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확정 편평상피세포와 인체 유두종바이러스와의 비교
Comparison of ASCUS and Human Papilloma Viru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8, 2013년, pp.308 - 313  

박미순 (한서대학교 보건의료학과) ,  장병수 (한서대학교 피부미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포선별검사에서 ASCUS로 진단된 검체 중 F-UP이 진행되지 않은 검체 179건을 대상으로 HPV high risk factor, low risk factor를 확인하기 위해서 Hybrid Capture II Test를 하였다. 시험 결과 high risk factor 양성 및 low risk factor 양성은 전체 179 cases 중 26 cases로 나타났으며, 전체 검체 중 약 15%에 해당되었다. 또한 전체 15%의 양성검체 중 high risk factor 양성은 96%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검진 체계를 갖춘 나라에서도 자궁경부암의 예방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추적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precancerous lesion의 원인 인자인 HPV 존재 유무를 세포선별검사와 HPV Hybrid Capture II Test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179 specimen diagnosed with ASCUS but did not go through biopsy or other tests, 26 cases (14.52%) showed positivity in HPV Hybrid Capture II Test. There were 25 cases of HPV high risk factor(+), marking 13.96%, and 3 cases of low risk factor(+) at 1.67%. According to cytology manifestation,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로 자궁내, 외 경관 및 질부 상피세포를 시계방향으로 5회전하여 채취한 후 세포변성을 방지하기 위해 95% ethanol 이 담긴 고정용기에 보관하였다. 검체 수집 후 검경에 방해가 되는 이물질(mucous와 RBC)을 제거한 세포를 slide glass에 one layer로 도말하여 Papanicolaou stain을 실시한 다음 광학현미경(BX51, Olympus, Japan)으로 검경하였다. 세포선별검사의 보고체계는 베데스다 분류(The Bethesda System : TBS)체계를 사용하였다.
  • 세포진단에 사용되는 일반염색으로 퇴행성 염색방법을 사용하였으며, Harris' hematoxylin으로 핵 염색을 한 다음, 0.5% HCl로 과염색된 핵을 탈색하였다.
  • Cut off는 1pg/ml (Positve Calibrator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단위는 RLU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HPV Negative의 결과 값을 Cut off(1pg/ml)보다 낮은 경우로 Posive의 결과 값을 Cut off(1pg/ml)보다 높은 경우를 음성(negative)으로 해석하였다.
  • 5% HCl로 과염색된 핵을 탈색하였다. 이어서 Orange G-6와 E-A 36을 사용하여 세포질을 염색한 후 세포의 오염 및 보존을 위해 cover glass를 사용해 봉입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조기진단을 위한 액상세포 선별검사에서 ASCUS로 진단된 검체 중 세포학적 HPV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F-UP(follow-up)이 이루어지지 않은 검체를 대상으로 최근 precancerous factor로 알려진 HPV high risk factor와 low risk factor의 유무를 HPV Hybrid Capture Ⅱ test로 분석하였다.
  • 자궁경부 검체 내에 존재하는 HPV DNA를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특이적인 항체가 피복되어 있는 96 microplate well 상에서 Denaturation, Hybridization, Capture, Signal amplification, Detection의 과정을 통해 정성적으로 검사하였다. 빛의 양은 설정된 cut off 값과 비교하여 cut off 이상의 값이 나올 경우 HPV DNA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연구재료는 자궁경부암의 조기진단을 위해 H임상검사센터에 액상세포검사법으로 의뢰된 자궁 세포진 선별검사 중 ASCUS로 진단된 환자의 검체(생검 또는 HPV test가 의뢰되지 않은 검체) 179 cases를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론/모형

