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관련 2차 자료에 근거한 왜관 지역주민의 암 발생 현황
Cancer Mortality and Morbidity Based on Secondary Data Analysis of Health Among Residents Around Waegwan, Gyeongsangbuk-do,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9 no.4, 2013년, pp.335 - 345  

이관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  임현술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  민영선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  이덕희 (경북의대 예방의학교실) ,  주영수 (한림의대 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양원호 (대구가톨릭대 산업보건학과) ,  조용성 (국립환경과학원) ,  김근배 (국립환경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s the suspicion was raised that 'Agent Orange' was reclaimed 30 years ago at Camp Carol, located in Waegwan, Gyeongsangbuk-do, the government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and health effects around Camp Carol through a public-private joint investigation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는 주민건강영향조사의 일부분으로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노출이 추정되는 왜관주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암등록 자료, 사망원인 및 건강보험이용 자료 등을 분석하여 고엽제를 비롯한 유기염소계농약, Trichloroethylene(TCE), Perchloroethylene(PCE) 등의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암발생률, 암 사망률, 질병별 의료이용률 등의 연도별 변화와 지역별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이 연구는 주민건강영향조사의 일부분으로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노출이 추정되는 왜관주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암등록 자료, 사망원인 및 건강보험이용 자료 등을 분석하여 고엽제를 비롯한 유기염소계농약, TCE, PCE 등의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암발생률, 암 사망률, 의료이용률 등의 연도별 변화와 지역별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경북 왜관에 위치한 캠프 캐럴에 과거 30년 전에 고엽제를 매립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정부는 민관공동조사팀을 구성하여 캠프 캐럴 인근 지역에 대한 환경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와 학계는 고엽제 매립 추정 지역 인근에 위치한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1) 환경성질환은 일반적으로 질병과 원인물질간에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할 뿐만 아니라 비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고, 일반적으로 긴 잠복기를 가진다는 점2)에서 고엽제 매립 추정 후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더구나 이번 조사와 같이 노출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한점이 따를 수밖에 없다.
  • 이번 연구에서 왜관주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차 자료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환경오염과 관련된 건강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암등록 자료, 사망원인, 의료이용률 등 다양한 자료원을 이용하였지만, 결과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관심이 높고 위중도가 높은 질병, 즉 암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이유로 광범위한 시간과 공간 영역에서 일부 지역의 질병 상태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이차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이 쓰이나? 건강영향조사에서 전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 및 건강검진을 통하여 과거 또는 현재의 질병 상태를 직접 조사하는 것은 여러 제한점이 있다. 조사를 하더라도 조사 대상자가 전체 인구를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과거 기억을 못하는 경우, 이미 사망한 경우에는 조사에서 누락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광범위한 시간과 공간 영역에서 일부 지역의 질병 상태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차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환경성질환의 특징은? 이를 바탕으로 정부와 학계는 고엽제 매립 추정 지역 인근에 위치한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1) 환경성질환은 일반적으로 질병과 원인물질간에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할 뿐만 아니라 비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고, 일반적으로 긴 잠복기를 가진다는 점2)에서 고엽제 매립 추정 후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더구나 이번 조사와 같이 노출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한점이 따를 수밖에 없다. 다만 한미공동조사단의 환경조사에서 확인된 고엽제(검출한계 미만)를 비롯한 Perchloroethylene(PCE), Trichloroethylene (TCE), 유기염소계 농약 등이 노출에 대한 유일한 단서였고, 현실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대구·경북 지역암등록사업이란? 암등록 자료는 1999년~2008년의 대구·경북 지역 암등록사업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구·경북 지역암등록사업은 정확한 암발생률을 산출하고 암발생과 관계된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고 있는 사업이다. 1997년부터 대구지역 암등록사업을 시작하였고, 1999년부터 경북지역 암등록사업을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im HS, Lee DH, Ju YS, Park SA, Yang WH, Lee K, et al. A Study on the Health Effect among Residents in Waegwan Area, Gyeongbuk.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p.1-5. 

  2. Koh SB. Environmental disease. J Kor Med Assoc. 2012; 55(3): 212-213. 

  3. IOM. Veterans and Agent Orange: Update 2010.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p.265-539. 

  4. Steenland K, Bertazzi P, Baccarelli A, Kogevinas M. Dioxin revisited: developments since the 1997 IARC classification of dioxin as a human carcinogen. Environ Health Perspect. 2004; 112(13): 1265-1268. 

  5. Warner M, Mocarelli P, Samuels S, Needham L, Brambilla P, Eskenazi B. Dioxin Exposure and Cancer Risk in the Seveso Women's Healt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11; 119(12): 1700-1705. 

