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의 변천 및 제어기술의 현황
Management Policy and Control Technology for Indoor Air Qualit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9 no.4, 2013년, pp.378 - 389  

배귀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복지연구단) ,  지준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복지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studies on the indoor air quality have been conducted since mid of 1980s. The turning point occurred in 2003 by establishing the act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for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law, the basic plan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s prepared by govern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실내환경질(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EQ) 센서기술과 이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을 적용하여, 적은 에너지로 건강한 실내환경을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센서기술과 환기기술을 제외한 IAQ 제어기술의 현황과 향후 기술 방향을 고찰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IAQ 관리정책 및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IAQ 제어기술의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표 2에 실내공기 오염원을 입자상 물질과 가스상 물질로 분류하였고, 입자상 물질을 다시 살아있는 입자와 생명성이 없는 입자로 나누었다. 이들 세 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배경, 제어기술의 현황, 대표 제품 및 기술 방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인의 건강보호 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내공기질의 예는?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 IAQ)은 초기에 대기질의 일부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독립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현대인의 건강보호 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유럽사무소에서는 1987년에 처음으로 유럽 대기질 가이드라인(air quality guidelines for Europe)을 발간하였고, 이 가이드라인에서 라돈, 담배연기, 실내공기오염물질이 다루어졌다(WHO, 2000). 이후로 WHO에서는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을 별도로 제정하기 위한 작업반을 운영하여 2009년에 결로(dampness)와 곰팡이(mould)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2010년에 대표적 오염물질에 대한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을 각각 발간하였다(WHO, 2010, 2009).
실내공간이란? 실내공간은 쾌적한 삶의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외부환경과 격리시킨 곳으로, 일반적으로 주거공간, 사무공간, 운송공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대표적 환경요소로는 열(냉난방), 소음, 조도(조명), 공기질 등이 있다.
실내공간은 어느 공간으로 구분되는가? 실내공간은 쾌적한 삶의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외부환경과 격리시킨 곳으로, 일반적으로 주거공간, 사무공간, 운송공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대표적 환경요소로는 열(냉난방), 소음, 조도(조명), 공기질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en, Ib (2008) Before the big bang of indoor climate research, Indoor Air 2008, 17-22 August, Copenhagen, Denmark, Paper ID: Su17K1. 

  2. Bae, G.N. (1995)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in indoor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3), 145-157. 

  3. Bae, G.N. (2010) Reduction and removal technologies for indoor bioaerosols, Air Cleaning Technology, 23(3), 10-22. 

  4. Baek, S.O., H.B. Song, D.C. Shin, S.H. Hong, and H.S. Chang (1998) Seasonal and locational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in indoor air of public facilities in Taegu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4(3), 163-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Building Energy Data Book, http://buildingsdatabook.eren.doe. gov. 

  6. Fisk and Rosenfeld (1997) Estimates of improved productivity and health from better indoor environments, Indoor Air, 7(3), 158-172. 

  7. Jang, S.K., S.E. Yoo, J.M. Ryu, J.H. Park, S.Y. Park, H.M. Kim, W.S. Lee, S.Y. Seo, H.J. Lim, and J.Y. Lim (2008) A Time Series Study on Variations in Concentr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at New Apartments in Korea (I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No. 2008-05-9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ang, S.K., S.Y. Seo, K.D. Kwon, J.Y. Chun, S.Y. Kim, T.H. Lee, S.Y. Park, and J.Y. Lim (2006) Measurementmethod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Daycare Center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No. 2006-47-8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i, J.H., G.N. Bae, S.H. Yoon, J.H. Jung, H.S. Noh, and S.S. Kim (2007) Evaluation of silver nanoparticle generator using a small ceramic heater for inactivation of S. epidermidis bioaerosol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41(8), 786-793. 

  10. Jung, S.G., G.N. Bae, J.Y. Jeong, and S.D. Kim (2006) Characteristics on the adsorption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by an air filter coated with $TiO_{2}$ for hazardous air pollut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2(2), 138-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ung, Y.K., K.C. Noh, J.H. Park, and J. Hwang (2009)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for optimization method of particle removal fibrous filter used in ventilation system,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5(1), 9-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J.S., B. Han, H.J. Kim, Y.J. Kim, and H. Won (2013) Analysis on performance test methods of particle cleaning capacity for large-scale air cleaners including air condition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10(1), 1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J., Y.J. Kim, and B. Han (2007) Performance of high efficiency electret polypropylene filter and its application to an indoor air clean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4(1), 2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K., K.M. Lee, and Y.M. Jo (2008) Assessment of adsorption capacity of sorbents for low level indoor $CO_{2}$ with prepar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5(4), 319-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H., D.H. Kang, D.H. Choi, S.S. Kim, M.S. Yeo, and K.W. Kim (2005) A study on the numerical analysis of VOCs emission from plywood floor material,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17(12), 1123-1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S. (1994)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2), 109-114. 

  17. Lee, C.M. and Y.S. Kim (2004) Analysis of research trend for indoor air pollutants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1(1), 39-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T.J., J.S. Jeon, S.D. Kim, and D.S. Ki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PM_{10}$ source contributions in a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 before/after installing platform screen do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5), 543-5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im, H.J., S.K. Jang, W.S. Lee, S.Y. Seo, J.Y. Lim, J.H. Ryu, Y.C. Jin, S.R. Yun, and H.S. Jung (2008a) Survey on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and Indoor Air for Preparing Management Guideline in Public Buildi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No. 2008-69-10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im, J.Y., S.K. Jang, W.S. Lee, S.Y. Seo, H.J. Lim, K.M. Lee, Y.J. Jung, J.H. Choi, M.J. Yum, J.S. Yeom, and S.J. Suh (2008b)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Emitted from Consumer Products (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No. 2008-70-10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D.S., S.B. Kwon, Y.M. Cho, S.K. Jang, J.S. Jeon, and E.Y. Park (2010) Characteristics of $PM_{10}$ , $PM_{2.5}$ and $CO_{2}$ concentration in public transportations and development of control technology,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6(1), 9-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J.H., J.H. Byeon, K.Y. Yoon, and J. Hwang (2005)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r and UV- $TiO_{2}$ photocatalyst filter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gaseous and particulate contaminants in the test chamb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2(1), 3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J.W. (2010) Legal System to Control Air Quality in Living Spaces,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2010-02. 

  24. Seo, S., S. Jang, H. Lim, J. Lim, W. Lee, H. Park, J. Yoo, Y. Lee, and H. Kim (2008) Improvement uopn Environmental Standard Method for Indoor Air Qualit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No. 2008-68-10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hin, D.M., C.N. Kim, and D.S. Kim (2003)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a carpe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15(1), 40-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ohn, J.Y. (1994) Thermal environment and indoor air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3), 171-180. 

  27. WHO(2000) Air Quality Guidelines for Europe, 2nd ed. 

  28. WHO(2009) WHO Guidelines for Indoor Air Quality: Dampness and Mould. 

  29. WHO(2010) WHO Guidelines for Indoor Air Quality: Selected Pollutants. 

  30. Yang, W.H., K.Y. Lee, K.H. Park, C.S. Yoon, B.S. Son, J.M. Jeon, H.S. Lee, W.H. Choi, S.D. Yu, and J.S. Han (2009) Microenvironmental time activity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on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6(4), 267-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