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계군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8 no.3, 2013년, pp.131 - 141  

김정연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윤문근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강창근 (포항공과대학교 해양대학원) ,  최광호 (국립수산과학원 자원연구과) ,  이충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 동해(북부, 중부, 남부), 서해, 동중국해해구에서 각각 채집된 살오징어의 계군을 형태 및 유전학 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형태학적 차이에 따른 계군분석은 평균성숙외투장(20-22 cm)을 기준으로 하여 발생시기를 구분하였고, 유전학적 특성에 따른 계군은 mtDNA COI 영역의 염기변이에 의한 유전자 다양성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성숙외투장을 기준으로 동해 북부는 발생시기가 하계군, 나머지 집단(동해 중부, 동해 남부, 동중국해 북부, 서해 북부)은 추계군으로 크게 2개의 계군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살오징어 mtDNA COI 영역에서 총 49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TCS 분석결과 haplotype 유전자형 네트워크가 star-like형태이며, 모든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haplotype diversity, h)이 높고(h=0.661~0.841), 반면에 염기 다양도(nucleotide diversity, ${\pi}$)가 낮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보아 국내 서식 살오징어의 경우 최근에 급속한 집단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Pairwise Fst를 이용한 집단분석결과 비록 모든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가 낮게 나타났지만(Fst = 0.001~0.043) 평균성숙외투장 기준으로 같은 추계군으로 분류된 집단(동해 중부, 동해남부, 서해 북부)간에는 유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collected in the East Sea,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11 was analyzed by morphometric characters and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gene nucleotide variations. Frequency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의 계군을 분석하기 위해 초가을에서 초겨울사이에 서식하는 5개 지역을 선정하여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살오징어에 대해 Kim et al.(1997)이 제시한 평균성숙외투장을 이용하여 형태적 차이를 분석하고 mtDNA COI영역을 유전자 마커로 이용하여 지역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렇게 형태학적으로 다르지만 유전적으로 유사한 경우는 동일한 조상의 유전자를 가지는 개체들이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교미할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를 가정해 보면 살오징어는 동일한 조상에서 태어났지만 해역이나 산란기의 차이로 다른 시기에 산란, 부화가 일어났고 연중 산란하므로 유전자 교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했을 것이다. 살오징어는 초기 생활부터 산란회유할 때까지 군집생활을 하지만 어획시 알 수 있듯이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군집들이 함께 존재하며 그 속에서 산란기가 되면 계군에 상관없이 무작위로 교미하게 되어 발생 시기에 따라서는 유전적인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오징어의 유생시기는 무엇이며 이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살오징어는 단년생 생물로서 서식수온은 4-27 ℃로 광온성 생물이며, 표층에서부터 수심 200 m정도에 주로 서식한다(Nakamura and Sakurai, 1991, 1993). 유생시기는 일시성플랑크톤이며 주로 해류에 의해 분포와 이동이 결정된다. 유생시기가 끝난 후에는 유영능력을 가지며 어군을 형성하여 먹이를 찾아 북상 회유하고 동해에 중심어장이 형성된다.
살오징어는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는 우리나라의 주요 상업어종 중 하나로 오호츠크해에서 남중국해까지 북서태평양 전역에 분포한다(Okutani, 1983; Murata, 1990; Mokrin et al., 2002).
살오징어의 서식 조건은 어떠한가? , 2002). 살오징어는 단년생 생물로서 서식수온은 4-27 ℃로 광온성 생물이며, 표층에서부터 수심 200 m정도에 주로 서식한다(Nakamura and Sakurai, 1991, 1993). 유생시기는 일시성플랑크톤이며 주로 해류에 의해 분포와 이동이 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vise, J.C., 1994. Molecular markers, Natural History and Evolution. Chapman and Hall, New York. 

  2. Choi, K.H., 2005.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relation to oceanic conditions in Korea Waters.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02 pp. 

  3. Choi, K.H., C.I. Lee, K.S. Hwang, S.W. Kim, J.H. Park and Y. Gong, 2008.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southwest part of the East (Japan)sea. Fish. Res., 91: 281-290. 

  4. Clement, M., D. Posaka and K.A.Crandall, 2000. TCS: a computer program to estimate gene genealogies. Mol. Ecol. 9: 1657-1659. 

  5. Edmands, S., P. E. Moberg and R. S. Burton, 1996. Allozyme and mitochondrial DNA evidence of population subdivision in the purple sea urchin Stronglocentrotus purpuratus. Mar. Biol., 126: 443-450. 

  6. Kang, Y.J., T.H. Kim, Y.K. Hong, J.Y. Park and K.Y. Park, 1996. A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Korean waters. J. Kor. Fish. Soc., 29: 320-331. 

