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잡지 광고의 섹슈얼 이미지 내용분석 -메트로섹슈얼, 레트로섹슈얼, 호모섹슈얼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Sexual Images in Men's Magazine Advertisements -Metrosexual, Retrosexual, Homosexua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7, 2013년, pp.80 - 90  

이은선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  안정선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빠르게 성장하는 니치 시장으로 게이 소비자들의 인기도는 계속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성별, 인종, 성적 이미지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들과 비교할 때, 게이 소비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잡지 광고들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세 가지 남성 표적들(메트로섹슈얼, 호모섹슈얼, 레트로섹슈얼)을 겨냥한 광고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를 위하여 GQ, Out, Maxim이라는 대표적인 남성 잡지들을 선정하여 제품별(제품군, 가격, 명품)과 모델 효과(기본정보, 섹슈얼리티, 사회적 위치, 남성성)에 따라 광고 콘텐츠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Q와 Out은 Maxim보다 더 고가의 명품 브랜드들의 광고들을 게재하였으며 남성을 더 성적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growing popularity of gay consumers as a fetching niche market, there has been little academic attention paid to the homosexual themes in print media, especially compared to research on gender, race, and sex imagery in ads. The present study aims to fill this void by examining advertis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게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하는 제품들은 고가의 명품 브랜드들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서로 다른 잡지들에 따라 광고된 제품들의 특성을 범주, 가격과 명품여부를 분석하고자 한다.
  • 특히 잡지의 경우 관심사, 취미, 소득수준 등 다양한 표적 세분화가 가능하여 구독하는 잡지를 보면 그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정성적 매체이다[20].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을 참고하여 남성 잡지들 중에서 남성의 젠더를 일반적인 남성들의 섹슈얼 이미지로 구분하여 특정 남성 소비자 군들을 표적화한 잡지들을 선정하고자 한다[5][9][19]. 남성잡지 표지모델의 섹슈얼 이미지를 분석한 윤을요(2012)는 호모섹슈얼, 크로스섹슈얼, 메트로섹슈얼, 위버섹슈얼로 패션 스타일로 나누었다 [10].
  • 이처럼 남성 소비자들의 이미지들은 변화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고 있는 남성 소비자들의 이미지들을 알아보고자, 일반 남성 소비자들이 보는 잡지(GQ, Mixim)와 게이 소비자들이 보는 잡지(Out)에 실린 광고 콘텐츠를 비교 분석하여 매체에 따라 어떻게 게이 표적 광고를 집행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게이 윈도우 광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GQ라는 잡지의 경우, Out와 유사하게 명품이나 패션제품의 광고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세 가지 변수들(노출정도, 성적 응시, 유혹성)으로 섹슈얼리티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특성상 게이 소비자 표적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게이 상징물(gay symbol) 제시 여부를 조사하였다[27]. (3) 사회적 지위,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위란, 광고에 나타난 모델들의 사회적 신분을 말하는 것으로 부유함(affluence), 트렌디함(trendy), 평범함(everyday)로 나누어 평가하여 코딩하였다[31].
  • 게이 캐릭터들을 출현시킨 지상파 프로그램에 최고의 상을 줄만큼 미국 소비자들의 관용(tolerance)이 높아진 해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그 특정한 해에 특색이 있는 매체에 게재된 광고들을 분석하여 기업의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여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들 중에서 주요 분석 요인인 인간 모델을 포함하지 않은 광고들을 제외하고 최종 475개의 광고들만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 본 연구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표적들을 대상으로 출판되고 있는 세 잡지들에 게재된 광고들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남성 잡지들 중 표적이 서로 다른 분류의 잡지들 중 대표 잡지들의 광고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이러한 