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해 남동부 흑산니질대 퇴적물의 분포, 지화학적 조성 및 퇴적물 기원지
Distribution Pattern,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the Huksan Mud 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4, 2013년, pp.289 - 302  

하헌준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전승수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장태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지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부분 니질 퇴적물로 구성된 황해 남동부 흑산니질대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기 위해 퇴적물 시료에 대해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REE)를 분석하였다. 표층 퇴적물 시료는 흑산니질대 내 51지점에서 피스톤식과 박스형 시료 채취기로 획득하였다. 흑산니질대의 표층퇴적물은 니 퇴적물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평균입도는 $5-6{\phi}$이다. 공간적으로 북쪽지역은 실트함량이 높고, 남쪽지역으로 갈수록 점토함량이 증가한다. 흥미롭게도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 함량 특성은 퇴적물 기원 해석에 있어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Fe/Al과 Mg/Al 함량 비, $Al_2O_3$와 MgO 함량 비, $Al_2O_3$$K_2O$를 각각 도시한 결과, 흑산니질대 퇴적물은 한국 기원의 퇴적물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희토류 원소의 특성은 중국 기원의 퇴적물이 우세함을 반영한다. 이러한 기원 불일치는 각 원소의 함량 조절요인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성분 원소는 입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입도에 따라 그 함량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희토류 원소는 입도와는 상관관계가 낮으며, 중광물 함량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추적자에 따른 기원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provenance of the Huksan Mud 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the major and rare earth elements of the same sediments were analyzed. The surface sediments were sampled from top of piston-cores and box-cores taken at 51 sites within the Huksan Mud Belt. With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분석 시료와 분석 항목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흑산니질대의 니질 퇴적물에서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각각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를 분석하여, 니질 퇴적물의 기원에 대해 토의하였다. 특히,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 분석에 따른 기원지 해석의 불일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 특히,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 분석에 따른 기원지 해석의 불일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일 니질대 내에서 공간적으로 지화학적 특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밝혔다.
  • 따라서, 이 연구는 분석 시료와 분석 항목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흑산니질대의 니질 퇴적물에서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각각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를 분석하여, 니질 퇴적물의 기원에 대해 토의하였다. 특히, 주성분 원소와 희토류 원소 분석에 따른 기원지 해석의 불일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단일 니질대 내에서 공간적으로 지화학적 특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란 무엇인가? 황해는 한반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며, 평균 수심이 약 55 m인 전형적인 연해(epicontinental sea)이다. 특히 중국 대륙의 황하강과 양쯔강, 한반도의 한강, 금강, 및 영산강 등을 통해 전 세계 하천 퇴적물의약 10%에 달하는 많은 양의 세립 퇴적물이 유입되어 여러 유형의 니질 퇴적층을 형성하고 있다 (Milliman and Meade, 1983; Alexander et al.
흑산니질대 퇴적체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1a). 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전진퇴적하며 형성되는 삼각주(delta)와는 달리, 흑산니질대 퇴적체는 연안에서 분리되어 대륙붕 지형을 따라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Jin and Chough, 1998).
황해는 어떤 퇴적층을 형성하고 있는가? 황해는 한반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며, 평균 수심이 약 55 m인 전형적인 연해(epicontinental sea)이다. 특히 중국 대륙의 황하강과 양쯔강, 한반도의 한강, 금강, 및 영산강 등을 통해 전 세계 하천 퇴적물의약 10%에 달하는 많은 양의 세립 퇴적물이 유입되어 여러 유형의 니질 퇴적층을 형성하고 있다 (Milliman and Meade, 1983; Alexander et al.,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exander, C.R., DeMaster, D.J., and Nittrouer, C.A., 1991, Sediment accumulation in a modern epicontinental-shelf setting: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98, 51-72. 

  2. Calvert, S.E., 1976, The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near-shore sediments. In Riley, J.P. and Chester, R. (ed.), Academic Press, London, 6, 187-280. 

  3. Carver, R.E., 1971,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652 p. 

  4. Cho, H.G., Kim, S.O., and Yi, H.I., 2012,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mud deposit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5, 163-173. (in Korean) 

  5. Cho, Y.G., Lee, C.B., and Choi, M.S., 1999,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off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Marine Geology, 159, 111-129. 

  6. Choi, J.Y., Lim, D.I., Park, C.H., Kim S.Y., Kang. S.R., and Jung, J.S., 2010,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 compositions in river sediments around the Yellow Sea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venance of the continental shelf mud deposi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497-509. (in Korean) 

  7. Chough, S.K. and Kim, D.C., 1981, Dispersal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 steady-state model.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1, 721-728. 

  8. Chough, S.K., Kim, J.W., Lee, S.H., Shinn, Y.J., Jin, J.H., Suh, M.C., and Lee, J.S., 2002, High-resoluti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picontinental sea deposits, centraleastern Yellow Sea. Marine Geology, 188, 317-331. 