  6. Akhtar FZ, Garabrant DH, Ketchum NS, Michalek JE. Cancer in US Air Force veterans of the Vietnam War. J Occup Environ Med. 2004; 46(2): 123-136 

  7. Guha N, Loomis D, Grosse Y, Lauby-Secretan B, El Ghissassi F, Bouvard V, et al. Carcinogenicity of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some other chlorinated solvents, and their metabolites. Lancet Oncol. 2012; 13(12): 1192-1193. 

  8.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vol. 63. Dry Cleaning, Some Chlorinated Solvents and Other Industrial Chemicals. Lyon: IARC Press; 1995. p.75-158. 

  9. Anders IS, Gunnar AJ. Cancer morbidity in Swedish dry-cleaners and laundry workers: historically prospective cohort study.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11; 84(4): 435-443. 

  10. Cheryl SS, Jennifer J. Trichloroethylene and cancer: systematic and quantitative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identifying hazard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1; 8(11): 4238-4271. 

  11. Purdue MP, Bakke B, Stewart P, De Roos AJ, Schenk M, Lynch CF, et al. A case-control study of occupational exposure to trichloroethylene and nonhodgkin lymphoma. Environ Health Perspect. 2010; 119(2): 232-238. 

  12. Aschengrau A, Weinberg JM, Janulewicz PA, Romano ME, Gallagher LG, Winter MR, et al. Affinity for risky behaviors following prenatal and early childhood exposure to tetrachloroethylene (PCE)-contaminated drinking wat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Environ Health. 2011; 10: 102-115. 

  13. Scott CS, Jinot J. Trichloroethylene and cancer: systematic and quantitative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identifying hazard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1; 8(11): 4238-4272. 

  14. Collotta M, Bertazzi PA, Bollati V. Epigenetics and pesticides. Toxicology. 2013; 307: 35-41. 

  15. Turusov V, Rakitsky V, Tomatis L.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ubiquity, persistence, and risks. Environ Health Perspect. 2002; 110(2): 125-128. 

  16. Boslaugh S. An introduction to secondary data analysis. In Secondary Data Sources for Public Health: A Practical Guid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2-10. 

  17.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nd ed. Seoul: Gyechuk Munwhasa Press; 2013. p.67-72. 

  18. Curado MP, Edwards B, Shin HR, Storm H, Ferlay J, Heanue M, et al. Cancer Incidence in Five Continents, vol. 9. France: IARC Scientific Press; 2007. p.40-60. 

  19. Han MA, Choi KS, Lee HY, Kim Y, Jun JK, Park EC. Current status of thyroid cancer screening in Korea: results from a nationwide interview survey. Asian Pac J Cancer Prev. 2011; 12(7): 1657-1663. 

  20. Park KA.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Kor J Popul Stud. 2003; 26(2): 1-32. 

  21. Chun JH, Lee KS. Actual conditions and pitfalls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the current death registration system in Korea. Kor J Epidemiol. 2000; 22(2): 124-135. 

  22. Kim BY. A developmen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J Kor Official Statistics. 1999; 4(2): 1-30. 

  23. Kim KS, Lim YS, Rhee JE, Suh GJ, Youn YK, Eo EK, et al. Problems in completing a death certificate. J Kor Soc Emerg Med. 2000; 11(4): 443-9. 

  24. Won TY, Kang BS, Im TH, Choi HJ. The study of accuracy of death statistics. J Kor Soc Emerg Med. 2007; 18(3): 256-262. 

  25. Khang YH, Kim HR.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y in Korea: mortality follow-up of the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dat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 39(2): 115-122. 

  26. Veugelers, PJ and Yip AM.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care use: Does universial coverage reduce inequalities in health?.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3; 57(6): 424-428. 

  27. Kim DS, Park HJ. Region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in Korea, 1990-2000. Kor J Popul Stud. 2003; 26(1): 1-30. 

  28. Lee SC, Lee KH, Kim HS, Lee SH, Choi TH, Park YJ, et al. The comparative study of cancer incid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in Gangneung ; gastric cancer, hepatoma and lung cancer. Kor J Med. 2005; 68(1): 66-75. 

  29. Nam JM, Lee SH, Cho WH. A study o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and testing of variation indicies at the small area variation analysis. Kor J Prev Med. 1999; 32(1): 80-87. 

  30. Park IS, Lee DH. Analysis of Utilization Medical services using Data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focused on Cancer.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 Press; 2010. p.105-118 

  31. Seo HJ, Oh IH, Yoon SJ. A comparison of the cancer incidence rates between the National Cancer Registry and Insurance Claims Data in Korea. Asian Pac J Cancer Prev. 2012; 13(12): 6163-61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