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 유형 분석 : 어린이 식행동 검사 (DBT)와 어린이 영양지수 (NQ) 활용
Analysis of the types of eating behavior affecting the nutrition of preschool children: using the Dietary Behavior Test (DBT) and the Nutrition Quotient (NQ)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6, 2019년, pp.604 - 617  

심현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영신 ((주)뉴트리아이 생애주기 식생활연구소) ,  이경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행동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린이 식행동 검사 (DBT)와 어린이영양지수 (NQ)를 활용하여 경산시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만 2~6세 유아의 부모 1,103명을 대상으로 식행동과 식품섭취상태를 평가하였다. 아이의 식행동을 접근회피성, 감각예민성, 과활동성 그리고 불규칙성의 4가지로 분류하고,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을 분류하였다. 4가지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 어린이들의 식습관과 영양섭취 수준을 파악하고자 양호군과 비교분석하여 유아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식행동 요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NQ점수는 절제요인 (80.5점), 규칙요인 (63.9점), 실천요인 (63.2점), 균형요인 (56.2점), 다양요인 (45.5점) 순으로 나타나 절제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영양불량으로 판정되었으며, 5개 등급을 구분한 결과 하위등급 (22.2%)과 최하위등급 (12.6%)이 전체 조사대상자의 1/3에 달하였다. 둘째, 4가지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을 판정한 결과, 감각예민성은 28.7%, 접근회피성은 26.4%, 불규칙성은 25.7%, 과활동성은 22.2%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가지 식행동 유형별 위험군 어린이들의 식습관과 영양섭취수준을 파악하고자 양호군 어린이들의 어린이 영양지수 (NQ)와 비교분석 한 결과, 각 식행동 유형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접근회피성과 감각예민성 유형에서는 양호군에 비해 위험군이 균형과 다양요인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균형요인의 세부항목 중 잡곡밥, 과일, 콩 또는 콩제품, 달걀 섭취와 다양요인의 세부항목 중 반찬을 골고루 섭취하는지, 채소반찬의 섭취 가짓수, 김치섭취에서 유의하게 낮은 섭취빈도를 나타냈다. 과활동성 유형에서는 양호군에 비해 위험군이 절제요인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세부항목 중 단 음식 섭취에서 유의하게 높은 섭취 빈도를 보였다. 불규칙성 유형에서는 양호군에 비해 위험군이 다양과 규칙 및 실천요인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다양요인의 세부항목 중 반찬을 골고루 섭취하는지, 채소반찬의 섭취 가짓수, 김치섭취에서, 규칙요인 중 아침식사와 규칙적인 식사 빈도에서, 실천요인 중 음식 꼭꼭 씹어먹기와 식사 전 손씻기 빈도에서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영양교육프로그램이 아닌 각 아이의 기질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영양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 on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emperament type. Methods: One thousand one hundred three preschool children aged 2 to 6 years in Gyeongsan, Gyeongsangbuk-do from April to June 2018 were surveyed about their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아이의 기질적 요인을 안다는 것은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의 시작이고 편식 교정을 하고자 한다면 행동의 원인을 설명해주는 기질을 이해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편식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기질에 근거한 식행동 평가도구와 함께 한국영양학회가 개발한 어린이 영양지수를 사용하여 유아의 식행동 유형별 영양문제를 분석하고, 맞춤형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식사섭취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이때 형성된 식습관은 평생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올바른 식생활 관리를 위해 개인적 노력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2]. 특히, 유아기에는 자기주장이 강해지기 시작하고 음식섭취에 있어서도 기호가 뚜렷해지므로 [3-5] 유아의 식사섭취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편식, 식욕부진 등 부적절한 식습관이 형성될 수 있다 [6]. 그러나 실제 식사육아를담당하는 부모의 56.
유아의 편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영양교육 방법의 한계는? 유아의 편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식품영양학 분야에서는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하거나, 식품 도입의 단계적 접근법으로 편식이 교정되도록 요리활동, 미각교육활동, 채소키우기, 인형극 등의 다양한 영양교육 방법을 제시해왔다 [11-13]. 하지만 대부분의 영양교육이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기 어렵고, 편식의 원인이 생각보다 다양하여 근본적인 해결에 한계가 있다. 사회심리학적 분야에서는 아이의 영양섭취는 아이 자신의 내적 요인과 아이를 둘러싼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14].
유아기의 특징은? 유아기는 영아기보다 성장속도가 감소하지만 지능, 정서 사회성 등 지적발달이 왕성해짐으로 인해 식사예절교육, 식사 체험 등으로 인해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이때 형성된 식습관은 평생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올바른 식생활 관리를 위해 개인적 노력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riley ME, Jastrow S, Vickers J, Roberts-Gray C. Dietary intake at child-care centers and away: are parents and care providers working as partners or at cross-purposes? J Am Diet Assoc 1999; 99(8): 950-954. 

  2. Jung YH, Kim JH. Evaluation of nutrition quotient and related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1-11. 

  3. Yeoh YJ, Kwon SY. Children's eating behaviors and teachers' feeding practices during mealtime at child-care centers. J Nutr Health 2015; 48(1): 71-80. 

  4. Hwang HS, Lee HY, Lee KH, Lee JH, Shin KS, Youn KM, et al.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Seoul: Hakjisa; 2008. 

