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중국인 유학생의 영양소 섭취 상태, 체질량지수와 우울의 관계
Nutritional Intake,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in an Urban Area of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2 no.2, 2020년, pp.81 - 89  

진정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서민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al intake, body mass index (BMI) and depression, and to elucidate depression in relation to nutritional intake and BMI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dopted. Data were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하루만 기록하게 한 관계로 주말 동안의 영양소 섭취상태가 적게 반영되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상태가 과소평가 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대상자들로 하여금 미리 방문 전날 섭취한 음식을 메모해 오게 하였고, 기록한 날의 음식 섭취 양상이 평소에 섭취하는 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영양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 혈액검사를 시행하지 못하였던 점으로, 이를 포함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상태를 체질량지수와 영양소 섭취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이들의 영양 부족이 우울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한 최초의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우울 증진 전략으로 영양 관리를 포함하는 근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우울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영양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I 지역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체질량지수를 파악하고 우울상태를 조사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영양상태와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상태 및 우울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I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상태에 따른 우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I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상태와 우울을 파악하고, 영양상태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I 지역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체질량지수, 우울을 파악하고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체질량지수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I 지역의 대학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체질량지수를 파악하고 우울상태를 조사하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영양상태와 우울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상태 및 우울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판토텐산의 특징은? 4배 증가하였다고 보고되었다[28]. 판토텐산은 비타민 B5로, 에너지 영양소의 산화과정과 지방산,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같은 지질 합성에 참여하고,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도 관여하여[31], 우울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29]. 또한, 셀레늄은 인체에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영양소로 판토텐산과 유사하게 뇌에서 신경전달 물질의 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셀레늄이 결핍되면 우울증, 혼란감, 적개심 등 부정적인 기분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영양소 섭취 불균형과 같은 영양상태 지표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중 중국인 유학생들은 총 유학생 171,266명 중 71,924명으로 전체 재한 유학생의 약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1].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한국과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흔히 생각되지만, 약 100여년간 한국과의 교류가 단절되어 있었고, 음주 문화나 식생활 문화도 다소 상이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재한 중국인 유학생 중 19.
셀레늄이 결핍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판토텐산은 비타민 B5로, 에너지 영양소의 산화과정과 지방산,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같은 지질 합성에 참여하고,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도 관여하여[31], 우울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29]. 또한, 셀레늄은 인체에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영양소로 판토텐산과 유사하게 뇌에서 신경전달 물질의 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셀레늄이 결핍되면 우울증, 혼란감, 적개심 등 부정적인 기분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본 연구 대상자들 중 판토텐산과 셀레늄 섭취가 부족했던 대상자에서 우울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던 점은 이들에게 이러한 영양소의 섭취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Information. Ministry of Justice monthly report on immigration and foreign policy[Internet], Gwacheon: Ministry of Justice; 2019 [cited 2019 Feb 22]. Available from: http://www.moj.go.kr/moj/2412/subview.do. 

  2. Her ES, Park HJ. Interrelations among acculturative stress and, recognitions, preferences and eating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13;26(2):216-225. https://doi.org/10.9799/ksfan.2013.26.2.216 

  3. Kim MH, Kim Y, Chung J, Yeon JY. Fad diet status of male and female collegians.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15;28(2):258-268.https://doi.org/10.9799/ksfan.2015.28.2.258 

  4. Kwon SM, Lee BK, Kim HS. Relation between nutritional factors and bone status by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9;38(11):1551-1558. https://doi.org/10.3746/jkfn.2009.38.11.1551 

  5. Lee SB, Kim DW. Exploring influential factors on 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peech & Communication. 2009; 11: 47-79. 

  6. Saravanan C, Alias A, Mohamad M. The effects of brief individual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depression and homesicknes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Malays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2017; 220:108-116. https://doi.org/10.1016/j.jad.2017.05.037 

  7. Lazarevich I, Irigoyen Camacho ME, Velazquez-Alva MC, Flores NL, Najera Medina O, Zepeda Zepeda MA. Depression and food consumption in Mexican college students. Nutricion Hospitalaria. 2018;35(3):620-626. https://doi.org/10.20960/nh.1500. 

  8. Park JY, You JS, Chang KJ. Dietary taurine intake, nutrients intake, dietary habits and life stress by depression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2010;17 (Suppl 1):S40. https://doi.org/10.1186/1423-0127-17-S1-S40. 

  9. Luppino FS, Bouvy PF,de Wit LM,Bouvy PF, Stijnen T, Cuijpers P,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0;67(3):220-229. https://doi.org/10.1001/archgenpsychiatry.2010.2. 

  10. Oh YK. The effect of depression,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2019;36(2):623-634. https://doi.org/10.12925/jkocs.2019.36.2.623 

  11. Park YH, Suh EE. The risk of malnutrition,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941-948. https://doi.org/10.4040/jkan.2007.37.6.941 

  12. Song Y, Zhang B, Hu PJ, Ma J. Prevalence of anemia and its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status among Chinese students of ethnic minorities in 2010. Journal of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s. 2016;48(3):429-435. 

