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에서 피부세정제 적용빈도가 정상피부에 미치는 영향
Functional Assessment of Frequency of a Commercial Shampoo for Normal Canine Skin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0 no.4, 2013년, pp.283 - 287  

유종원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피부과학실험실) ,  신희주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피부과학실험실) ,  배슬기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피부과학실험실) ,  최성원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피부과학실험실) ,  오태호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피부과학실험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nine skin is a highly dynamic organ that is constantly adapted to changes in its environment. It provides structural, sensory, immunologic, and physiologic functions and contributes an essential barrier function against potential environmental insults. We assessed the changes of canine skin hyd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의 피부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비침습적인 방법을 이용한 피부세정제 적용 빈도에 따른 피부 산성도, 피부 수화도와 같은 객관적 피부 기능평가 및 D-Squame®을 이용한 피부 건조증 평가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적절한 피부세정제 적용빈도를 확립하는 것이다.
  • 본 실험은 상용 샴푸 사용빈도에 대한 개 피부의 변화상을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D-squame®은 각화된 표피의 단백질을 분석하여 피부 건조증의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각질층에서 나타나는 각화과정의 역할은 무엇인가? 정상적으로, 피부의 각질층은 각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5,13). 이 과정은 각질층 내 각화세포들 간의 결합력이 소실로 인해 탈락된 각화 세포와 기저층으로부터 분화되고 성숙되는 세포간의 세밀한 균형을 통해 보호장벽을 구성하고 각질층의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각질층은 각화세포가 연속적으로 탈락하면서도 일정한 고유한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실내 사육 반려견의 세정 시, 샴푸의 부적절한 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피부 증세는? 일반적인 실내 사육 반려견은 냄새, 오물 등의 제거와 같은 위생적인 목적으로 샴푸를 하는데, 이때 샴푸의 부적절한 적용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의 각화과정을 단축시키는 반복적인 피부 자극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각화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결과, 각질이 증가하고 건조증이 유발되며, 지속적인 피부 문제점을 통해 가려움증, 비듬 및 발적과 같은 피부증세를 보이게 된다(8,11).
개의 각화과정을 악화시키는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개의 정상적인 각화과정은 22일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 과정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는 대부분의 피부질환, 반복되는 자극 및 환경적 요인 등이다(8,16). 일반적인 실내 사육 반려견은 냄새, 오물 등의 제거와 같은 위생적인 목적으로 샴푸를 하는데, 이때 샴푸의 부적절한 적용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의 각화과정을 단축시키는 반복적인 피부 자극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각화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ugust JR, Chickering WR, Rikihisa Y. Congenital ichthyosis in a dog: comparison with the human ichthyosiform dermatoses. Compend Contin Educ Pract Vet 1998;10:40-45 . 

  2. Berardesca E. EEMCO guidance for the assessment of stratum corneum hydration: electrical methods. Skin Res Technol 1997; 3: 126-132. 

  3. Carson CF, Riley TV.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ea tree oil. Med J Aust 1994; 160: 236. 

  4. Chesney CJ. Measurement of skin hydration in normal dogs and in dogs with atopy or a scaling dermatosis. J Small Anim Pract 1995; 36: 305-309. 

  5. Elias PM. Stratum corneum defensive functions: an integrated view. J Invest Dermatol 2005; 125: 183-200. 

  6. Fluhr JW, Kao J, Jain M, Ahn SK, Feingold KR, Elias PM. Generation of free fatty acids from phospholipids regulates stratum corneum acidification and integrity. J Invest Dermatol 2001; 117: 44-51. 

  7. Harding CR, Watkinson A, Rawlings AV. Dry skin, moisturization and corneodesmolysys. Int J Cosmet Sci 2000; 22: 21-52. 

  8. Harding CR. The stratum corneum: structure and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Dermatol Therapy 2004; 17: 6-16. 

  9. Jenkinson DM. Sweat and sebaceous glands and their function in domestic animals. Adv Vet Dermatol 1989; 1: 229-251. 

  10. Joachim W, Martin J. Barbara E, David G. Stratum Corneum Acidification in Neonatal Skin: Secretory Phopholipase A2 and the Sodium/Hydrogen Antiporter-1 Acidify Neonatal Rat Stratum Corneum. J Invest Dermatol 2004; 122: 320-329. 

  11. Kollias N, Stamatas GN. Optical non-invasive approaches to diagnosis of skin diseases. J Invest Dermatol Symp Proc 2002; 7: 64-75. 

  12. Lindemann U, Weigmann HJ, Schaefer H, Sterry W, Lademann J. Evaulation of the pseudo-absorption mehtod to quantify human stratum corneum removed by tape stripping using protein absorption.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2003; 16: 228-236. 

  13. Lloyd DH, Garthwaite G. Epidermal structure and surface topography of canine skin. Res Vet Sci 1982; 33: 99-104. 

  14. Matousek JL, Campbell KL, Kakoma I, Schaeffer DJ. The effects of four acidifying sprays, vinegar, and water on canine cutaneous pH levels. J Am Anim Hosp Assoc 2003; 39: 29-33. 

  15. Murakami M, Ohtake T, Dorschner RA, Schittek B, Garbe C, Gallo RL. Cathelicidin anti-microbial peptide expression in sweat, an innate defense system for the skin. J Invest Dermatol 2002; 119: 1090-1095. 

  16. Rawlings AV, Watkinson AW, Rogers J, Mayo AM, Hope J, Scott IR. Abnormalities in stratum corneum structure, lipid composition and demosomal degradation in soap-induced winter xerosis. J Soc Cosmet Chem 1994; 45: 203-220. 

  17. Soma Y, Kashima M, Imaizumi A, Takahama H, Kawakami T, Mizoguchi M. Moisturizing effects of topical nicotinamide on atopic dry skin. Int J Dermatol 2005; 44: 197-202. 

  18. Weigmann H, Lademann J, Meffert H, Schaefer H, Sterry W. Determination of the horny layer profile by tape strippin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spectroscopy in the visible range as a prerequisite to quantify percutaneous absorption.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999; 12: 34-45. 

  19. Weigman HJ, Lindemann U, Antoniou C, Tsikrikas GN, Stratigos AI, Katsambas A, Sterry W, Lademann J. UV/VIS a absorbance allows rapid, accurate, and reproducible mass determination of corneocytes removed by tape stripping. Skin Phamacol Appl Skin Physiol 2003; 16: 217-227. 

  20. Wilhelm KP, Kaspar K, Schumann F, Articus 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miautomatic image analysis system for measuring skin desquamation with D-Squames. Skin Res Technol 2002; 8: 98-105. 

  21. Yogeshvar N. Kalia, Ingo Alberti, Nabila Skkat, Catherine Curdy, Aarti Naik, Richard H. Guy. Non-invasive assessment of the effect of formulation excipients on stratum corneum barrier function in vivo. Int J Pharm 2004; 271: 251-2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