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 개발 및 만족도 연구
Development and User Satisfaction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6, 2017년, pp.485 - 494  

김서윤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상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mage-based dietary assessment and evaluate satisfaction regarding respondent's use of the mobile phone application. Methods: We developed a mobile phone application to assess dietary intakes using 24 hour dietary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모바일 폰 앱선택이나 앱을 이용한 정보처리과정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28]. 따라서 본 연구는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을 할 수 있는 앱의 개발을 진행하고 대상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한 후 설문을 실시하여 앱의 전체적인 만족도와 성별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기록을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고 대상자가 이를 사용하여 4일 동안 24시간 식사 회상, 기록을 한 다음, 그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24 시간 식사 회상, 기록을 할 수 있는 “수라일지”라는 앱을 앱개발자에게 의뢰하여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을 개발하고 대상자가 사용 후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여 도구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폰을 이용해 대상자 스스로 식사섭취 전, 후 사진을 촬영하여 24시간 식사회상 기록을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여 사용 후 만족도 평가를 통해 앱에 대한 직접적인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장점은 24시간 식사 회상을 사진과 모바일 앱 을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비교적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했다는 점이다. 만족도 평가에서 체중 및 식이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앱인 눔(Noom), 쥬비스(Juvis) 등에 비해서 편리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러한 앱들이 사진을 이용하지 않거나 섭취량을 기록하는 데에 단위가 제한적인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24시간 식사 회상 앱이 사진을 이용하고 섭취량의 단위 선택 및 기록의 범위가 더 넓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를 이용하여 더 정확하고 세심한 24시간 식사 회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35, 3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섭취 조사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식이가 만성질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할 때 개인의 식이 섭취를 조사,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3]. 식이섭취 조사로는 식사기록법(record method), 실측법(weighd method), 식품섭취빈도법(food frequency method), 24시간 식사회상법(24-hour recall method)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4-6]. 그 중에서도 24시간 식사회상법은 면접을 통해 대상자에게 전날 섭취한 식품의 종류와 양을 회상하게 하여 식품섭취량을 추정하는 방법[7]으로 대상자의 부담이 적고 시간을 적게 소요하나 좀 더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훈련된 면접원이 필요하고 면대면으로 실시되어야 해 그에 따른 비용이 필요하다.
만성질환의 정의는? 만성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의 식이섭취 습관과 관련성이 있는 질환들을 뜻하며 최근 이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식이 섭취를 통한 예방과 관리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식이가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 2].
24시간 식사회상법이 갖는 어려움은? 그 중에서도 24시간 식사회상법은 면접을 통해 대상자에게 전날 섭취한 식품의 종류와 양을 회상하게 하여 식품섭취량을 추정하는 방법[7]으로 대상자의 부담이 적고 시간을 적게 소요하나 좀 더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훈련된 면접원이 필요하고 면대면으로 실시되어야 해 그에 따른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을 회상하고 보고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능력이 필요하며 조사자가 대상자의 기억력에 의존하므로 부정확할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8-11]. 특히, 우리나라 음식의 경우 동일한 음식이라도 사용하는 식재료가 다양하고 여러 방법으로 조리하며, 여러 사람과 함께 섭취하는 식습관으로 인해 스스로 각 개인의 섭취분량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12,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MK, Lee SS, Ahn YO.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middle-aged m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3): 376-394. 

  2. Kim HR.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diet quality and risk of mort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s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Health Soc Welf Rev 2013; 33(3): 5-30. 

  3. Kang HR, Jung HJ, Paik HY. Analysis of foods and nutrients intake obtained at the final probing step in 24-hour recall method. Korean J Nutr 2009; 42(2): 158-170. 

  4. Cameron ME, Van Staveren WA. Manual on methodology for food consumption studies. 1st revision. Bost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p. 33. 

  5. Willet W. Nutritional epidemiology. 1st revis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p. 100. 

  6. Schatzkin A, Kipnis V, Carroll RJ, Midthune D, Subar AF, Bingham S et al. A comparis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ith a 24-hour recall for use in an epidemiological cohort study: Results from the biomarker-based observing protein and energy nutrition (OPEN) study. Int J Epidemiol 2003; 32(6): 1054-1062. 

  7.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1): assessment based on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1998; 31(3): 333-342. 

  8. Dwyer JT, Krall EA, Coleman KA. The problem of memory in nutritional epidemiological research. J Am Diet Assoc 1987; 87(11): 1509-1512. 

  9. Jobe JB, Mingay DJ. Cognitive research improves questionnaires. Am J Public health 1989; 79(8): 1053-1055. 

  10. Willet W. Nutritional epidemiology.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p. 111. 

  11. Krall EA, Dwyer JT, Coleman KA. Factors influencing accuracy of dietary recall. Nutr Res 1988; 8(7): 829-841. 

  12. Lee JE, Ahn YJ, Kim KC, Park C. Study on the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 J Nutr 2004; 37(10): 908-916. 