  7. Kasahara, S. and S. Ito, 1968. Studies on the migration of common squids in the Japan Sea. 2. Migrations and some biological aspects of common squids having occurred in the offshore region of the Japan Sea during the autumn season of 1966 and 1967. Bull. Reg. Fish. Res. Lab., 20: 49-70. 

  8. Kasahara, S., 1978. Descriptions of offshore Squid Angling in the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and on the Techniques for Forecasting Fishing Conditions. Bull. Jan. Reg. Fish. Res. Lab., 29: 179-199. 

  9. Kidokoro, H., T. Goto, T. Nagasawa, H. Nishida, T. Akamine and Y. Sakurai, 2010. Impact of a climate regime shift on the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ea of Japan. ICES J. Mar. Sci., 67: 1314-1322. 

  10. Kim, Y.H. and Y.J. Kang, 1995. Population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1. Seperation of population J. Kor. Fish. Soc., 28(2): 163-173. 

  11. Kim, Y.H., Y.J. Kang and C.I. Baik, 1997. Population analysi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2. Morphological analysis J. Kor. Fish. Soc., 30(5): 903pp. 

  12. Kim, Y.H., Y.J. Kang, S.H. Choi, C.S. Park and C.I. Baik. 1997. Population analysis by the reproductive ecological method fo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2. Morphological analysis J. Kor. Fish. Soc., 28(2): 163-173. 

  13. Kim, Y.S., 1990. Population Analysis with Electrophoresis of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Collected from the East Sea and West Sea. M.S.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46pp. 

  14. Mokrin, N.M., Y. Novikov and Y. Zuenko, 2002. Seasonal migrations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for concentration of the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1880) in the northwestern Japan Sea. Bull. Mar. Sci., 71: 487-499. 

  15. Murata, M., 1978. The relation between mantle length and body weight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Bull. Hokkaido Reg. Fish. Res. Lab., 43: 33-51. 

  16. Murata, M., 1990. Ocean resources of squids. Mar. Behav. Physiol., 18: 19-71. 

  17. Nakamura, Y. and Y. Sakurai, 1991. Validation of daily growth increments in statoliths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Nip. Sui. Gak., 57: 2007-2011. 

  18. Nakamura, Y. and Y. Sakurai, 1993. Age determination from daily growth increments in statoliths of some groups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Rec. Adv. Cep. Fish. Biol. eds. Uni. Pre. Tok., 339-344. 

  19. Okutani, T., 1983. Todarodes pacificus. In: Cephalopod life cycles, edited by Boyle, P.R., Vol 1. Academic Press, London, pp. 201-216. 

  20. Osako, M. and M. Murata, 1983. Stock assessment of cephalopod resourc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In: Advances in Assessment of World Cephalopod Resources, edited by J.F. Caddy, FAO Fish. Tech. Paper., 231: pp. 55-144. 

  21. Rosa, A.L., J. Yamamoto and Y. Sakurai, 2011.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bility on the spawning areas, catch, and recruitment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from the 1970s to 2000s. Ices. J. Mar. Sci., 68(6): 1114-1121. 

  22. Sakurai, Y., H. Kiyofuji, S. Saitoh, J. Yamamoto, T. Goto, K. Mori and T. Kinoshita, 2002. Stock fluctuations of the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related to recent climate changes. Fish. Sci., 68: 226-229. 

  23. Schneider, S., D. Roessli and L. Excoffier, 2000. Arlequin. Version 2.000 University of Geneva, Geneva: available at the web site http://lgb.unige.ch/arlequin/. 

  24. Slatkin, M. and R.R. Hudson, 1991. Pairwise comparisons of mitochondrial DNA sequences in stable and exponentially growing populations montgomery. Gen., 129: 555-562. 

  25. Takumiya, M., M. Kobayashi, K. Tsuneki and H. Furuya, 2005.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major species of Japanese coleoid cephalopods (Mollusca: Cephalopoda) using thre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Zool. Sci., 22: 147-155. 

  26. Tanaka, S., 1956. One method of polymodal frequency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to analyze frequency distribution of body length of Dentextumifrons. Bull. Tok. Reg. Fish. Res. Lab., 14: 1-13. 

  27. Uthicke, S. and J.H. Benzie, 2003. Gene flow and population history in high dispersal marine invertebrates: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Holithurianobilis (Echinodermata: Holothuroidea) populations from the Indo-Pacific. Mol. Ecol., 12: 2635-2648. 

  28. Zhang, C.I., 2010. Marine fisheries resource ecology.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559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