측면에서 다른 나라의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은 국내 광고 콘텐츠 전략의 흐름과 방향을 예측하는 데 매우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문화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미국의 인쇄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여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및 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는 소비자들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가 광고에 어떻게 반영되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시장의 크기가 커지고 있는 게이 시장을 겨냥한 광고들의 콘텐츠를 인쇄 매체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여 채널에 따라 어떻게 광고 콘텐츠가 변화하는 가를 분석하고 표적 시장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함께 성정체성 및 성역할과 관련된 스테레오 타입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 본 연구는 특정 소비자군인 게이 소비자들을 표적으로 집행하는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특히, 채널인 잡지를 표적에 따라 나누어-호모섹슈얼 소비자, 메트로섹슈얼 소비자, 레트로섹슈얼 소비자- 잡지의 광고 내용을 분석하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특정 소비자군인 호모섹슈얼 소비자들을 표적으로 집행하는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특히, 채널인 잡지를 표적에 따라 나누어-호모섹슈얼 소비자(Out), 메트로섹슈얼 소비자(GQ), 레트로섹슈얼 소비자(Maxim)- 표적들이 세 가지 유형의 잡지들에서 어떻게 광고 콘텐츠에 상징화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럼으로써 표적 소비자들은 광고된 브랜드에 대해더 우호적인 태도를 형성할 것이고 기업들은 정확한 메시지 전달로 소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광고들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기업들이 어떻게 표적 소비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남성 소비자들의 성적선호도에 따라 집행할 수 있는 3가지 유형의 표적 광고들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특정 소비자군인 호모섹슈얼 소비자들을 표적으로 집행하는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특히, 채널인 잡지를 표적에 따라 나누어-호모섹슈얼 소비자(Out), 메트로섹슈얼 소비자(GQ), 레트로섹슈얼 소비자(Maxim)- 표적들이 세 가지 유형의 잡지들에서 어떻게 광고 콘텐츠에 상징화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특정 소비자군인 게이 소비자들을 표적으로 집행하는 광고 콘텐츠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특히, 채널인 잡지를 표적에 따라 나누어-호모섹슈얼 소비자, 메트로섹슈얼 소비자, 레트로섹슈얼 소비자- 잡지의 광고 내용을 분석하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게이 소비자에 대한 표적 마케팅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2005년 미국의 3개 주요 잡지들 -GQ, Maxim, Out-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고주와 기업들이 호모섹슈얼 소비자를 표적으로 한 광고를 집행하길 꺼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광고주와 기업들은 공개적으로 호모섹슈얼 소비자를 표적으로 한 광고를 집행하길 꺼려할 것이 다. 왜냐하면, 부정적인 낙인이 찍힌 그룹의 멤버들(호모섹슈얼 소비자)이 광고에 나오면, 우위적인 위치를 차지한 집단의 멤버들(일반 소비자들)이 더 부정적으로 반응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호모섹슈얼은 무엇인가? 호모섹슈얼이란 동성에게 성적 매력과 욕구를 느끼는 동성애자를 뜻하는 말로, ‘닮았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접두어 호모(homo)와 ‘나누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섹스(sex)가 조합된 잡종이 아닌 순수하고 동질적인 것을 의미하며 이성애(heterosexuality)의 반대말로 쓰이고 있다[10].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승인되었던 고대 이후 종교적인 영향이 커진 르네상스 시대 이후 동성애는 용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윤을묘(2012)에 따르면 남성 잡지는 이미지에 따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남성을 타겟으로 출판되는 잡지들은 다양하다. 남성 잡지들을 이미지에 따라 분류한 윤을묘(2012)에 따르면 호모섹슈얼, 메트로섹슈얼, 레트로섹슈얼로로 나눌 수있다[20]. 이미지별로 잡지를 분류하면 먼저, 호모섹슈얼들만을 위한 아우트(Out)와 같은 잡지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Q. Bian and S. Forsythe, "Purchase Intention for Luxury Brands: A Cross cultural Comparison," J. of Business Research, Vol.65, No.10, pp.1443-1451, 2011. 

