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의 대기환경기준물질 농도 추이
The Trend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Criteria Pollutants over Seoul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9 no.4, 2013년, pp.369 - 377  

김용표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여민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ends of the criteria air pollutants' concentrations over Seoul are reviewed, relative contributions of major sources are discussd, and directions for future air quality management are suggested. It was shown that the yearly average concentrations of the criteria air pollutants except nitrog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1) 서울의 대기환경기준물질 농도 추이를 검토하고, (2) 대기 농도 추이와 연관된 관리 대책을 파악하며, (3) 앞으로 남은 문제들을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벤젠은 언제부터 유해대기물질측정망에서 측정 및 관리되고 있는가? 벤젠은 2006년부터 유해대기물질측정망에서 측정 및 관리되고 있으며, 그림 2를 보면, 벤젠의 연평균 농도는 2008년까지 0.5 ppb 이상의 농도를 보이다가 2009년 0.
먼지는 어떤 현상을 유발하는 물질인가? , 2000). 그 밖에도 먼지는 스모그, 지구 냉각화 등 여러 대기오염, 지구환경 현상을 유발하는 물질이다. 현재 미세먼지의 대기환경기준은 PM10이나, 2015년부터는 PM2.
효과적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수립하고, 보완하기 위해서는 각 변수의 상대적인 영향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수도권 대기의 먼지는 배출, 반응에 의한 생성,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이동의 세 변수에 의해 농도가 증가하고, 침적, 외부로의 이동, 반응 및 평형이동에 의한 제거의 세 변수에 의해 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수립하고, 보완하기 위해서는 각 변수의 상대적인 영향을 이해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ng, Y.-M., C.-M. Chou, K.-T. Su, and C.-H. Tseng (2005) Effectiveness of street sweeping and washing for controlling ambient TSP, Atmospheric Environment, 39, 1891-1902. 

  2. Jin, L., S.-H. Lee, H.J. Shin, and Y.P. Kim (2012) A study on the ozone control strategy using the OZIPR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ian J. Atmospheric Environment, 6, 111-117. 

  3. Kanakidou, M., J.H. Seinfeld, S.N. Pandis, I. Barnes, F.J. Dentener, M.C. Facchini, R. van Dingenen, B. Ervens, A. Nenes, C.J. Nielsen, E. Swietlicki, J.P. Putaud, Y. Balkanski, S. Fuzzi, J. Horth, G.K. Moortgat, R. Winterhalter, C.E.L. Myhre, K. Tsigaridis, E. Vignati, E.G. Stephanou, and J. Wilson (2005) Organic aerosol and global climate modelling: A review,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5, 1053-1123. 

  4. Kim, I.S., J.Y. Lee, and Y.P. Kim (2013) Impact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emissions from North Korea to the Air Qu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70, 159-165. 

  5. Kim, Y.P.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 535-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Y.P. (2007)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ambient particles in Seoul,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1, 9-13. 

  7. Kim, Y.P. (2010) Analysis of the trend of atmospheric PM10 concentra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1999 and 2008, J.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 59-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aden, F., L.M. Neas, D.W. Dockery, and J. Schwartz (2000) Associ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from different sources with daily mortality in six US cities, Environ. Health Perspect., 108, 941-947. 

  9. Lee, J.Y. and Y.P. Kim (2007) Source apportionment of the particulate PAHs at Seoul, Korea: Impact of long range transport to a megacity,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7, 3587-3596. 

  10. Lee, S.H., Y.S. Ghim, Y.P. Kim, and J.Y. Kim (2006) Estimation of the seasonal variation of particulate nitrate and sensitivity to the emission changes in the greater Seoul area, Atmospheric Environment, 40, 3724-3736. 

  11. MAQMO, Metropolitan Air Quality Management Office (2013) Draft Report on the Second Phase Special Measures for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Ansan. 

  12. MOE, Minitstry of Envieronment (2011) White Paper of Environment, Seoul. 

  13. MOE, Minitstry of Envieronment (2012) White Paper of Environment, Seoul. 

  14. MOLEP,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2)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Outlook, Pyonyang. 

  15. Na, K. and Y.P. Kim (2007) Chemical Mass Balance Receptor Model applied to ambient C2-C9 VOC concentration in Seoul, Korea: Effect of chemical reaction losses, Atmospheric Environment, 41, 6715-6728. 

  16.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0, Incheon. 

  17. SDI,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Analysis of the reason for the slow reduction of Nitrogen Dioxide ( $NO_{2}$ ) Concentration and Countermeasures in Seoul, Seoul. 

  18. Shin, H.J., K.M. Cho, J.S. Han, J.S. Kim, and Y.P. Kim (2012) The effects of precursor emission and background concentration changes on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 over Korea,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2(1), 93-103. 

  19. Shin, H.J., J.C. Kim, S.J. Lee, and Y.P. Kim (2013) Evaluation of the optimum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rol strategy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ozone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 in Seoul, Korea,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 1468-1481. 

  20.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mgramme (2003) DPR Korea: State of the environment, UNEP RRC.AP, Thai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