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납 제거기작 모의를 위한 수학적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Model for Simulating Removal Mechanisms of Heavy Metals using Biocarrier Bead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4, 2013년, pp.8 - 18  

서한나 (한국광해관리공단 해외협력사업단) ,  이민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왕수균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carrier beads with dead biomass, Bacillus drentensis, immobilized in polymer polysulfone were synthesized to remove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To identify the sorption mechanisms and theoretical nature of underlying processes,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nd a mathematical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델 적용에 필요한 반응속도계수는 미생물 담체의 중금속 흡착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된 평형 및 비평형 배치 실험의 결과로부터 도출하였다. 개발된 수학적 모델을 배치 및 컬럼 실험에 적용하여 중금속의 성상과 거동를 모의하기 위한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의 결과를 통하여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기작의 과정과 처리 효율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담체 내부에서의 확산과정에서 표면확산은 공극확산에 비하여 기여도가 20배 이상이며, 공극확산의 기여도는 전체 내부확산의 최대 20% 정도이고 일반적으로는 10% 미만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miyama and Smith, 1974). 따라서 본 모델에서는 표면확산을 미생물 담체 내부로의 물질전달 과정을 지배하는 유일한 확산기작으로 고려하였다. 표면확산모델은 흡착이 담체 내부구조의 표면에서 발생하고, 이어 공극벽면을 따라 형성된 농도경사에 의하여 흡착물질의 내부확산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는데, 담체 내부의 확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전달저항은 미생물 담체를 균일한 다공성 매체로 고려하여 담체 내부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값을 가지는 확산계수를 적용하여 표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담체로 구성된 고정층 내에서 이루지는 중금속 오염물질의 제거과정 및 효율을 모의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모델 개발에 적용된 모델화 개념은 Fig.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고정층 내 물질이동은 공극수의 흐름에 따른 이류(advection)와 수리분산(hydrodynamic dispersion)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액상에 용해되어 거동하는 중금속 이온의 일부는 미생물 담체로 이동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담체를 활용한 지하수 내 중금속 제거기작을 모의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미생물 담체로 충진된 고정층의 중금속 제거기작 및 효율 규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미생물 담체의 흡착능 평가를 목적으로 수행된 비평형실험의 결과와 모델의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실험의 결과로부터 독립적으로 산출된 모델 계수의 적용을 통하여 본 모델이 미생물 담체와 용존 중금속 이온 간 흡착반응을 합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담체 내부의 중금속은 모두 흡착된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미생물담체의 물리적 제원과 평형흡착실험의 결과로부터 산정되는 단일 담체의 최대흡착농도를 고려하여 가정된 유효반경을 모델에 적용하므로써 담체와 고정층에서의 중금속 흡착능이 실험결과와 같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델 개념을 수학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층 내 중금속의 이류-수리분산 거동과 미생물 담체 표면으로부터 내부로의 확산거동에 대한 지배방정식을 수립하였다. 두 대상영역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경계층에서의 물질수지를 통하여 두 지배방정식을 연계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계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오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토착 미생물의 기질과 유기중합체를 결합하여 제조된 미생물 담체의 중금속 제거기작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미생물 담체로 충진된 고정층 내의 1차원 흐름과 물질전달에 관한 지배방정식에 다공성 물질인 미생물 담체의 표면과 내부에서의 흡착과정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외부 및 내부물질전달을 함께 고려하였다.