  9.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Austin, Texas, 170 p. 

  10. Jin, J.H., and Chough, S.K., 1998, Partitioning of transgressive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 sequence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Marine Geology, 149, 79-92. 

  11. Jung, H.S., Lim, D.I., Yang, S.Y., and Yoo, H.S., 2006, Constraints of REE distribution patterns in core sediments and their provenance, northern East China S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9, 39-51. (in Korean) 

  12. Khim, B.K., 1988, Sedimentological study of the muddy deposition in the Yellow Sea, Unpublished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6 p. 

  13. Klaver, G. Th., and van Weering, T.C.E., 1993, Rare earth element fractionation by selective sediment dispersal in surface sediments: the Skagerrak. Marine Geology, 111, 345-359. 

  14. Kong, G.S., Park, S.-C., Han, H.-C., and Chang, J.H., Mackensen, A., 2006, Late Quaternary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44, 38-52. 

  15. Lee, H.J., and Chu, Y.S., 2001, Origin of inner-shelf mud deposi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Huksan Mud Belt.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71, 144-154. 

  16. Lim, D.I., 2003, Geochemical compositions of coastal sediments around Joju Island, South Sea of Korea: potential provenance of sediment.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337-345. 

  17. Lim, D.I., Choi, J.Y., Jung, H.S., Rho, K.C., and Ahn, K.S., 2007a, Recent sediment accumulation and origin of shelf mud deposits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73, 145-159. 

  18. Lim, D.I., Shin, I.H., and Jung, H.S., 2007b, Major element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river sediments: potential tracers for the discrimination of sediment provenance in the Yellow S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311-323. (in Korean) 

  19. McLennan, S.M., 1989, Rare earth elements in sedimentary rocks: influence of provenance and sedimentary processes.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Reviews in Mineralogy, 21, 169-200. 

  20. Milliman, J.D. and Meade, R.H., 1983, World-wide delivery of river sediment to the oceans. Journal of Geology, 91, 1-21. 

  21. Moon, D.H., Yi, H.I., Shin, K.H., Do, J.Y., and Cho, H.G., 2009, Mineral distribution of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nd South Sea of Korea using Quantitative XRD Analysi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 49-61. (in Korean) 

  22. Nesbitt, H.W., Markovics G., and Prince, R.C., 1980, chemical processes affecting alkalis and alkaline earths during continental weathering.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4, 1659-1666. 

  23. Park, S.C., Lee, H.H., Han, H.S., Lee, G.H., Kim, D.C., and Yoo, D.G., 2000,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mud deposits and recent sediment budge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Marine Geology, 170, 271-288. 

  24. Park, Y.A., and Khim, B.K., 1992, Origin and dispersal of recent clay minerals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104, 205-213. 

  25. Song, Y.H., and Choi, M.S., 2009, REE geochemistry of fine-grained sediments from major rivers around the Yellow Sea. Chemical Geology, 266, 328-342. 

  26. Taylor, S.R., and McLennan, S.M., 1995,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Reviews of Geophysics, 33, 241-265. 

  27. Vital, H., Stattegger, K, and Garbe-Schonberg, C.D., 1999, Composition and trace-element geochemistry of detrital clay and heavy-mineral suites of the lowermost Amazon River: a provenance study.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69, 563-575. 

  28. Wei, J.W., Shi, X.F., Xin, C.Y., and Chen, Z.H., 2000, Distribution patterns of clay minerals in the Yellow Sea and their significance. Yellow Sea: epicontinental shelf in Asia. Proceedings of First Korea-China Symposium on Sedimentary Processe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Ansan, Korea, April 6-9, 2000. Seoul, Korea, 179-186. 

  29. Xu, Z., Lim, D.I., and Choi, J.Y., 2009, Rare earth elements in bottom sediments of major rivers around the Yellow Sea: implications for sediment provenance. Geo-Marine Letters, 29, 291-300. 

  30. Yang, S.Y., Jung, H.S., Choi, M.S., and Li, C.X., 2002, The rare earth element compositions of the Changjiang (Yangtze) and Huanghe (Yellow) river sediment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01, 407-419. 

  31. Yang, S.Y., Jung, H.S., and Li, C.X., 2004, Two unique weathering regimes in the Changjiang and Huanghe drainage basins: geochemical evidence from river sediments. Sedimentary Geology, 164, 19-34. 

  32. Yang, S.Y., Jung, H.S., Lim, D.I., Lim, D.I., and Li, C.X.,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Science Reviews, 63, 93-120. 

  33. Youn, J.S., Byun, J.C., and Kim, Y.S., 200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uter-shelf muddy sediments in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 198-208. (in Korean) 

  34. Youn, J.S., and Kim, T.J., 2008,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328-340. (in Korean) 

  35. Zhang, C.S., Wang, L.J., and Zhang, S., 1998, Geochemistry of rare earth elements in the mainstream of the Yangtze River, China. Applied Geochemistry, 13, 451-4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