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영아 성장발달 모듈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odule for Infant based Problem-base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3, 2013년, pp.371 - 383  

한은숙 (삼육서울병원 응급실)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남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ule for infants in pediatric nursing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to analyze its effect. Methods: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79 junior nursing students. For the analysis of the module effect, one group post-test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 개발팀으로 참여한 2명의 튜터는 PBL 관련 연수와 세미나에 3차례이상 참여하였으며 PBL 수업을 진행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본 PBL 모듈 개발을 위해 6개월간의 준비 과정 동안 5차례의 회의를 거쳐 국가고시 학습목표 분석, 영아 성장발달 관련문제 분석, 적합한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임상상황 선정을 위한 토의, 운영 및 평가방법에 대한 세밀한 토론과 논의를 하였다. PBL의 모든 과정이 소그룹 토론을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아동간호학 교수 1인과 2명의 강사가 토론 과정 수업에 투입 되었다.
  •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영아 성장발달 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전체 교과영역에서 PBL을 적용하는 데 있어 국가고시 위주로 운영되는 현 간호학 교육과정의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교육과정 운영 체계 안에서 비판적, 통합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PBL 교육을 부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아동간호학 교과목 중 영아성장발달 영역에서 PBL 모듈을 개발하고 총 16시간의 짧은 시간동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여 PBL 교육의 통계적인 유의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학생들의 자가 평가(개인성찰일지) 결과 PBL 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학생들의 비판적, 통합적 사고능력 개발에 도움이 되는 학습방법임이 평가되었다.
  • 아동간호학의 정상 성장발달 영역에서 PBL을 접목한 모듈 개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영아기 성장발달영역에서 PBL 학습모듈을 개발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간호학의 영아 성장발달 부분에서 구성주의 학습방법의 하나인 PBL을 적용한 정상 영아 성장발달 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PBL의 모든 과정이 소그룹 토론을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아동간호학 교수 1인과 2명의 강사가 토론 과정 수업에 투입 되었다. 학습 모듈 지침서를 가지고 진행 절차와 시간 배분, 그룹 역동을 위해서 튜터로서 해야 할 질문과 피드백의 수준 및 주의사항에 대한 연구자 교육을 시행하였다. 조별로 균등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자와 순서를 정해 돌아가면서 PBL 진행과정에 참여 하였다.
  • 아동간호학 국가고시 분류기준을 반영하여 정상 영아 성장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필요한 간호의 지식과 기술을 달성하고자 하는 학습목적과 구체적인 목표를 선정하였다[Table 1]. 학습목표는 자율적인 학습의 동기화를 통해 해당분야에 대한 이론적 습득뿐 아니라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개발하고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는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고 통합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학습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최근의 간호 환경은 정보의 다양화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대상자들의 간호사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간호사에게 양질의 간호제공을 위한 숙련된 기술과 더불어 의료진 및 대상자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변화의 영향으로 임상간호현장은 반복적인 상황에서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시대에 부응하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고 통합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Yang & Jung, 2004).
간호사에게 양질의 간호제공을 위한 숙련된 기술과 더불어 의료진 및 대상자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는 배경은? 최근의 간호 환경은 정보의 다양화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대상자들의 간호사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간호사에게 양질의 간호제공을 위한 숙련된 기술과 더불어 의료진 및 대상자와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 변화의 영향으로 임상간호현장은 반복적인 상황에서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시대에 부응하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고 통합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Yang & Jung, 2004).
PBL 학습을 간호교육에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지난 10여 년간 간호학에 PBL이 소개된 이후 PBL 학습을 간호교육에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은 세 단계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는 PBL 학습이 학생들의 자율적 학습,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기술 및 학습만족도 등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발표되었다(Hwang & Chang, 2000; Forbes, Duke & Prosser, 2001; Hwang, 2003; Song, 2008). PBL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과목 통합을 시도한 PBL 모듈 개발 외에 국가고시 과목별로 PBL 모듈을 개발하고 현 국가고시 및 교육과정의 틀에 맞게 이론과 실습 과정에 PBL 교육방법을 부분적으로 적용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Kang, 2011; Kim, Park, Chung, & Kim, 2006; Lee, 2004; Son, Song, & Choi, 2010). 최근에는 PBL 교육방 법과 시뮬레이션 학습(simulation learning), 사례중심학습(case based learning)방법 등을 접목하여 구성주의 교육 패러다임 내에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연계하여 모듈을 개발하는 연구가 시도 되고 있다(Kang, 2011; Son & So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K. S. (2009). Perspectives of nurse students on problem based learning- learning experience in pediatric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5(1), 15-23. 