가설 설정

  • 이 때 공극수와 미생물 담체의 표면 사이에는 경계층이 존재하며, 경계층 내ㆍ외부의 농도경사에 따라 발생하는 확산기작에 의해 물질이 전달되는 것으로 수용액으로부터 담체로의 물질이동을 정의하였다. 담체 표면에 도달한 중금속 이온은 다시 담체 내부의 미소공극 내 농도경사를 따라 내부로 확산되며 흡착되는데, 이 때 Fig. 1(c)에 나타난 담체의 내부 구조를 고려하여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유효반경, reff -까지만 물질이동과 흡착이 이루어지는 공극구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담체 내부의 중금속은 모두 흡착된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미생물담체의 물리적 제원과 평형흡착실험의 결과로부터 산정되는 단일 담체의 최대흡착농도를 고려하여 가정된 유효반경을 모델에 적용하므로써 담체와 고정층에서의 중금속 흡착능이 실험결과와 같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 본 모델에서는 고정층 내 중금속의 분포와 거동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고정층과 고정층 내부에 충진된 구형의 미생물 담체는 물로 포화되어 있으며, 등방성이며 균질하다고 가정하였으며, 고정층을 통과하는 용존 중금속의 거동은 1차원 이류, 분산, 확산 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들을 기반으로 수립된 고정층 내 용존 중금속의 성상과 거동을 지배하는 물질평형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미생물 담체 표면으로의 외부물질전달식과 담체 내부의 물질수지식은 대상영역의 공간적인 경계에 해당하는 담체 표면에서의 용존농도와 흡착농도간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연계될 수 있다. 본 모델에서는 미생물 담체의 표면에서 Langmuir 등온식을 따르는 국부적 평형흡착(local equilibrium sorption)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흡착평형실험에서 도출된 계수들을 적용하여 담체 표면에서의 용존 및 흡착농도를 표현하였다.
  • ]이다. 주입초기부터 고정층 내부가 포화되어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유량은 시간에 대해 유입 및 유출부에서 모두 일정한 것으로 고려하였다.
  • 따라서 본 모델에서는 표면확산을 미생물 담체 내부로의 물질전달 과정을 지배하는 유일한 확산기작으로 고려하였다. 표면확산모델은 흡착이 담체 내부구조의 표면에서 발생하고, 이어 공극벽면을 따라 형성된 농도경사에 의하여 흡착물질의 내부확산이 일어난다고 가정하는데, 담체 내부의 확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전달저항은 미생물 담체를 균일한 다공성 매체로 고려하여 담체 내부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값을 가지는 확산계수를 적용하여 표현하였다. 미생물 담체 내부의 물질확산현상은 공극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중금속의 흡착농도경사를 확산의 구동력으로 발생하므로, 이를 Fick's law를 적용하여 표현하면 다음 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Ganguly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흡착(biosorption) 기술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유망한 대안으로 중금속 흡착능을 가진 다양한 생체물질들을 활용하여 산업 폐수나 오염된 지하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흡착(biosorption) 기술은 살아있는 미생물의 대사기작이나 비활성 생체물질 표면에 대한 중금속의 흡착기작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박테리아, 균류(fungi), 조류(algae), 효모(yeasts), 해조류(seaweeds) 등 다양한 생체물질들이 중금속 흡착능을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09; Davis et al.
중금속 흡착능을 가지는 생체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에 대한 유망한 대안으로 중금속 흡착능을 가진 다양한 생체물질들을 활용하여 산업 폐수나 오염된 지하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흡착(biosorption) 기술은 살아있는 미생물의 대사기작이나 비활성 생체물질 표면에 대한 중금속의 흡착기작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박테리아, 균류(fungi), 조류(algae), 효모(yeasts), 해조류(seaweeds) 등 다양한 생체물질들이 중금속 흡착능을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09; Davis et al.
미생물 담체를 활용하는 기법은 어떤 기술을 개선시킨 결과인가? 그러나 생균의 반응성에 의존하는 처리기법의 경우에는 생균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조건을 처리 현장에서 조성하고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현장 적용성에는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비해 사균을 비롯한 다양한 비활성의 생체물질을 이용하는 생물흡착 기술은 주변 환경조건의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저장, 적용, 재활용 등 취급과정에서의 용이함 등 많은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Bayramoglu et al., 2003; 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alya, N., Ramachandra, T.V., and Kanamadi, R.D., 2003, Biosorption of heavy metals, Res. J. Chem. Environ., 7, 71-79. 

  2. Apiratikul, R. and Pavasant, P., 2008, Batch and column studies of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Caulerpa lentillifera, Bioresour. Technol., 99, 2766-2777. 

  3. Bayramoglu, G., Bekta , S., and Arica, M.Y., 2003, Biosorption of heavy metal ions on immobilized white-rot fungus Trametes versicolor, J. Hazard. Mater., 101, 285-300. 

