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농촌체험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 현황
Current State of Dietary Life Education through Rural Activities for Adolescent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2 no.1, 2013년, pp.231 - 243  

김유경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심기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rural activities in dietary life education, through a survey of adolescents on rural activities in dietary lif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63.2% of subject students had the experience of rural activities; and that as many as 35.2% a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체험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은 교육적 효과에 불구하고 청소년의 식습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수준이며, 대부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성장기 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Park & Huh,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농촌체험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농촌체험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체험을 통한 청소년들의 식생활 개선과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농촌체험활동의 중요성에 중점을 두고 앞으로의 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점을 제공하고자 14세-20세 이하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올바른 식생활 관리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식생활교육이 매우 시급한 이유는? 일단 형성된 식습관은 쉽게 교정하기 어려우므로 어릴 때부터 가정과 학교에서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식생활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가지고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Kim & Sim, 2011). 그동안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식생활 교육이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져왔으나, 부모의 바쁜 사회생활로 인해 생활 전반에 있어 가정에서의 교육이 크게 저하되었고 자녀의 식습관이나 식사예절에 대해 지도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올바른 식생활 관리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식생활교육이 매우 시급하다 (Yeom et al.
녹색식생활교육의 3대 가치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 5월 27일 식생활교육지원법을 제정하고, 11월 28일 시행하여 2010년 4월 5일 식생활교육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환경․건강․배려를 녹색식생활교육의 3대 가치로 설정하여 녹색 식생활을 보급하고, 푸드 마일리지 표시 등을 통한 범국민적 운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영양중심의 초등학교 영양교육을 개선하여 어린 시절 식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식생활, 생활습관병 증가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식생활, 자연과 농식품 생산자에 대한 배려와 감사하는 내용의 식생활교육을 계획하고 있다(Ministry of Strategy & Finance et.
청소년기에 균형적인 영양소의 공급과 규칙적인 식생활이 필요한 이유는?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되는 시기로 영양소의 요구량이 양적 질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균형적인 영양소의 공급과 규칙적인 식생활이 필요하다(Choi, 2007). 이 시기는 학업에 대한 부담감이 커짐에 따라 운동이나 수면 부족으로 식욕이 저하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결식이나 식사량이 일정하지 못하고 또래 집단의 영향 등으로 식습관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Park,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H. J. (2007). A study on the interest of the body weight control,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weight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2. Choi, M. K., Bae, Y. J., Kim, M. H., & In, S. J. (2010). A survey of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6(2), 133-145. 

  3. Chung, H. I. (2004).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field learning of rural life and character build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Busan University, Korea. 

  4. Kim J. H. & Jeon, S. K. (2010).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s and textbooks analysis for school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8(9), 125-136. 

  5. Kim, J. Y. & Sim, K. H. (2011). The actual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execu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support act.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4(3), 295-305. 

  6. Kim, S. Y. & Kim, H. S. (2008).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3(5), 556-562. 

  7. Kim, Y. K.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rural activities on adolescents' dietary educa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8. Kyeon, Y. K., Jang, Y. A., & Kim, J. W. (2006).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H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9(8), 808-816. 

  9. Lee, S. I., Jeon, I. C., Oh, H. E., & Kim, Y. G. (2012). Developing onsite learning program for rural experiences : focusing on application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al program. Rural Tourism Research, 19, 19-39. 

  10. Lim, N. K. (2009). Development direction of green dietary intake movement. KFN 2009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Book (p. 114-115) Seoul. Korea. 

  11. Lineberger, S. E. & Zajicek, J. M. (2000). School gardens. Hort-Technology, 10, 593-597. 

  12. Min, K. C., Park, Y. S., Park, H. W., Lee, M. H., Shin, Y. C., Cho, K. B., Rhie, K. I., Jeaung, K. O., Shin, Y. S., & Yoon, H. S. (2006). Nutrition education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north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Nutrition, 19(2), 183-192. 

  13. Ministry of Strategy & Financ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 Security,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Development of Korean diet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 Seoul: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 Fisheries. 

  14. Morris, J. L., Neustadter, A., & Zidenberg-Cherr, S. (2001). First grade gardeners are more likely to taste vegetables. California Agriculture, 55, 43-46. 

  15. Paik, J. J. (1990).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elementary teachers. Chuncheon Teachers College, 30, 85-97. 

  16. Park, H. H. (2003). A Study on nutritional knowledge, perception and use of fortifi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7. Park, I. Y. (2003). A comparis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nutrition and eating behaviors before and after studying the unite of eating habits in Technical studies.home economics.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8. Park, J. A. & Chang, K. 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7(10), 928-937. 

  19. Park, S. H. & Huh, M. R. (2009). Effect of a horticultural program with nutrition emphasis on preschool children to promote healthy eating habit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7(3), 497-502. 

  20. Park, Y. H., Kim, H. H., Shin, K. H., Shin, E. K., Bae, I. S., & Lee, Y. 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9(4), 403-416. 

  21. Park, P. S., Song, E. J., Hwang, S. R., Park, K. O., & Park, M. Y. (2011). Effect of skipping breakfast based on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anju, Gyeongbuk provi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4), 861-869. 

  22. Park, H. N., Jeong, H. S., & Joo, N. M. (2008).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ies for 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3(4), 455-461. 

  23. Shin, E. K., Shin, K. H., Kim, H. H., Park, Y. H., Bae, I. S., & Lee, Y. 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2(1), 89-101. 

  24. Yang, J. H. (2010).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progra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n the change of disabled children toward dietary attitud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1), 163-182. 

  25. Yang, Y. J. (2008). The effect of school lunch on middle school student's changes in the eating habits.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26. Yeom, C. A., Kim, H. R., Park, H. R., Kim, H, S., Kim, S. A., Park, O. J., Shin, M. K., & Son, S. M. (1995). Parents and principals of elementary school with meal service want sou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erformed by dietitian.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 8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