  2. Barrow, S. (1992) The tutorial process. Springfield, IL: Southern Illon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 Cheung, N. Y., & Song, Y. S. (2006). Clinical application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for novice nurses. Journal of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3(3), 334-342. 

  4. Cho, H. K. (2001). The relationship of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in PBL-based instru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Dick, W. (1996). The Dick and Carey model: Will it survive the decad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4(3), 55-63. 

  6. Faul, E.,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7. Forbes, H., Duke, M., & Prosser, M. (2001). Student' perceptions of learning outcome from group-based, problem-bas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dvances in Health Science Education, 6, 205-217. 

  8. Hwang, S. Y. (2003).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Chonnam University, Kwangju. 

  9. Hwang, S. Y., & Chang, K. S. (2000).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based on lung cancer ca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2), 390-405. 

  10. Kang, I. A., Jung J. H., & Jung, D. Y. (2007). Practical understanding of PBL. Seoul: Moonumsa. 

  11. Kang, S. Y. (2011). Development of creativity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433-443. 

  12. Kim, A. L., Kim, Y. K., Song, Y. S., Shin, K. R., Ahn, H. J., Lee, J. S., & Jo, K. A. (2001).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problem-based learning package for patients with perception-adjustment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3(3), 385-396. 

  13. Kim, H. S., Kang, K. A., Kim, S. J., Kim, H. O., Moon, S. Y., Park, S. N. et al. (2013). Child adolescence health nursing. Seoul: Koonja publishing co. 

  14. Kim, J. Y., & Choi, E. Y. (2008).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 receiving PBL with sim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5), 731-742. 

  15. Kim, K. J., Yoon, J., & Hyoung, H. K. (2009). Analysis of problem based learning based on the self-reflection. Journals and Class Evalu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6(4), 438-448. 

  16. Kim, Y. M., Park, Y. S., Chung, C. W., & Kim, M. J. (2006).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PBL) for students' practice in maternity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4), 326-337. 

  17.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CA: Beverly Hills Sage. 

  18. Lee, W. S. (2004). Understanding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for clinical education. Nursezine, 16, 108-110. 

  19. Lee, W. S., & Park, M. Y. (2001). Model for PBL(problem based learning) module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Research, 7(1), 126-142. 

  20. Morales-Mann, E. T., & Kaitell, C. A. (2001). Problem-based learning in a new Canadian curriculum.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1), 13-19. 

  21. Park, J. H., & Woo, O. H. (1999). Effects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15(3), 55-81. 

  22. Problem Based Learning Assessment and Research Center. (2000). PBL in Nursing. PBL Workshop Booklet, Feb., Newcastle: The University Newcastle. 

  23. Shin, H. S., & Shim, K. K.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47-155. 

  24. Son, Y. J., Song, Y. A., & Choi, E. Y. (2010).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7(1), 82-97. 

  25. Song, Y. A. (2008). Comparison of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BL and SBL Group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55-62. 

  26. Son, Y. J., & Song, Y. A. (2012).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43-52. 

  27. Thomas, R. E. (1997). Problem-based learning: Measureable outcomes. Medical Education, 31(5), 320-329. 

  28. Yang, J. J. (2006).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2), 287-294. 

  29. Yang, S. A., & Jung, D. Y. (2004).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bout student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6(1), 156-165. 

  30. Yoo, M. S. (2000).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