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안 바다목장 해역에서 새우조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caught by shrimp beam trawl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aean,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49 no.3, 2013년, pp.238 - 249  

박준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조현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차병열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권대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류동기 (군산대학교 수산과학과) ,  황학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전략사업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in the marine ranchig ground of Taea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shrimp beam trawl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 total of 99 species, $5,355,816ind./km^2$ and $84,697kg/km^2$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우조망을 사용하여 태안 바다목장의 수산생물을 어획하여 종조성 및 군집구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본 조사는 태안 바다목장해역에서 출현하는 수산생물의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새우조망에 어획되는 수산생물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여 월별 어종별 자원밀도를 구하였고, 종조성 및 종다양도지수를 구하여 군집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태안 바다목장에 서식하는 수산생물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규모 바다목장의 조성의 배경은 무엇인가? 1960년대 이후 황해 연안 역에는 한국과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많은 인구와 산업 시설이 들어서 있으며, 산업폐기물 및 오염물질의 발생량과 발생증가율이 매우 높아져 생산 잠재력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안의 생산 잠재력을 회복하고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높은 생산력을 효율적으로 유지, 이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이 적용되어 왔으며, 자원조성 및 유지관리 그리고 체계적인 어장관리를 위한 방안 중 가장 환경 친화적이고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대단위의 첨단기술을 도입한 방법이 대규모 바다목장의 조성이다. 1998년 9개년 계획으로 통영해역에서 먼저 실시되었고, 현재 전남, 동, 서, 제주해역의 5개 지역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자원조성을 위하여 조피볼락, 볼락, 감성돔, 참돔, 노래미, 넙치, 전복, 개조개 등의 대상종을 매년 방류하고 있다.
대규모 바다목장의 조성 계획의 실시 내용은? 이러한 연안의 생산 잠재력을 회복하고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높은 생산력을 효율적으로 유지, 이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이 적용되어 왔으며, 자원조성 및 유지관리 그리고 체계적인 어장관리를 위한 방안 중 가장 환경 친화적이고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대단위의 첨단기술을 도입한 방법이 대규모 바다목장의 조성이다. 1998년 9개년 계획으로 통영해역에서 먼저 실시되었고, 현재 전남, 동, 서, 제주해역의 5개 지역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자원조성을 위하여 조피볼락, 볼락, 감성돔, 참돔, 노래미, 넙치, 전복, 개조개 등의 대상종을 매년 방류하고 있다. 그중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태안 바다목장은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국비를 투입하여 충남 태안군 안면읍 일대 2,500ha를 대상으로 어장환경 조성 및 갯벌생태 체험형 바다목장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서해안의 특성을 잘 갖추고 있는 태안지역에 바다목장 기반조성, 바다목장 조성, 사후 관리 및 효과조사의 총 3단계로 추진하였다(NFRDI, 2009).
서해를 중심으로 한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서해를 중심으로 한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는 고군산군도 연안의 어류상 (Kim and Lee, 1993), 태안 연안의 어류상 (Choi and Jang, 2007), 한국 서해 어류상의 재검토 (Lee, 2004), 오터트롤에 채집된 황해 동부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자원밀도 (Im, 2007),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Lee, 1996),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Hwang and Lee, 1999) 등이 있고, 바다목장의 군집 대한 연구는 울진(Yoon et al., 2011), 제주 (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2. Choi Y and Jang JH. 2007. Ichthyofauna of intertidal zone in the Taean marinepark, western coast, Korea. Kor J Environ Biol 25, 297-302. 

  3. Hwang HB and Lee TW. 199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ith depth in Asan Bay. Kor J Ichthyol 11, 52-61. 

  4. Im YJ. 2007.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collected by otter trawl in the Eastern Yellow sea. Ph.D. Thesis, Inha University, Korea, 1-106. 

  5. Jeong GS, Im YJ, Cha BY, Hwang HJ, Kwon DH, Park JS and Jo HS. 2012.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aquatic organism caught by commercial fishing of the pot and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Korea. J Kor Fish Tech 48, 387-400. 

  6. Kim HS, Lim HS, Jo YJ, Choi JI and Choi OI. 1999. Benthic macrofauna on the artificial reefs and their surrounding bottom i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Bull Nat Fish Res Dev Inst Korea, 56, 13-26. 

  7. Kim IS and Lee WO. 1993. The fish fauna of the Kokunsan Islands, Korea. Kor J Ichthyol 5, 41-52. 

  8.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615. 

  9. Kim YS, Choi JH, Kim JN, Oh TY, Choi KH, Lee DW and Cha HK. 2010.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Sacheon marine ranchi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6, 335-345. 

  10. Lee CL. 2004. Review of the fish-fauna of the We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16, 60-74. 

  11. Lee SK, Seo YI, Kim JI, Kim HY and Choi MS. 2011.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of fishes by beam trawl in Yeoja bay. Kor J Ichthyol 23, 206-216. 

  12.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1. Demersal fish J Kor Fish Soc 29, 71-83. 

  13. Lim HC and Choi Y. 2000. Fish fauna of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in the West Sea of Korea. Kor J Ichthyol 12, 215-222. 

  14.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ititude). 200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8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019, 536-558 

  15.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ititude). 2010.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9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269, 393-429 

  16. Oh TY, Cha HK and Choi JH. 2004. Population dynamics of smoothshell shrimp, Parapenaeopsis tenella from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Bull Korean Soc Fish Tech 40, 9-16. 

  17. Oh TY, Cha HK, Chang DS, Hwang CH, Nam YJ, Kwak SN and Son MH. 2010. Seasonal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mmunities in artificial reef unit at marine ranching area in the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J Kor Fish Tech 46, 139-147. 

  18.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onis University Press, Urbana, 1-117. 

  19. Yoon BS, Yoon SC, Lee SI, Kim JB, Yang JH, Park JH, Choi YM and Park JH. 2011.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survey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4, 506-5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