  4. Beolchini, F., Pagnanelli, F., Toro, L., and Veglio, F., 2003, Biosorption of copper by Sphaerotilus natans immobilized in polysulfone matrix: equilibrium and kinetic analysis, Hydrometall., 70, 101-112. 

  5. Choi, A., Wang, S., and Lee, M., 2009, Biosorption of cadmium, copper, and lead ions from aqueous solutions by Ralstonia sp. and Bacillus sp. isolated from diesel and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Geosci. J., 14, 331-341. 

  6. Crittenden, J.C., Wong, B.W.C., Thacker, W.E., Snoeyink V.O., and Hinrichs, R.L., 1980, Mathematical model of sequential loading in fixed-bed adsorbers, J. Water Pollut. Control Fed., 52, 2780-2786. 

  7. Davis, T.A., Volesky, B., and Vieira, R.H.S.F., 2000, Sargassum seaweed as biosorbent for heavy metals, Water Res., 34, 4270-4278. 

  8. Ganguly, C., Matsumoto, M.R., Rabideau, A.J., and Van Benschoten, J.E., 1998, Metal ion leaching from contaminated soils: model calibration and application, J. Environ. Eng., 124, 1150-1158. 

  9. Gavrilescu, M., 2004,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the environment by biosorption, Eng. Life. Sci., 4, 219-232. 

  10. Kapoor, A., Viraraghavan, T., and Cullimore, D.R., 1999, Removal of heavy metals using the fungus Aspergillus niger, Bioresour. Technol., 70, 95-104. 

  11. Kim, S.H., Chon, H.T., and Lee, J.U., 2009, Biosorption of Pb and Cd by indigenous bacteria isolated from soil contaminated with oil and heavy metals, Econ. Environ. Geol., 42, 427-434. 

  12. Komiyama, H. and Smith, J., 1974, Surface diffusion in liquidfilled pores, AIChE Journal, 20, 1110-1117. 

  13. Lee, M., Lee, J., and Wang, S., 2010,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groundwater by using the biocarrier with dead bacillus sp. B1 and polysulfone, Econ. Environ. Geol., 43, 555-564. 

  14. Leusch, A., Holan, Z.R., and Volesky, B., 2004, Biosorption of heavy metals (Cd, Cu, Ni, Pb, Zn) by chemically-reinforced biomass of marine algae, J. Chem. Technol. Biotechnol., 62, 279-288 

  15. Lin, T.F. and Wu, J.K., 2001, Adsorption of arsenite and arsenate within activated alumina grains: equilibrium and kinetics, Water Res., 35, 2049-2057. 

  16. Pamukoglu, M.Y. and Kargi, F., 2006, Batch kinetics and isotherms for biosorption of copper (II) ions onto pre-treated Powdered Waste Sludge (PWS), J. Hazard. Mater., 138, 479-484. 

  17. Redlich, O. and Peterson, D.L., 1959, A useful adsorption isotherm, J. Phys. Chem., 63, 1024-1024. 

  18. Seo, H., Lee, M., and Wang, S., 2013, Equilibrium and kinetic studies of the biosorption of dissolved metals on Bacillus drentensis immobilized in biocarrier beads, Environ. Eng. Res., 18, 1-9. 

  19. Sperlich, A., Schimmelpfennig, S., Baumgarten, B., Genz, A., Amy, G., Worch, E., and Jekel, M., 2008, Predicting anion breakthrough in granular ferric hydroxide (GFH) adsorption filters, Water Res., 42, 2073-2082. 

  20. Veglio, F. and Beolchini, F., 1997, Removal of metals by biosorption: a review, Hydrometall., 44, 301-316. 

  21. Volesky, B., May, H., and Holan, Z.R., 2004, Cadmium biosorp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Biotech. Bio., 41, 826-829 

  22. Wang, B.E., Hu, Y.Y., Xie, L., and Peng, K., 2008, Biosorption behavior of azo dye by inactive CMC immobilized Aspergillus fumigatus beads, Bioresour. Technol., 99, 794-800. 

  23. Weber, W.J. and Smith, J.M., 1987, Simulation and design models for adsorption processes. Environ. Sci. Technol., 21, 1040-10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