizadeh A, Dehbozorgi GR, Sabayan B, Chohedri AH. Do memory complaints represent impaired memory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Depress Anxiety 2008;25:E92-E96. 

  30. Abas MA, Sahakian BJ, Levy R. Neuropsychological deficits and CT scan changes in elderly depressives. Psychol Med 1990;20:507-520. 

  31. Alexopoulos GS, Meyers BS, Young RC, Mattis S, Kakuma T. The course of geriatric depression with "reversible dementia": a controlled study. Am J Psychiatry 1993;150:1693-1699. 

  32. McAllister TW.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affective disorders. Compr Psychiatry 1981;22:572-586. 

  33. Weingartner H, Cohen RM, Murphy DL, Martello J, Gerdt C. Cognitive processes in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81;38:42-47. 

  34. Beats BC, Sahakian BJ, Levy R. Cognitive performance in tests sensitive to frontal lobe dysfunction in the elderly depressed. Psychol Med 1996;26:591-603. 

  35. Simpson S, Baldwin RC, Jackson A, Burns AS. Is subcortical disease associated with a poor response to antidepressants? Neurological, neuropsychological and neuroradiological findings in late-life depression. Psychol Med 1998;28:1015-1026. 

  36. Baldwin R, Jeffries S, Jackson A, Sutcliffe C, Thacker N, Scott M, et al. Treatment response in late-onset depression: relationship to neuropsychological, neuroradiological and vascular risk factors. Psychol Med 2004;34:125-136. 

  37. Kral VA, Emery OB. Long-term follow-up of depressive pseudodementia of the aged. Can J Psychiatry 1989;34:445-446. 

  38. Kral VA.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le dementia (Alzheimer type) and depression. Can J Psychiatry 1983;28:304-306. 

  39. Green RC, Cupples LA, Kurz A, Auerbach S, Go R, Sadovnick D, et al.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Alzheimer disease: the MIRAGE Study. Arch Neurol 2003;60:753-759. 

  40. Sachs-Ericsson N, Joiner T, Plant EA, Blazer DG.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Am J Geriatr Psychiatry 2005;13:402-408. 

  41. Royall DR, Palmer RF.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does not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bsequent cognitive decline. Alzheimers Dement 2012. [Epub ahead of print] 

  42. Mackin RS, Insel P, Tosun D, Mueller SG, Schuff N, Truran-Sacrey D, et al. The Effect of Subsyndromal Symptoms of Depression and White Matter Lesions on Disability for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m J Geriatr Psychiatry 2012. [Epub ahead of print] 

  43. Potvin O, Hudon C, Grenier S, Preville M. Non-essential symptoms of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no dementia (CIND)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without dysphoria or anhedonia. Int Psychogeriatr 2010;22:1344-1352. 

  44. Grabovich A, Lu N, Tang W, Tu X, Lyness JM. Outcomes of subsyndromal depression in older primary care patients. Am J Geriatr Psychiatry 2010;18:227-235. 

  45. Coulehan JL, Schulberg HC, Block MR, Janosky JE, Arena VC.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medical co-morbidity in a primary care clinic. Int J Psychiatry Med 1990;20:335-347. 

  46. Froom J, Aoyama H, Hermoni D, Mino Y, Galambos N. Depressive disorders in three primary care populations: United States, Israel, Japan. Fam Pract 1995;12:274-278. 

  47. Jaffe A, Froom J, Galambos N. Minor depression and functional impairment. Arch Fam Med 1994;3:1081-1086. 

  48. Mino Y, Aoyama H, Froom J. Depressive disorders in Japanese primary care patients. Fam Pract 1994;11:363-367. 

  49. Tollefson GD, Souetre E, Thomander L, Potvin JH. Comorbid anxious signs and symptoms in major depression: impact on functional work capacity and comparative treatment outcomes. Int Clin Psychopharmacol 1993;8:281-293. 

  50. Broadhead WE, Blazer DG, George LK, Tse CK. Depression, disability days, and days lost from work in a prospective epidemiologic survey. JAMA 1990;264:2524-2528. 

  51. Fekadu A, O'Donovan MC, Alem A, Kebede D, Church S, Johns L, et al. Validity of the concept of minor depression in a developing country setting. J Nerv Ment Dis 2008;196:22-28. 

  52. Hance M, Carney RM, Freedland KE, Skala J.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 12-month follow-up. Gen Hosp Psychiatry 1996;18:61-65. 

  53. Weiller E, Boyer P, Lepine JP, Lecrubier Y. Prevalence of recurrent brief depression in primary care.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1994;244:174-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