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의심환자에서 무호흡저호흡지수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신체적 요인 : 예비연구
Clin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Apnea-Hypopnea Index in Suspecte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The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0 no.2, 2013년, pp.54 - 60  

강승걸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신승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이유진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주현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강일규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박인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  김찬우 (에필성형외과) ,  예미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황희영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김선태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박기형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길병원 신경과학교실) ,  김지언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tial clin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apnea-hypopnea index (AHI) in suspecte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Methods We evaluated the comprehensive factors including sleep related symptoms, clinical scales, medic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들은 본 예비연구를 통해 한국인에서 OSA의 심각도를 표현하는 AHI와 높은 연관성을 가진 임상증상과 신체계측치가 무엇인지를 포괄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밝히고 시급히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HI를 예측할 수 있는 핵심적 변수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예비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 AHI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BMI와 관찰되는 무호흡의 빈도였고, 코골이의 크기를 포함하여 회귀모델을 변경했을 때는 BMI와 코골이의 크기가 유의한 변수였다. AHI와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BMI였고 체중, 목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도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 Bouloukaki 등15)은 이 공식으로 중등도 이상의 AHI를 정확히 예측해낼 확률이 78%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팀도 세계적 연구의 흐름에 맞추어 향후 보다 대규모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OSA와 AHI를 예측할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연구에 따라서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변수들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연구방법과 피험자군의 특성의 차이, 통계분석의 방법차이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의 투입방식에 따라서 다중공선성이 높은 변수들이 제외되기도 하고 포함되기도 하는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설명력을 높이면서도 핵심적인 최소한의 변수들을 찾아내기 위해서 다중공선성을 보이는 변수들 중 상관계수나 중요성이 높은 것들을 선별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회귀모델 2에서는 관찰되는 무호흡 대신에 코골이 소리의 크기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는데 실제 임상에서 코골이 증상은 흔히 보고되는데 반하여 무호흡 증상은 OSA 환자들도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가설 설정

  • A : Length from nasion to subnasale. B : Distance from subnasale to stomion. C : Distance from stomion to menton.
  • B : Distance from subnasale to stomion. C : Distance from stomion to menton. D : Distance from gonion to menton.
  • C : Distance from stomion to menton. D : Distance from gonion to menton. E : Distance from cervicale to menton.
  • E : Distance from cervicale to menton. F : Distance from menton to ideal ment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SA환자는 어떤 위험이 초래되는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은 수면 중 상기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반복적으로 막히거나 저하되어 발생되는 수면장애이다. OSA 환자에게는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무호흡과 저호흡이 발생하여, 수면 중 각성으로 인한 수면의 질저하와 간헐적 저산소증(intermittent hypoxemia) 등에 의한 신체적 건강의 위협이 초래된다. OSA의 흔한 증상으로는 수면 중 코골이와 관찰되는 무호흡, 불규칙한 호흡, 주간졸림, 피로감, 인지능력저하 등이 있으며 저산소증 등에 의해 고혈압, 부정맥,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란 무엇인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은 수면 중 상기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반복적으로 막히거나 저하되어 발생되는 수면장애이다. OSA 환자에게는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무호흡과 저호흡이 발생하여, 수면 중 각성으로 인한 수면의 질저하와 간헐적 저산소증(intermittent hypoxemia) 등에 의한 신체적 건강의 위협이 초래된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OSA 환자에게는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무호흡과 저호흡이 발생하여, 수면 중 각성으로 인한 수면의 질저하와 간헐적 저산소증(intermittent hypoxemia) 등에 의한 신체적 건강의 위협이 초래된다. OSA의 흔한 증상으로는 수면 중 코골이와 관찰되는 무호흡, 불규칙한 호흡, 주간졸림, 피로감, 인지능력저하 등이 있으며 저산소증 등에 의해 고혈압, 부정맥,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oung T, Palta M, Dempsey J, Skatrud J, Weber S, Badr S.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2. Bearpark H, Elliott L, Grunstein R, Cullen S, Schneider H, Althaus W, et al. Snoring and sleep apnea. A population study in Australian me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1:1459-1465. 

  3. Kim J, In K, Kim J, You S, Kang K, Shim J, et al.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1108-1113. 

  4. Young T, Evans L, Finn L, Palta M. Estimation of the clinically diagnosed proportion of sleep apnea syndrome in middle-aged men and women. Sleep 1997;20:705-706. 

  5. Sun LM, Chiu HW, Chuang CY, Liu L. A prediction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moderate to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Breath 2011;15:317-323. 

  6. Seo WS, Son HI, Koo BH, Lee KH, Song CJ, Kwak KP, et al. Clinical features of Korea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usefulness of Korean version of epworth sleepiness scale.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5;11:150-157. 

  7.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77-384. 

  8. Kwon C, Shin SY, Lee KH, Cho JS, Kim SW. Usefulness of Berlin and STOP questionnaires as a screening test for sleep apnea in Korea.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768-772. 

  9. Kong HW, Lee HJ, Choi YS, Rha JH, Ha CK, Hwang DU, et al. Clinical predictors of obstructive sleep apnea. J Korean Neurol Assoc 2005;23:324-329. 

  10. Li KK, Kushida C, Powell NB, Riley RW, Guilleminault C.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 comparison between Far-East Asian and white men. Laryngoscope 2000;110(10 Pt 1):1689-1693. 

  11. Klem GH, Luders HO, Jasper HH, Elger C.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Neurophysiology.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Suppl 1999;52:3-6. 

  12. Iber C, Ancoli-Israel S, Chesson AL Jr, Quan SF. The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rules, terminology and technical specifications. Westchester, IL: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2007. 

  13. Caffo B, Diener-West M, Punjabi NM, Samet J. A novel approach to prediction of mild obstructive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a population- based sample: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Sleep 2010;33: 1641-1648. 

  14. Musman S, Passos VM, Silva IB, Barreto SM. Evaluation of a prediction model for sleep apnea in patients submitted to polysomnography. J Bras Pneumol 2011;37:75-84. 

  15. Bouloukaki I, Kapsimalis F, Mermigkis C, Kryger M, Tzanakis N, Panagou P, et al. Predic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a large Greek population. Sleep Breath 2011;15:657-6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