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 진도 인근지역의 초등학생, 학부모, 영양(교)사의 친환경식품에 대한 인식과 학교급식 만족도
Perce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meals among students, their parents, and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Jindo area, Jeonnam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6 no.4, 2013년, pp.369 - 381  

정문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선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udents, their parents, and nutrition teachers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EFF) an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meals at elementary school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nutrition teachers at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면적인 무상급식이 시행되고 있는 전라남도 진도 인근지역의 영양교사,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과 그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1) 학생, 학부모, 영양교사의 친환경식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급식에 친환경식품의 사용은 어느 정도인가? 3)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4) 학교와 가정에서의 친환경식품 사용과 학교급식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학교급식의 질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학교와 가정에서의 친환경식품 사용과 학교급식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학교급식의 질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면적인 무상급식이 시행되고 있는 전라남도 진도 인근지역의 영양교사,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과 그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1) 학생, 학부모, 영양교사의 친환경식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급식에 친환경식품의 사용은 어느 정도인가? 3)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4) 학교와 가정에서의 친환경식품 사용과 학교급식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학교급식의 질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항생제 축산물이란? 저농약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의 살포횟수는 1/2 이하,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2 이하로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로 규정하였는데, 2010년부터 신규인증은 중단되었으며, 기존에 인증 받은 농가는 2015년까지 유효기간의 연장이 가능하다. 유기축산물은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맞게 재배하여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을 의미하고, 무항생제 축산물은 항생제, 합성항균제, 호르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축산물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인증전문기관으로 국립 농산물품질관리원을 지정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을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로 나누었을 때 각각 어떤 기준이 있는가? 8)친환경농산물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로 나누며, 축산물의 경우에는 유기축산물과 무항생제 축산물로 나눈다. 유기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을 말한다. 무농약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하를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을 말한다. 저농약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의 살포횟수는 1/2 이하,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2 이하로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로 규정하였는데, 2010년부터 신규인증은 중단되었으며, 기존에 인증 받은 농가는 2015년까지 유효기간의 연장이 가능하다. 유기축산물은 유기축산물 인증기준에 맞게 재배하여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을 의미하고, 무항생제 축산물은 항생제, 합성항균제, 호르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축산물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에 필요한 인력과 시설을 갖춘 인증전문기관으로 국립 농산물품질관리원을 지정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이란? 친환경농산물이란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한다.8)친환경농산물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로 나누며, 축산물의 경우에는 유기축산물과 무항생제 축산물로 나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och MB, Smythe PM. Undernutrition during infancy, and subsequent brain growth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In: Scrimshaw NS, Gordon JE, editors. Malnutrition, Learning, and Behavior. Cambridge, MA: M.I.T. Press; 1968, p.279-287 

  2. Ministry of Education. A status of school foodservice in 2012.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3 [cited 2013 June 05]. Available from: http://www.moe.go.kr/web/100066/ko/board/view.do? bbsId318&boardSeq44455&modeview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 Health Service Division, A guidebook for sanitation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3rd edition. Seoul: Sun-Myung Pub.; 2010 

  4. NamKung S, Lee JY, Kim KD.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organic food of housewive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Preserv 2007; 14(6): 676-680 

  5. Oh SE, Lee SH. An analysis on countermove of its farmer and consumption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 Digit Policy Manag 2012; 10(5): 105-116 

  6. Huh E, Kim JW.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Hum Ecol 2010; 19(5): 883-896 

  7. Kasim A, Ismail A. Environmentally friendly practices among restaurants: drivers and barriers to change. J Sustain Tour 2012; 20(4): 551-570 

  8.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Cert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yang: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3 [cited 2013 Feb 27]. Available from: http: //www.naqs.go.kr/serviceInfo/service_01_01.jsp 

  9. Dahm MJ, Samonte AV, Shows AR. Organic foods: do eco-friendly attitudes predict eco-friendly behaviors? J Am Coll Health 2009; 58(3): 195-202 

  10. Aschemann-Witzel J, Maroscheck N, Hamm U. Are organic consumers preferring or avoiding foods with nutrition and health claims? Food Qual Prefer 2013; 30(1): 68-76 

  11. Hallmann E, Lipowski J, Marszalek K, Rembialkowska E. The seasonal variation in bioactive compounds content in juice from organic and non-organic tomatoes. Plant Foods Hum Nutr 2013; 68(2): 171-176 

  12.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basic plan for school meals. Muan: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2013. p.53-54 

  13. He C, Breiting S, Perez-Cueto FJ. Effect of organic school meals to promote healthy diet in 11-13 year old children. A mixed methods study in four Danish public schools. Appetite 2012; 59(3): 866-876 

  14. Jeong JH, Kim EJ, Kim MH, Choi MK. Percep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servi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eco-friendly food service day in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 (1): 114-119 

  15. Kim NR, Cho YS, Kim SA.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level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Cheo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75-85 

  16. Jang JA, Ahn SW, Choi MK. Actual status of school dietitians' recognition and use of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3): 312-320 

  17. Lee YS, Lee NO, Ko SH. A survey on us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school food service by dietitian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5): 556- 564 

  18. Rho JO, Kim MO. A study on the utilizati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ervice in Jeonbuk area. Korean J Hum Ecol 2011; 20(2): 427-437 

  19. Lee YS, Park MJ. Parent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sed for school food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Korean J Food Cult 2008; 23(6): 737-747 

  20. Choi MK, Seo HC, Baek SH. The influen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APs) perception of parents in Chung-buk area on EAPs consumption behavior. Korean J Food Nutr 2010; 23(2): 269-275 

  21. Jo JU, Yoo DK. Analysis of customer loyalty and purchasing behaviors toward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Org Agric 2009; 17(3): 273-289 

  22. Kim DK, Kim SJ, Lee KH. The effect of food choice motive on attitude and intention of purchasing organic food. Korean J Food Cult 2011; 26(5): 506-512 

  23. Kim HK, Kim JH. Comparison of awareness and practice on wellbeing life and related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4): 426-439 

  24. Nam YS, Kim HA. Parents' perception on middle school foodservice using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in Masan area. Korean J Nutr 2012; 45(2): 181-191 

  25. Kwak MJ, Kim KN.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environment- friendly farm products (EP)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in the schools where EP had been used or never been used in their foodservice. J Hum Ecol 2012; 16(1): 85-94 

  26. Chang HS, Lee MJ. The perception for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us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Gun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6): 867-878 

  27. Ryu MJ, Suh JS, Lyu ES. A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using imported foods and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Busan. J Korean Diet Assoc 2004; 10(4): 452-466 

  28. Choi HY. A study on the current use and satisfaction in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 products in school feeding for secondary and high schools in Gwangju [M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08 

  29. Lee JH. A research on recognition and actual use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dieticians in charge of school lunch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MS thesis]. Busan: Silla University; 2009 

  30. Yang IS, Lee BS, Lee SJ, Lee HY, Jung HY. Using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 and dieticians' perception. Korean J Food Cult 2006; 21(2): 142-153 

  31. Kim YH, Lee YK. A survey of purchasing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food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Korean J Food Preserv 2012; 19(3): 376-3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