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지역 학교급식 다기능오븐의 이용실태 및 영양(교)사와 조리사의 만족도
Actual Use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Dietitians and Cooks over Combi-steam Oven of School Foodservices in Gyeonggi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4, 2013년, pp.331 - 342  

김미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은혜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은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actual utilization condition of combi-steam ovens and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dietitians and cooks who used the oven in school foodservice. A survey of 300 schools, 1 dietitian and 1 cook from each school respectively;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 다기능 오븐기의 설치율이 높은 경기도 학교급식을 대상으로 다기능오븐 이용 실태, 영양(교)사 및 조리사의 다기능오븐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급식관련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 · 평가함으로써 다기능오븐 이용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다기능오븐을 보유하고 있는 초 · 중 · 고등학교의 조리사와 영양사를 대상으로 다기능오븐의 이용실태 및 영양(교)사 및 조리사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구식 음식문화의 정착은 학교 급식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가? 서구식 음식문화의 정착으로 인한 식용 유지 및 트랜스지방 섭취 확대에 따라 에너지/지방과잉섭취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질병관리본부 2011), 이는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소아비만, 소아당뇨,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같은 성인병 증가의 원인이 되므로(Lee KA 2009), 학교급식에서는 영양 관리 강화를 위한 다양한 조리방법 활용과 기름 섭취를 줄이는 조리법 등이 강조 되었다.
학교급식의 설립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학교급식은 학생의 건전한 심신의 발달과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통령 공약 사업을 통해 학교급식은 양적으로 급성장했으나, 학교급식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정부 지원의 미흡, 급식업무의 과중, 학교 급식 조직 및 지도 · 감독 시스템의 미흡 등으로 급식 운영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으며(Kim MJ 2005), 학교급식의 만족도도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ES 2004, Lee YE 2008).
본 고에서 조사한 다기능오븐 보유 학교의 유형별 비율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지역에 소재한 다기능오븐을 보유하고 있는 초 · 중 · 고등학교의 조리사와 영양사를 대상으로 다기능오븐의 이용실태 및 영양(교)사 및 조리사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교 유형은 초등학교 40%, 중학교 31%, 고등학교 29%이었고, 농촌형 39.5%, 도시형 60.5%이었으며, 단일시간급식 학교 69.5%, 시차제급식 학교 30.5%이었다. 다기능오븐의 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09. Guideline of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p 11 

  2.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0. Guideline of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p 11 

  3.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1. Guideline of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p 13 

  4.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12. Guideline of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p 33 

  5.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0. Operational status of school food service in 2009 

  6.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 Operational status of school food service in 2010 

  7.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2. Operational status of school food service in 2011 

  8. Kim SH. 2001. A study on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quality.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 2 

  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Law on school food service 

  10. Jang DS. 2007. Food sanitation. Jeongmoongak. Seoul. p 24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 Available from:http://knhanes.cdc.go.kr/. Assessed June 17, 2013 

  12. Cha JA. 2003. A material on food sanitaion and foodservice facilities management.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13. Chang HJ, Son HJ, Choi GG. 2009.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areas' space and suggestion of their equipment requirements for school foodservice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4): 474-487 

  14. Choi EH, Lee JM, Kwak DK. 1995. A study on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meal cost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1(1): 54-65 

  15. Heo HN.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service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s and job satisfaction. Master thesis. Sangji University of Korea. pp 102-110 

  16. Kim BK. 2008.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Ulsan area. Master thesis. Ulsan University of Korea. p 41 

  17. Kim ES. 2004. A study on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 of school foodservice in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of Korea. p 41 

  18. Kim JG. 2003. A surve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Kor J Env Hlth 29(2): 87-93 

  19. Kim MJ. 2005. A stud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tatus of commissary school. Master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 2 

  20. Kim OH. 2003. Study on the development on the semi-cooked food using steam oven for foodservice system. Master thesis. Sejong University of Korea. p 20 

  21. Kook SJ, Choi BS, Rho JO. 2009. A study on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22(4): 497-507 

  22. Lee JA. 2008. Evaluation of oven utilization effects at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of Korea. p 40 

  23. Lee KA. 2009. Analysis on expected effects of meals management follows oven-using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regions of Gyeonggi province.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1-37 

  24. Lee OJ. 2004.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needs and cost/benefit effects of quantity cooking equipment. Master thesis. Kyungwon University of Korea. p 29 

  25. Lee YE. 2008.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chool foodservice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3(1):105-114 

  26. Lee YW, Hong JH. 1992. Development of an inspection item and its application for the hygienic improvement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odel. Kor J Food Hygine 7(2):219-231 

  27. Park AR, Lee SJ. 2008. Development of the HACCP plan for the safety of Cheyuk-Pokkum (spicy pan-fried pork and vegetables) cook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 365-372 

  28. Park HJ, Lee SM. 2011.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 of dietic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Gyeonggi area. J Korean Diet Assoc 17(2): 161-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