  13. Chang UJ, Ko S.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using a cameraphone.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2): 198-205. 

  14. Kim SB, Kim SK, Kim SN, Cho YS, Kim MH. Establishment of one portion size of dishes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 adults using 2010 KNHANES and its comparison with the one portion size using 2005 KNHANES: focusing on rice, noodles, soups, and stews. Korean J Food Nutr 2013; 26(4): 745-752. 

  15. Nelson M, Atkinson M, Darbyshire S. Food photography I: the perception of food portion size from photographs. Br J Nutr 1994; 72(5): 649-663. 

  16. Nelson M, Atkinson M, Darbyshire S. Food photography II: use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portion size and the nutrient content of meals. Br J Nutr 1996; 76(1): 31-49. 

  17. Turconi G, Guarcello M, Berzolari FG, Carolei A, Bazzano R, Roggi C. Evaluation of a colour food photography atlas as a tool for quantifying food portion size in epidemiological dietary survey. Eur J Clin Nutr 2005; 59(8): 923-931. 

  18. Ovaskainen ML, Paturi M, Reinivuo H, Hannila ML, Sinkko H, Lehtisalo J et al. Accuracy in the estimation of food servings against the portions in food photographs. Eur J Clin Nutr 2008; 62(5): 674-681. 

  19. Lazarte CE, Encinas ME, Alegre C, Granfeldt Y. Validation of digital photographs, as a tool in 24-h recall,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ssessment among rural popul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Nutr J 2012; 11(1): 570. 

  20. Kim HS, Lee EY, Kim KM, Kim KW, Pyun JW, Chung SJ et al.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intakes of instant noodle (Ramyeon) soup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65-371. 

  21. Wang DH, Kogashiwa M, Ohta S, Kira 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ietary assessment method: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camera with a mobile phone card attachment. J Nutr Sci Vitaminol 2002; 48(6): 498-504. 

  22. Williamson DA, Allen HR, Martin PD, Alfonso AJ, Gerald B, Hunt A. Comparison of digital photography to weighed and visual estimation of portion size. J Am Diet Assoc 2003; 103(9): 1139-1145. 

  23. Wang DH, Kogashiwa M, Kira S.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for evalu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s. J Am Diet Assoc 2006; 106(10): 1588-1593. 

  24. Kwon JS, Kim KM, Kim HK. A study on application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individual' dietary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760-775. 

  25. Six BL, Schap TE, Zhu FM, Mariappan A, Bosch M, Delp EJ et al. Evidence-based development of a mobile telephone food record. J Am Diet Assoc 2010; 110(1): 74-79. 

  26. Stumbo PJ. New technology in dietary assessment: a review of digital methods in improving food record accuracy. Proc Nutr Soc 2013; 72(1): 70-76. 

  27. Hongu N, Pope BT, Bilgic P, Orr BJ, Suzuki A, Kim AS et al. Usability of a smartphone food picture app for assisting 24-hour dietary recall: a pilot study. Nutr Res Pract 2015; 9(2): 207-212. 

  28. Choi H, Choi YJ. The impact of smartphone application quality factors on trust and the users' continua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der. J Korea Ind Inf Syst Res 2011; 16(4): 151-162. 

  29. Conway JM, Ingwersen LA, Vinyard BT, Moshfegh AJ. Effectiveness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5-step multiple-pass method in assessing food intake in obese and nonobese women. Am J Clin Nutr 2003; 77(5): 1171-1178. 

  30. Chang WS, Ji YG. Usability evaluation for smart phon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user interface. Soc e-Bus Stud 2011; 16(1): 35-47. 

  31. Wong Jyh Eiin, Yoke San Chen, Nor Effendy Othman, Bee Koon Poh. Development of and electronic food diary to assess dietary intake among young adults. Proceedings of Asian congress of nutrition 12th; 2015 May 14; Japan: p. 145. 

  32. Daugherty BL, Schap TE, Ettienne-Gittens R, Zhu FM, Bosch M, Delp EJ et al. Novel technologies for assessing dietary intake: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 mobile telephone food record among adults and adolescents. J Med Internet Res 2012; 14(2): e58. 

  33. Lee HJ, Lee JS. Supporting sustainable food logging by adjusting the degree of data input structure. Proceedings of HCI KOREA; 2016 Jan 27; Kangwon: p. 677-679. 

  34. Pouladzadeh P, Shirmohammadi S, Almaghrabi R. Measuring calorie and nutrition from food image. IEEE Trans Instrum Meas 2014; 63(8): 1947-1956. 

  35. Noom, Inc. Noom [internet]. Noom, Inc; 2016 [cited 2016 Dec 1]. Available from: https://www.noom.com/. 

  36. JUVIS co., Ltd. JUVIS [internet]. JUVIS co., Ltd; 2016 [cited 2016 Dec 1]. Available from: http://www.juviscorp.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