  • 검체 수집 후 검경에 방해가 되는 이물질(mucous와 RBC)을 제거한 세포를 slide glass에 one layer로 도말하여 Papanicolaou stain을 실시한 다음 광학현미경(BX51, Olympus, Japan)으로 검경하였다. 세포선별검사의 보고체계는 베데스다 분류(The Bethesda System : TBS)체계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포선별검사법으로 병변이 명확경우에는 무엇을 시행하여 추적 관찰을 용이하게 합니까? 1937년 George Papanicolaou가 자궁경부암 진단에 세포학적 검사법을 도입한 이래 세포선별검사법은 자궁경부암의 조기진단을 위해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받아 왔다. 세포학적 선별검사로 병변이 명확한 경우에는 질경검사(colposcopy), 생검(biopsy), 인체 유두종 바이러스검사(human papilloma virus: HPV test)등을 시행하여 추적 관찰이 용이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1][2].
미확정 비정형 편평세포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미확정 비정형 편평세포(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 ASCUS)는 편평상피내 병변(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 SIL)의 진단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미한 변화이면서 양성 세포성 변화(benign cellular change)의 기준에 비해서는 세포학적 변화정도가 심한 세포를 의미한다. 이런 세포학적 비정형(abnormality)은 염증성 반응세포 변화보다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이것은 SIL부위의 명확한 진단을 내리는데 불충분하다[3].
ASCUS로 진단된 여성은 어떻게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까? ASCUS로 진단된 여성은 ASCUS와 LSIL의 선별검사를 6개월 간격으로 2회에 걸쳐 세포학적 검사를 실시해서 HPV의 감염 유무를 확인하고 1회의 질경검사를 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 S. Herrington, M. F. Evans, W. Gray, and J. O. D. McGee, "Morphological correlation of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of matched cervical smears and bioscopes from patients with persistant mild cervical cytological abnorminalities," Human Pathol, Vol.26, pp.951-955, 1995. 

  2. A. Schneider, "Cervical and vaginal HPV infections," Clin Dermatol, Vol.15, pp.389-398, 1997. 

  3. R. Kurman, and D. Solomon, "The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cervical/vaginal cytologic diagnosis: definitions, criteria and explanatory notes for terminology and specimen adequacy," New York, Springer Verlag, pp.148-156, 1994. 

  4. L. C. R. Tewari, and C. A. Chaudhary,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 follow up study," MJAFI, Vol.66, pp.225-227, 2010. 

  5. F. X. Bosch, M. M. Manos, and N. Munoz, "Prevalence of human papilloma virus in cervical cancer: a worldwide perspective," J Natl Cancer Inst, Vol.87, pp.796-802, 1995. 

  6. M. del Pino, L. Rodriguez-Carunchio, I. Alonso, A. Torne, A. Rodriguez, P. Fuste, P. Castillo, N. Nonell, N. Abu-Lhiga, and J. Ordi, "Clinical, colposcopic and pathological charateristics of cervical and vaginal high-grade negative for HPV by Hybrid Capture 2," Gynecol Oncol, Vol.122, pp.515-520, 2011. 

  7. M. L. Williams, D. L. Rimm, M. A. Pedigo, and W. J. Frable,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correlative histologic and follow-up studies from a academic medical center," Diagn Cytopathol, Vol.16, pp.1-7, 1997. 

  8. K. W. Alanen, L. M. Elit, P. A. Molinaro, and C. M. McLachlin, "Accesment of cytologic follow-up as the recommended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or low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Cancer, Vol.84, pp.5-10, 1988. 

  9. K. A. Dvorak, M. Finnemore, and J. A. Mksem, "Histology correlation with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ASCUS) or low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LSIL) cytology diagnosis: an argument to ensure ASCUS follow-up that is as aggressive as that for LSIL," Diagn Cytopathol, Vol.21, pp.292-295, 1999. 

  10. I. Nindil, A. Lorincz, I. Mielzynska, U. Petry, S. Baur, R. Kirchmayr, W. Michels, and A. Schneider, "Human papilloma virus detection in cervical intraneoplasia by the second-generation hybrid capture microplate test, comparing two different cervical specimen collection methods," Clin Diagn Virol, Vol.10, pp.49-56, 1998. 

  11. T. C. Wright, X. W. Sun, and J. Koulos, "Comparision of management algorythms for the evaluation of women with low-grade cytologic abnormalities," Obstet Gynecol, Vol.85, pp.202-210, 1995. 

  12. N. Munoz, F. X. Bosch, S. de Sanjose, R. Herrero, X. Castellsague, K. Shah, and P. J. Snijders, "Epidermiologic class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N Engl J Med, Vol.348, pp.518-527, 2003. 

  13. C. Perrons, R. Jelley, B. Klete, W. Quint, and N. Brink, "Detection of persistent high risk human papilloma virus injections with hybrid capture II and SPF10/LiPA, J Clin Virol, Vol.32, pp.278-285, 2005.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osition on HPV vaccines," Vaccine, Vol.27, pp.7236-723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