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입소자들의 의료적 요구에 대한 간호직 종사자들의 관리 경험
Nursing Staffs' Experiences of Managing Medical Needs of the Elderly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4, 2013년, pp.409 - 421  

박민정 (국립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간호학과) ,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정면 (국민건강보험공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scribe the nursing staff reported experiences of managing the medical needs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South Korea. Methods: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12. Twenty five reg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추세는 노인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증대시키고 노인 문제가 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되면서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안정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보장 제도의 확충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그동안 가족에게 맡겨져 왔던 치매, 중풍 등 노인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간병, 장기요양 문제를 사회연대 원리에 따라 국가와 사회가 분담하려는 취지로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추세는 어떻게 예상되는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00년에 7.2%에 도달하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 사회’에 진입한 후,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선진국들보다 빨리 ‘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도 소요 기간이 24년이 걸린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불과 18년 만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이는 세계적으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목적은 무엇인가?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고령이나 노인성 질환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이나 가사활동 등의 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Lee, Park, Han, & Suh, 2012).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대상자의 기능 상태와 필요로 하는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시간을 감안하여 1~3등급과 등급 외로 분류되며, 1~3등급의 장기요양 인정을 받은 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cker, M. A., Boaz, T. L., DeMuth, A., & Andel, R. (2012). Predictors of emergency commitment for nursing home residents: The role of resident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7, 1028-1035. 

  2.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 77-101. 

  3. Chang, S. H. (2006). Comparison study on the work stress and the coping method of social workers at the senior care facilities and hospic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4. Choi, I. D., Lee, S. L., & Lee, J. M. (2010). Proje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ciary and, personnel and facility.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6, 375-399. 

  5. Chung, S. E., & Lee, S. H. (2009). Nurses' experience of practice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116-127. 

  6. Graneheim, U. H., & Lundman, B. (200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 worthiness. Nursing Education Today, 24, 105-112. 

  7.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8.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 1277-1288. 

  9. Kim, K. B., Lee, H. K. & Sok, S. R. (2009).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11. 

  10. Kim, K. B., & Shin, D. S. (2005). The experiences among Korean American nursing home staff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 (1), 47-53. 

  11. Kim, K. B., & Sok, S. H. (2004). Theory and Practice of Gerontological Nursing. Seoul: Hyunmoonsa. 

  12. Lee, J. M., Park, M. J., Han, E. J., & Suh, E. E. (2012). A study on management of medical needs of the elderly in Korean long-term care facilitie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1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Statistics of aged. Seoul: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ress. 

  14. Park, J. Y., Lee, Y. W., Kwon, J. H., Lee, E. M., Lee, H. Y., Kim, Y. H., et al.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are model of long-term care service and medical care servi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15. Park, M. H., Ha, J. C., Sin, I. H., Kim, H. K., Lee, S. Y., Cho, J. H. et al. (2009). A study on the status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16. Park, Y. O., Cho, E., Lee, N. J., & Seo, Y. S. (2010). Factors influencing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 (1), 10-20. 

  17. Robison, J. Shugrue, N., Porter, M., Fortinsky, R. H., & Curry, L. A. (2012). Transition from home care to nursing home: Unmet needs in a home-and community-based program for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24 , 251-270. 

  18.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27-37. 

  19. Seung, K. W., Shin, I. H., Lee, K. H., & Kwon, K. H. (2005). Content analysis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free elderly home and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 (1), 7-19. 

  20. Stewart, D. W., Shamdasani, P. N., & Rook, D. W. (2007). Focus group: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1. Stuck, A. E., Walther, J. M., Nikolaus, T., Bula, C. J., Hohmann, C., Beck, J. C., et al. (1999). Risk factors for functional status decline in community-living elderly people: A systemic literature review.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8, 445-469. 

  22. Tena-Nelson, R., Santos, K., Weingast, E., Amrhein, S., Ouslander, J., Boockvar, K., et al. (2012). Reducing potentially preventable hospital transfers: Results from a thirty nursing home collaborativ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3, 651-6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