  13. Dong YH, Song Y, Dong B, Zou ZY, Wang ZH, Yang ZG, et al. Association between the blood pressure status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Chinese students aged 7-18 years in 2014: based on the national blood pressure reference for Chin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s. 2018;50(3):422-428. 

  14. Gullahorn JT, Gullahorn JE. An extension of the U-curve hypothesis. Journal of Social Issues, 1963;19: 33-47. 

  15. Jeong HJ, Koung SH, Park MJ, Kim KY, Kim HJ, 2015 Korean nutrient intake standard [Internet].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cited 2019 Nov 21]. Available from: http://www.kns.or.kr/FileRoom/FileRoom.asp?BoardIDKdr 

  16. Lee YK, Choi MK, Hyun T, Lyu ES, Park H, Ro HK, et al. Analysis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orus intakes and contribution rates of major dish group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20;25(1):32-47. https://doi.org/10.5720/kjcn.2020.25.1.32 

  17. Choi-Kwon S, Choe MA, Kim KS, Lee MS, Suh E, Suh M. Nutritional status, nutrients intakes, and health status of young-old and old-old homebound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3):183-192.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database on body mass index[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cited 2020 March 18]; Available from:http://apps.who.int/bmi/index.jsp 

  19.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20.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Standard guide for mental health screening tools and use[Internet]. Seoul: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2017 [cited 2019 July 1]: Available from: http://ncmh.go.kr/kor/common/file_download/2019070110374. 

  21. Yim K. Analysis of nutritional status of Korean-Chinese resid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6;6(1):9-19. 

  22. Lee J, Gao RR, Kim JH. Acculturation and changes in dietary behavior and anthropometric measures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5;9(3):304-312. https://doi.org/10.4162/nrp.2015.9.3.304 

  23. Kim BK, Han TY, Kim TH. The research about validation of BMI for age and sex.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9;28(4):1045-1054. https://doi.org/10.35159/kjss.2019.08.28.4.1045 

  24. Bertoni N, de Almeida LM, Szklo M, Figueiredo VC, Szklo AS.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abdominal obesity in a national survey of adolescents in Brazil. Preventive Medicine. 2018;111:1-5. https://doi.org/10.1016/j.ypmed.2018.02.017. 

  25. You ML, Choi SM, Kim YM, Han SJ, Yang NY, Kim HK,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daptive flexibility and depression of domestic Chines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 19(3): 320-329.https://doi.org/10.5977//jksne.2013.19.3.320 

  26. Pan LL, YAO WB, Sun Y, Wang YP, Wu XY. Prevalence of and correlation between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and modific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correlation among college students. Chi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2019. 35(7): 857-860. https://doi.org/10.11847/zgggws1119840 

  27. Jang SM.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cop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the self-medication hypothesi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7;37(1):5-33. 

  28. Oh J, Yun K, Chae JH, Kim TS. Association between macronutrients intake and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Frontiers in Psychatry. 2020;11:207. https://doi.org/10.3389/fpsyt.2020.00207 

  29. Rubio-Lopez N, Morales-Suarez-Varela M, Pico Y, Livianos-Aldana L, Llopis-Gonzalez A. Nutrient intake and depression symptoms in Spanish children: the ANIVA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6;13(3):352. https://doi.org/10.3390/ijerph13030352. 

  30. Surai PF. Selenium in nutrition and health. Nottingham: Nottingham university press; 2006. p. 738-741.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10th ed.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ies Press; 1989. p. 284-285. 

  32. Anglin RE, Samaan Z, Walter SD, McDonald SD. Vitamin D deficiency and depression in adul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13;202(2):100-107. https://doi.org/10.1192/bjp.bp.111.106666 

  33. Wong SK, Chin KY, Ima-Nirwana S. Vitamin D and depression: the evidence from an indirect clue to treatment strategy. Current Drug Targets. 2018;19(8):888-897. https://doi.org/10.2174/1389450118666170913161030. 

  34. Gowda U, Mutowo MP, Smith BJ, Wluka AE, Renzaho AM.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reduce depression in adults: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2015;31(3):421-429. https://doi.org/10.1016/j.nut.2014.06.017. 

  35. Paulitsch RG, Demenech LM, Dumith SC.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obesity is mediated by weight perceptio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20. Forthcoming. https://doi.org/10.1177/1359105319897778 

  36. Pratt LA, Brody DJ. Depression and obesity in the U.S. adult household population, 2005-2010. NCHS Data Brief. 2014;167:1-8. 

  37. Paans NPG, Bot M, Brouwer IA, Visser M, Penninx BWJH. Contributions of depression and body mass index to body image.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018;103:18-25.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18.05.003 

  38. Hong SM. Relationships among body mass index,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and 2016.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9;28(1):61-68. https://doi.org/10.7570/jomes.2019.28.3.210 

  39. de Wit LM, van Straten A, Herten M, Penninx BW, Cuijpers P. Depression and body mass index, a u-shaped association. BioMed Central. 2009;9:14. https://doi.org/10.1186/1471-2458-9-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