  2. D. Kjeldgaard, "Youth Identities and Consumer Culture: Navigating Local Landscapes of Global Symbol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9, pp.387-392, 2002. 

  3. 이리에 아쓰히코, 핑크머니 경제학, 김정환 역, 스펙트럼북스, 2009. 

  4. M. DeLozier and J. Rodrigue, "Marketing to the Homosexual (Homosexual) Market: A Profile and Strategy Implication," J. of Homosexuality, Vol.31(1/2), pp.203-212, 1996. 

  5. 이민선, 김민자, "게이 자아 정체성에 따른 게이의 의복 특성-드라마 를 중심으로 -". 복식, 제62권, 제6호, pp.1-18, 2012. 

  6. http://www.commercialcloset.org/common/news/reports/detail.cfm?classificationreport&qID4784&clientID11064&topicID384&subsectionresources&subnavresources 

  7. G. Oakenfull and T. Greenlee, "Queer Eye for a Homosexual Guy: Using Market-specific Symbols in Advertising to Attract Homosexual Consumers without Alienating the Mainstream," Psychology & Marketing, Vol.22, No.5, pp.421-439, 2005. 

  8. 이명천, 김요한, 광고학 개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9. 이귀옥, 이원정, "남성성의 다중화와 여성화: 1996년부터 2002년까지의 남성잡지광고 내용 분석", 광고학연구, 제15권, 제5호, pp.257-278, 2004. 

  10. 윤을요, "남성 잡지 표지 모델의 섹슈얼 이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275-285, 2012. 

  11. 김정환, 양숙희, "현대 패션에 나타난 호모섹슈얼리즘",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권, 제1호, pp.74-81, 1999. 

  12. I. Torres and E. Briggs, "Identification Effects on Advertising Response," J. of Advertising, Vol.36, No.3, pp.97-108, 2007. 

  13. S. Basow and K. Johnson, "Predictors of Homophobia in Female College Student," Sex Roles, Vol.42, No.5/6, pp.391-404, 2000. 

  14. http://www.scarborough.com/press-release.php?press_idGay-Lesbian-Best-Brands&q_stringstart_set115&s_string/press-results.php 

  15. S. Grier and A. Brumbaugh, "Noticing Cultural Differences: Ad Meanings Created by Target Markets and Non-target Markets," Journal of Advertising, Vol.28, No.1, pp.79-93, 1999. 

  16. G. M. Herek, "Sexual Prejudice and Gender: Do Heterosexuals' Attitude toward Lesbians and Homosexual Men Differ?," Journal of Social Issues, Vol.56 (Summer), pp.251-266, 2000. 

  17. S. Coltrane and M. Messineo, "The Perpetuation of Subtle Prejudice: Race and Gender Imagery in 1990s Television Advertising," Sex Roles, Vol.4, No.2(5/6), pp.363-389, 2000. 

  18. M. C. Tharp, Marketing and Consumer Identity in Multicultural America, Thousands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001. 

  19. K. Sender, "Selling Sexual Subjectivities: Audiences Respond to Homosexual Window Advertising,"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Vol.16, pp.172-196, 1999. 

  20. 오미영,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21. 양윤직, 디지털 시대의 광고 미디어 전략,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0. 

  22. 폴 아케르만, Mr. 남성의 재탄생, 이정순역, 사람의 무늬(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1. 

  23. 우지영, 류세자, "20-30대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메트로섹슈얼 성향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4, No.2, pp.31-45, 2006. 

  24. 김영란, "2000년대 패션에 나타난 레트로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존 갈리아노와 알렉산더 맥퀸의 컬렉션 의상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69-85, 2010. 

  25. S. Yin, "Coming out in Print," American Demographics, Vol.25, pp.18-2, 2003. 

  26. T. Case and L. Granatstein, "Metrosexual Mortality," MediaWeek, Vol.16, pp.17-18, 2006. 

  27. N. Krassas, J. Blauwkamp, and P. Wesselink, "Master Your Johnson": Sexual Rhetoric in Maxim and Stuff Magazines," Sexuality & Culture, Vol.7, No.3, pp.98-119, 2003. 

  28. T. Case and L. Granatstein, "Metrosexual Mortality," MediaWeek, Vol.16, pp.17-18, 2006. 

  29. A. Bailey, "A Year in the Life of the African-American Male i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Vol.35, No.1, pp.83-104, 2006. 

  30. D. Mastro and S. Stern, "Representations of Race in Television Commercials: A Content Analysis of Prime-time Advertis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7, No.4, pp.638-647, 2003. 

  31. M. Thomas and L. Treiber, "Race, Gender, and Status: A Content Analysis of Print Advertisements in Four Popular Magazines," Sociological Spectrum, Vol.20, pp.357-371, 2000. 

  32. A. Hetsroni, "Values in Informercial and Commercials: The Influence of Format, Product Type and Advertisement Approach,"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5, No.1, pp.13-24, 2003, 

  33. M. Lombard, J. Snyder-Duch, and C. Bracken, "Content Analysis in Mass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Reporting of Intercoder Reliabil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No.4, pp.587-604, 2002. 

  34. G. Avila-Saavedra, "Nothing queer about queer television: televised construction of gay masculinities," Media, Culture & Society, Vol.31, No.1, pp.5-2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