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전하 조절층의 두께 변화가 성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Changing the Thickness of Charge Control Layer on Performance of Gree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0 no.2, 2013년, pp.244 - 250  

이동형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  이석재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  구자룡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  이호원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  이송은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  양형진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  박재훈 (한림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영관 (홍익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하 조절층을 이용하여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의 향상을 나타냈다. 양극성의 4,4,N,N'-dicarbazolebiphenyl (CBP)를 호스트와 전하 조절층으로 사용하여 발광층 내에서 전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전하 조절층의 삽입으로 엑시톤을 효과적으로 발광층 내에 제한하여,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광층의 전체 두께는 유지하고, 전하 조절층의 변화를 준 다섯 개의 소자를 제작하여 최적화된 전하 조절층의 두께를 이용한 Device D는 외부 양자 효율 16.22%와 휘도 효율 55.76 cd/A의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gree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LEDs) with charge control layer (CCL) to produce high efficiency. The CCL and host material which was 4,4,N,N'-dicarbazolebiphenyl (CBP) of bipolar property can control the carrier movement in emitting layer (EML). The perform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발광층 내에 양극성의 전하 조절층을 호스트와 동일한 물질인 4,4,N,N'-dicarbazolebiphenyl (CBP)를 삽입하여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였고, 삼중항 엑시톤을 효과적으로 발광영역 내에 제한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전하 조절층의 두께의 변화가 소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13].

가설 설정

  • Indium-tin-oxide (ITO)가 코팅된 유리 기판에서 ITO의 두께는 180 nm, 표면저항은 10 Ω/sq 이다. 기판의 표면 상태는 증착된 박막의 특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기판의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과 미립물질은 증착된 유기물의 변형, ITO와 유기물간의 계면 특성 저하, 전압 인가 시 불순물이 타버리거나 ITO와의 접촉 불량등에 의하여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발광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나 소자수명의 단축에 영향을 끼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장점은? A. Van Slyke가 두 개의 유기물 층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한 이후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해상도, 휘도, 응답속도 등이 우수하고 넓은 시야각과 자발광으로 인한 초박막의 디스플레이와 flexible 디스플레이로의 제작에 적합한 유기발광다이오드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5]. 그 중에서도 미국 Princeton 대학의 S.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의 억제를 위해 어떤 연구가 필요한가? 그러나 인광 엑시톤의 긴 여기 수명으로 인해 고전류에서의 현저한 효율 저하가 관측되었고, 이는 삼중삼-삼중항 소멸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8].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의 억제를 위해 호스트, 도판트 재료의 최적화 및 재결합 영역의 확장을 통한 소자구조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면서,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고효율의 발광을 얻기 위해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양극성의 호스트 재료 선택과 더불어 삼중항 엑시톤을 발광층 내에 제한하여 재결합 영역을 넓히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9-12].
유기발광다이오드의 문제점은? Forrest 연구그룹이 원자번호가 큰 중금속을 이용하여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한 엑시톤을 100%까지 활용한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작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면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이 급격히 향상하게 되었다 [6, 7]. 그러나 인광 엑시톤의 긴 여기 수명으로 인해 고전류에서의 현저한 효율 저하가 관측되었고, 이는 삼중삼-삼중항 소멸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8].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의 억제를 위해 호스트, 도판트 재료의 최적화 및 재결합 영역의 확장을 통한 소자구조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면서,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고효율의 발광을 얻기 위해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양극성의 호스트 재료 선택과 더불어 삼중항 엑시톤을 발광층 내에 제한하여 재결합 영역을 넓히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9-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 W. Tang and S. A. VanSlyk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 Phys. Lett., 51, 913 (1987). 

  2. S. R. Forrest, P. E. Burrows, Z. Shen, G. Gu, V. Bulovic, and M. E. Thompson, The stacked OLED (SOLED) : a new type of organic device for achieving high-resolution full-color displays, Synth. Met., 91, 9 (1997). 

  3. Z. Y. Xie and L. S. Hung, High-contras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84, 1207 (2004). 

  4. B. W. D'Andrade and S. R. Forrest,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for Solid-State Lighting, Adv. Mater., 16, 1585 (2004). 

  5. L. Zhou, A. Wanga, S. C. Wu, J. Sun, and S. Park, All-organic active matrix flexible display, Appl. Phys. Lett., 88, 083502 (2006). 

  6. C. Adachi, M. A. Baldo, M. E. Thompson, and S. R. Forrest, Nearly 100% internal phosphorescence efficiency in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 Appl. Phys., 90, 5048 (2001). 

  7. Y. Kawamura, K. Goushi, J. Brooks, J. J. Brown, and H. Sasabe, 100% phosphorescence quantum efficiency of Ir(III) complexes in organic semiconductor films, Appl. Phys. Lett., 86, 071104 (2005). 

  8. M. A. Baldo, C. Adachi, and S. R. Forrest, Transient analysis of organic electrophosphorescence. II. Transient analysis of triplet-triplet annihilation, Phys. Rev. B, 62, 10967 (2000). 

  9. C. Adachi, R. C. Kwong, P. Djurovich, V. Adamovich, M. A. Baldo, M. E. Thompson, and S. R. Forrest, Endothermic energy transfer: A mechanism for generating very efficient high-energy phosphorescent emission in organic materials, Appl. Phys. Lett., 79, 2082 (2001). 

  10. J. H. Park, J. H. Seo, J. H. Seo, J. W. Han, C. Im, S. H. Han, S. H. Lee, and Y. K. Kim,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a New Blue Phosphorescent Material, J. of Korean Oil Chemists' Doc., 24, 74 (2007). 

  11. S. Lee, J. Koo, G. Hyung, D. Lim, D. Lee, K. Lee, S. Yoon, W. Kim, and Y. Kim, Effect of triplet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on the performance of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Nano. Res. Lett., 7, 23 (2012). 

  12. J. R. Koo, S. J. Lee, G. W. Hyung, D. H. Im, H. S. Yu, J. H. Park, K. H. Lee, S. S. Yoon, W. Y. Kim, and Y. K. Kim, Enhanced life time and suppressed efficiency roll-off i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s, AIP Advances, 2, 012117 (2012). 

  13. J. W. Kang, S. H. Lee, H. D. Park, W. I. Jeong, K. M. Yoo, Y. S. Park, and J. J. Kim, Low roll-off of efficiency at high current density i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90, 223508 (2007). 

  14. K. Goushi, R. Kwong, J. J. Brown, H. Sasabe, and C. Adachi, Triplet exciton confinement and unconfinement by adjacent hole-transport layers, J. Appl. Phys., 95, 7798 (2004). 

  15. K. Goushi, Y. Kawamura, H. Sasabe, C. Adacachi, Unusual Phosphorescence Characteristics of Ir(ppy)3 in a Solid Matrix at Low Temperatures, Jpn. J. Appl. Phys., 43, L937 (2004). 

  16. C. W. Seo, J. H. Yoon, and J. Y. Lee, Engineering of charge transport materials for universal low optimum doping concentration i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rg. Electron., 13, 341 (2012). 

  17. R. Agrawal, P. Kumar, S. Ghosh, and A. K. Mahapatro, Thickness dependence of space charge limited current and injection limited current in organic molecular semiconductors, Appl. Phys. Lett., 93, 073311 (2008). 

  18. Z. B. Wang, M. G. Helander, Z. W. Liu, M. T. Greiner, J. Qiu, and Z. H. Lu, Controlling carrier accumulation and exciton formation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96, 04330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