  5. Kim SH, Kim OS, Choi HY, Park SS, Kwon SY. Children's nutrition. Seoul: powerbook; 2013. 

  6. Oh YJ, Chang YK.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2006; 39(2): 184-191. 

  7. Lee JH, Kang EJ, Kim C.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636-646.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SNES VI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9. Lee JH. "I don't eat Kimchi" Children's abuse school teacher's penalty [Internet]. Seoul: KBS News; 2015 [cited 2019 Nov 27]. Available from: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02374. 

  10. Hwa KY. The food is left behind and the food is fed. Another child abuse [Internet]. Seoul: SBS News; 2016 [cited 2019 Nov 27]. Available from: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851165&plink. 

  11. Seo JY, Choi BS, Lee IS.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featuring cooking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 in the Daegu area: food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0; 20(5): 794-801. 

  12. Cho HN, Park 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nsor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Korean J Early Child Educ 2014; 35(2): 263-292. 

  13. Lee MS, Lee K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to improve the vegetable intake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14; 20(1): 26-35. 

  14. Blissett J, Fogel A. Intrinsic and extrinsic influences on children's acceptance of new foods. Physiol Behav 2013; 121: 89-95. 

  15. Wright DE, Radcliffe JD.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c 1992; 24(4): 198-201. 

  16. Morrison H, Power TG, Nicklas T, Hughes SO. Exploring the effects of maternal eating patterns on maternal feeding and child eating. Appetite 2013; 63: 77-83. 

  17. Stunkard AJ, Messick S. The three-factor eating questionnaire to measure dietary restraint, disinhibition and hunger. J Psychosom Res 1985; 29(1): 71-83. 

  18. Chess S, Thomas A. Temperamental individuality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J Am Acad Child Psychiatry 1977; 16(2): 218-226. 

  19. Kim YJ, Chung SJ, Han YS, Lee Y, Lee SI, Byun KW,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temperament, maternal feeding behavior and feeding practices in picky eat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4): 462-470. 

  20. Kim Y, Han YS, Chung SJ, Lee Y, Lee SI, Choi H, et 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temperaments and eating behaviors, mothers' eating behaviors and feeding practices in poor eating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4): 449-458. 

  21. Hagekull B, Bohlin G, Rydell AM. Maternal sensitivity, infant temperament,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feeding problems. Infant Ment Health J 1997; 18(1): 92-106. 

  22. Moding KJ, Birch LL, Stifter CA. Infant temperament and feeding history predict infants' responses to novel foods. Appetite 2014; 83: 218-225. 

  23. Pliner P, Loewen ER. Temperament and food neophobia in children and their mothers. Appetite 1997; 28(3): 239-254. 

  24. Dunn W.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conceptual model. Infants Young Child 1997; 9(4): 23-35. 

  25. Farrow CV, Coulthard H. Relationships between sensory sensitivity, anxiety and selective eating in children. Appetite 2012; 58(3): 842-846. 

  2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A chart of the growth of young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2017.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27. Han Y, Kim SA, Lee Y, Kim J.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ating behavior test form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1): 1-10. 

  28.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et al.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29.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30. Jung HS, Min JK, Heo CO, Lee NH, One SI, Lee KY.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2nd edition. Seoul: Soohaksa; 2016. 

  31. Kang KJ. A study on food habits, nutritional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4): 471-483. 

  32. Pliner P, Hobden K.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trait of food neophobia in humans. Appetite 1992; 19(2): 105-120. 

  33. Chatoor I, Ganiban J, Hirsch R, Borman-Spurrell E, Mrazek DA.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toddler temperament in infantile anorexi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 39(6): 743-751. 

  34. Han YS, Park SH. A child who doesn't eat and a child eats well. Seoul: Chungaram Media; 2017. 

  35. Kim JM, Song HJ, Ahn YJ.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ietary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Dongducheon based on the Nutrition Quotient (NQ). Korean J Community Nutr 2018; 23(3): 216-225. 

  36. Kim EM.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in Ganghwa County by using Nutrition Quotient (NQ).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7; 27(1): 17-28. 

  37. Kim JH, Jung YH. Evaluation of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Nowon-gu of Seoul by using Nutrition Quotient (NQ).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1): 1-11. 

  38. Lim JY, Kim JH, Min SH, Lee MJ, Lee MJ.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6; 32(1): 84-95. 

  39. Lee SJ, Kim Y.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40-446. 

  40. Kim JR, Lim H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 Nutr Health 2015; 48(1): 58-70. 

  41. Oh KM, Kim HS.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unggi using Nutrition Quotient. J Korea Contents Assoc 2019; 19(3): 494-499. 

  42. Yoo JS, Choi YS.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2013; 46(5): 427-439. 

  43. Lee JS, Kang MH, Kwak TK, Chung HR, Kwon SY, Kim HY,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6; 49(5): 378-394. 

  44. Kim NY, Kim SH, Lim JH. The dietary life of full-and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kindergarten in Daeje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6; 16(1): 37-45. 

  45. Kim EK, Song B, Ju SY. Dietary status of young children in Korea based on the data of 2013 -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8; 51(4): 330-339. 

  46. Kim SW, Jo YG, Kang JH, Lee SH, Lee JE, Park H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lifestyle and their child's overweight. Korean J Fam Med 2008; 29(6): 395-4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