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경기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구강보건행위 관련요인 분석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4, 2013년, pp.623 - 629  

소미현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최혜정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ealth belief model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Methods : Subjects were 2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6th grade 103 boys and 113 girls in Gyeonggi-do from Februa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구강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신념요인을 분석해보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행하기 위한 기초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질환은 무엇인가? 어린이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질환은 치아우식증으로3), 치아우식증은 한번 발생되면 저절로 낫지 않고 계속 쌓여가는 축적성 질환으로서 일생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발생되지만,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의 부족, 잘못된 칫솔질 방법 및 잦은 간식습관 등의 이유로 인해 초등학교 학령기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4). 학동기의 구강건강은 평생 구강건강의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학동기에 형성된 바람직한 구강보건행위는 성인기까지 계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5).
구강건강의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구강건강은 전신건강의 한 부분으로서 개인의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에 일생동안의 계속구강건강관리가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행동과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연구대상자의 구강보건신념 및 구강건강행동에 대한 조사결과 구강건강동기(20.39±3.11)가 가장 높았고. 유익성(19.63±3.37), 자기효능감(16.62±2.60), 심각성(14.53±3.94), 감수성(14.31±4.62)순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요인(11.74±3.85)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행동의 전체 평균은 71.36±10.02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2.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구강보건신념 중 장애요인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4). 3. 학생의 구강건강행동 수준에 따른 구강보건신념을 분석한 결과 장애요인이 낮을수록(p=0.004), 구강건강동기, 유익성,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구강건강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4. 학생의 구강건강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강보건 신념요인은 자기효능감(0.267)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강동기(0.239)가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ealth Management Education Council of National University. Health education. Seoul: Hanmibook; 2012: 55-9, 75-84. 

  2. Kim YE, Chung YK, Kim KS. A study on the relations of health promoting daily life style and self-efficiency in boys' high.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00; 13(2): 241-59. 

  3. Kim YH, Song KB, Lee SK.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mothers and dental health belief of their children.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02; 15(1): 83-92. 

  4. Jun SH, Jeong SH, Park JH, Lee HK, Song KB. Effective evaluation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 Daegu, Ko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6; 30(4): 421-9. 

  5. Chang BJ. Study on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J Dent Hyg Sci 2008; 8(3): 163-8. 

  6. Kim JB, Kim KS, Kim YH, Jeong SH, Jin BH, Choi EM, et al. Public oral health. Seoul: Komoonsa; 2004: 5-13. 

  7. Kegeles SS. Why people seek dental care: a test of a conceptual formulation. J Health Hum Behav 1963; 4(3): 166-73. 

  8. Lee HS. Associ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 and dental health-related behavior in mothers and children.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6; 20(1): 11-30. 

  9. Becker MH, Mainman LA, Kirscht JP.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diction of dietry compliance: a field experimental. J Health Soc Behav 1977; 18: 348-66. 

  10. Potanen R, Lahti S, Hausen H. Oral health-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beliefs among 11 to 12 years old finish school children with different oral health behaviors. Acta Odontol Scand 2005; 63(1): 10-6. 

  11. Lee KH, Park DH. A study of the effect of mother's health belief on children's health belief and dental health behavior. J Korean Acad Pediatr Dent 1994; 4(1): 143-59. 

  12. Choi YJ.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and oral health management capacity: focused on the patients visiting a dental clinic[Doctoral dissertation]. Pusan: Univ. of Kosin, 2012. 

  13. Kang HS. Relationship between dietry behavi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Doctoral dissertation]. Gyeonggi: Univ. of Myongji, 2012. 

  14. Conner M, Norman P. Predicting health behaviour: The role of social cognition in health behaviors.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001: 1-22. 

  15. Janz NK, Becker MH.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 Q 1984; 11: 1-47. 

  16. Park GJ, Kang YH.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in relation to oral health beliefs of mothers and children. J Korean Soc Mater Child Health 2010; 14(1): 35-47. 

  17. Siddall LA. Relationships of age,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liefs in adult women[master's thesis]. Omaha: Clarkson College, 1996. 

  18. Ji MG.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practice.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08; 8(4): 165-78. 

  19. Chen M, Land KC. Testing the health belief model: LISREL analysis of alternative models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s and preventive dental behaviors. Social Psychol Q 1986; 49(1): 45-60. 

  20. Jun BH, Choi MH. A correlative study of children's dental health belief and dental health behavior.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2006; 10: 7-19. 

  21. Hong YR.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o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6; 17(1): 102-11. 

  22. Kang MJ, Park YS.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School Health 2004; 5: 43-70. 

  23. Yi GM, Hyun HJ. A Study on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belief, and the number of dental ca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2009; 20(4): 53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