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적응유연성, 우울과의 관계
Acculturative 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3, 2013년, pp.320 - 329  

유명란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  최선영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  김윤미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  한수정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양남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경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간호학과) ,  장혜경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라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ilience's mediating effect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Methods: Between February and May 2012, 276 Chinese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중국 유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Kyung & Jang, 2011; Wang & Mallinckrodt, 2006).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적응유연성,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한 유학생활을 위한 우울의 감소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인과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적응유연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매개변인임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학생은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Pan, Wong, Joubert, & Chan, 2007)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또는 스트레스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인간의 적응능력을 넘어서는 경우, 유학생은 우울이라는 부정적 정서를 경험한다고 하였다(Kim & Son, 2011). 이에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10; Kim & Son, 2011; Lee, 2012).
적응유연성이란 무엇인가? 적응유연성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역경, 고난, 그리고 예기치 못한 사건들에 직면했을 때 이를 잘 헤쳐 나갈 수 있는 능력이다(Newman, 2005). 이는 환경적 역경과 스트레스 상황에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능력으로 설명되며, 유연성, 탄력성, 극복력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2010). 선행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은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뿐 아니라 개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발달시키는 기능을 하며 위험요소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우울 정도에 대한 척도를 판별하기 위한 한국판 CES-D도구는 어떤 구성으로 되어있는가? 우울은 Jun과 Lee (1992)가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를 번안한 20문항 4점 척도인 한국판 CES-D도구를 이용하였다. 이 척도는 우울 정서, 신체적 정서,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 ‘극히 드물다’ 0점, ‘대부분 그렇다’ 3점으로 측정하며 긍정적인 문항은 역환산하여 채점하였다. 점수 범위는 0점에서 60점으로 21점을 기준으로 21점 보다 점수가 높으면 우울을 경험한다고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 Choi, B. O. (2006). The effect of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belief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the students' daily hass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Gee, G. C. & Ponce, N. (2010). Associations between racial discrimination, limited english proficienc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6 asian ethnic groups in California.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0(5), 888-895. 

  4. Holleran, L. K., & Jung, S. (2005). Acculturative stress, violence, and resilience in the lives of Mexican American youth. Stress, Trauma and Crisis; An International Journal, 8(2-3), 107-130. 

  5. Hwang, J. I., & Kim, K. S. (2009).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justment stress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9. 1-15. 

  6. Jang, H. X. (2005).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ccommodation stress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Jhu, L. L. (2011). A study of group arts therapy on released depression for the new chinese student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8. Jun, K. G., & L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9. Jung, M. K., & Lee, K. M. (2010). A path analysis of stress, depression, optimism, and resilienc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629-642. 

  10. Kim, C. D. (2008).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1. Kim, H. J. & Son, E. J. (2011).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ego-resilience and optimism on depress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Youth Facility & Environment, 9(3), 3-12. 

  12. Kim, H. K., Son, Y. J., Lee, L. R., Lim, K. C., Jang, H. K., Han, S. J. et al. (2010).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Academic Adult Nursing, 22(2), 143-152. 

  13. Kim, H. S., Kim, H, J., & Choi, S. S. (2010). Acculturative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marriage migration females: 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2), 153-176. 

  14. Kyung, S. Y, & Jang, S. M. (2010).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nd drinking problems among chinese in Korea. Mental Health & Social Work, 34, 399-421. 

  15. Lee, H. J. (2012).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 Focusing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language skills,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7(3), 129-143. 

  16. Lee, S. J. (1996). Relations between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belief system, social support of international student. The Journal of Yonsei Educational Research, 9, 157-176. 

  17. McMillan, J. H., & Reed, D. F. (1994). At-risk students and resiliency : Factors contributing to academic success. The Clearing House, 67(3), 137-140. 

  18. Ministry of education (2012). The count of Foreign student at the degree course. Retrieved April, 11, 2012,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ebsite : http://www.mest.go.kr/web/ 1505/site/contents/ko/ko_0129.jsp 

  19. Na, I. S.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tress among foreign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 Research, 5(2), 159-197. 

  20. Newman, R. (2005). APA's resilience initiative.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and Practice, 36(3), 227-229. 

  21. Pan, J., Wong, D., Joubert, L., & Chan, C. (2007). Acculturative stressor and meaning of life as predictors of negative affect in acculturation: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Australia and Hong Kong. Australian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1(9), 740-750. 

  22. Park, H. W. (2007).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Korean women living in UK. The Korean Contents Society, 10(8), 308-316. 

  23. Pederson, P. B. (1991). Counseling international student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9(1), 10-58. 

  24. Rhodes, J. E. (1994). Older and wiser : Mentoring relationship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14(3), 187-196. 

  25. Sandhu, D. S., & Asrabadi, B. R. (1994) Development of Acculturation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s, 75, 435-448. 

  26. Song, Y. S. (2004).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physically disabled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7.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5-178. 

  28. Waller, M. A. (2001). Resilience in Ecosystemic Context: Evolution of the Concept.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1(3), 290-291. 

  29. Wang, C. C., & Mallinckrodt, B. (2006). Acculturation, attach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nese/ Taiwanese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 422-433. 

  30. Yoo, E. H. (2008).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go-resili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Students Journal of Socal Welfare, 1, 82-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