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라벨 표시정보를 활용한 식품 품질 평가 모바일 서비스 앱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Service Application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Food that uses the Information marked on the processed Food Labe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8, 2013년, pp.450 - 457  

장대자 (한국식품연구원) ,  김희진 (한국식품연구원) ,  김유라 (한국식품연구원) ,  송유정 (한국식품연구원) ,  이승용 (대상정보기술(주)) ,  장건웅 (대상정보기술(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 중인 가공식품 라벨 표시정보를 수집하여 표시사항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개인의 용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모바일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시판중인 가공식품 라벨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원재료 영양정보 첨가물정보 함량 기준 등이 매우 난해하게 혼재되어 소비자가 라벨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소비자 지향적인 식품표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행 식품위생법의 식품표시기준에 따른 원재료, 첨가물, 영양성분 등 카테고리별로 정보를 재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렇게 재가공한 정보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가공식품 라벨표시 정보를 보다 과학적이고 명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모바일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활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developing a mobile-based service system through which consumers can collect labeled information on processed foods. This research collected and analyzed the labeled information of processed foods sold on the market and found that they contain abstruse standards for the inform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식품데이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판중인 가공식품의 라벨표시 정보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확인하고 활용 가능하도록 가공식품의 라벨 표시사항을 분석하여 객관적 지표와 시각화 기법으로 구현한 모바일 서비스 앱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 이용 비중 증가에 따른 식품 라벨 표시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보다 객관적이고 편리한 가공식품 정보에 대한 인식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서비스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단계 및 내용은 [표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라벨 표시정보의 주요 평가항목은 무엇인가요? 식품라벨 표시정보의 주요 평가항목은 영양성분과 원재료이며, 이 두가지 평가항목으로 점수를 산출하여 제품 품질의 가시적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먼저, 영양성분의 점수 산출 방식은 현행 식품위생법상 의무 표시 영양소(열량,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와 이 외 기타 영양소, 열량 영양성분의 적정비율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가공식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현대사회의 식생활 패턴은 가공식품의 이용 비중이 높고 그 이용추세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어 가공식품의 품질은 국민건강과 식생활의 질적 수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공식품의 특성상 편의성은 있으나 식품 첨가물 사용, 가공과정에서의 이물질 유입 및 유통과정에서의 변질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경우 가공식품의 품질을 소비자가 가장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은 식품제조사가 제공하는 식품포장 겉면의 라벨표시 사항이 유일한 정보 공급원이 된다[2].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앱의 메뉴구조와 주요 기능은 2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2가지는 무엇을 중점으로 개발되었는가? 첫째, 식품라벨에 표기된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영양 성분, 첨가물, 원재료의 평가 항목으로 나누고 시각화 하였다. 식품유형별 제품별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호 비교가 가능하고 등급과 순위를 알 수 있으며, 영양성분 함량, 영양성분 제품별 평균, 식품첨가물의 함량, 식품첨가물의 사용량과 종류와 가짓수에 따른 평가를 통해서 그 결과를 시각화하여 소비자들이 한눈에 알기 쉽게 나타내었다. 검색/브라우징/바코드스캔으로 식품조회가 가능하며 첨가물 사전도 제공하여 다소 어려운 식품 용어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선택한 제품의 유사 식품을 추천하여 타제품과 비교․평가가 가능한 기능을 구현하였다. 둘째, 개인정보 항목에서는 개인이 섭취한 식품의 평가점수를 일, 주, 월 단위의 기간별로 낸 평균을 볼 수 있어 개인의 가공식품 섭취실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식품별, 점수별 히스토리를 통해 이전 자료의 조회가 가능하고, 장바구니 기능을 이용해 앞으로 구매할 가공식품을 담아 보관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최영란, 김향숙, "식품라벨 표시에 관한 연구", 충북가정학회지, 제3권, 제1호, pp.59-69, 1994. 

  2. 김향숙, 백수진, 이경애,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이용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 28권, 제4호, pp.948-953, 1999. 

  3. 최미희, 윤수진, 안영순, 서갑종, 박기환, 김건희,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9권, 제10호, pp. 1555-1564, 2010. 

  4. 하귀현, 문영자,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291-300, 2008. 

  5. "범정부 차원 '불량식품 근절 추진단' 4월 출범 형량하한제 범위 확대?통합식품안전정보망 구축", 식품저널, 제189권, pp.48-60, 2013. 

  6. http://www.mfds.go.kr/index.jsp 

  7. https://explore.data.gov 

  8. K. P. Bouckaert, N. Slimani, G. Nicolas, J. Vigna t, A. J. A. Wright, M. Roe, C. M. Witthoft, and P. M. Finglas, "Critical evaluation of folate data in European and international databases: Recom mendations for standardization in international n utritional studies,"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Vol.55, No.1, pp.166-180, 2011. 

  9. G. B. Loker, B. Amoutzopoulos, S. O. Ozkoc, H. Ozer, G. Satir, and A. Bakan, "A pilot study on food composition of five Turkish traditional foods," British Food Journal, Vol.115, No.3, pp.394-408, 2013. 

  10. W. Becker, "Towards a CEN Standard on food data,"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64, pp.S49-S52, 2010. 

  11. 김소영, 강민승, 김세나, 김정봉, 조영숙, 박홍주, 김재현, "국가식품성분표 발간 및 식품종합정보망 구축 현황", 식품과학과 산업, 제44권, 제1호, pp.2-20, 2011. 

  12. 신미해, 오상헌, 황대용, 서수석, 김영철, "SNS 특성이 농식품 콘텐츠의 소비자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2012. 

  13.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등의 표시기준", 식품의 약품안전처고시(제2013-6호), 2013. 

  1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제2012-34호), 2012. 

  15.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개정판), 한아름기획출판사,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