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D 전광판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AR 마커인식 기반의 URL 연결 서비스 플랫폼 구현
Implementation of URL Connecting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Based on Recognition of AR Maker Using LED Panel and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통신이론 및 시스템, v.38C no.8, 2013년, pp.692 - 698  

박근원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통신망 설계 및 분석 연구실) ,  황준호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통신망 설계 및 분석 연구실) ,  유명식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통신망 설계 및 분석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 활성화에 따라 모바일 마케팅의 활용성이 점차 증가하여 QR 코드나 증강현실AR 마커를 이용한 스마트폰 응용 서비스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욱이 옥외 광고의 형태가 LED 전광판으로 전환되면서 가시광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모바일 마케팅 활용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LED 패널과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AR 마커 기반의 URL 연결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구현 결과를 토대로 응용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 및 성공률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mobile marketing through the smartphone has gradually increased, the smartphone application services using the AR marker, QR codes and augmented reality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Furthermore the outdoor advertising is migrated to LED signage, which brings the visible light wireless comm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본 논문에서 기존 구현 연구와 달리 수광소자인 PD(Photo Diode)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내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장점을 이용 하여 개발한 서비스 제공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의 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논문은 LED를 이용한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을 토대로 스마트폰과 연계를 위한 응용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하였고, 실제 데모를 통한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응용 서비스 개발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가설 설정

  •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 프레임의 0과 1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최소 15개의 해상도 정보가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의 경우 여덟 개의 프레임(6 프레임 :데이터, 2 프레임 : 항상 ON)을 통해 1 글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글자당 약 120개의 해상도 정보가 필요하고, 9자를 모두 인식하기 위해서는 최소 1,100개의 샘플링 정보가 요구된다. 또한 실험 환경에서의 외부 햇빛은 차단하고, 4개의 형광등이 4m 높이에서 존재하는 실험 환경에서 촬영하였기 때문에 외부 조명에 의한 신호 검출 오류는 없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기반의 응용서비스플랫폼의 수신부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앞서 설명한 송신부 구조를 기반으로 수신부는 그림 3과 같이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한 AR 마커 촬영과 수집된 영상에 대한 프레임 분할 그리고 패턴 인식 및 데이터 추출 모듈 등을 거쳐 최종적인 서비스를 실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보다 자세한 수신부의 구조 및 개발 환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가장 대중화된 마케팅의 형태는 무엇인가? 현재 가장 대중화된 마케팅의 형태는 광고할 대상의 정보를 옥외 광고판이나 광고, 전단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미디어 광고 시장의 증가함에 따라 광고판의 형태가 단순히 출력물의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와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통신 매체나 IT 기기를 이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폰 기반의 응용서 비스 플랫폼을 구성하는 송신부는 무엇으로 구성되고 어떤 역할을 하는가? 본 논문에서 구현한 송신부는 그림 1과 같이 제어 PC와 LED 드라이버 그리고 LED 패널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 PC의 경우 표시하고자하는 AR 마커를 생성해서 LED 드라이버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LED드라이버의 경우 수신된 AR 마커에따라 각 LED 패널의 ON/OFF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LED 패널은 LED 드라이버에 지시에 따라 AR 마커를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 Park, "Mobile marketing of smart phone age," Marketing, vol. 45, no. 1, pp. 33-38, Jan. 2011. 

  2. Y.-W. Jung, "A study of types of QR codes and their effects on advertising,"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 26, no. 1, pp. 147-165, Feb. 2012. 

  3. S. Park, H. Shin, J. Choi, K. Lee, D. Jung, and Y. Lee, "Visible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using RGB LED Light Panel," Inform. Commun. Mag., vol. 26, no. 5 pp. 10-14 Apr. 2009. 

  4. H. Ukida, M. Miwa, Y. Tanimoto, T. Sano, and H. Yamamoto, "Visual communication using LED panel and video camera for mobile object," in Proc. IEEE Int. Conf. Imaging Syst. Techniques (IST 2012), pp. 321-326, Manchester, U.K., July 2012. 

  5. N. Hao, M. Zhang, and Y. Zhang, "An OOK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for short distance," in Proc. Int. Conf. Commun. Networking China (CHINACOM 2012), pp. 306-308, Kun Ming, China, Aug. 2012. 

  6. E. Lee, AVR ATMEGA128 : Micro-controller programming and interfacing, ITC Press, 2009. 

  7. OpenCV, android-opencv, Retrieved, april, 22, 2013, from http://opencv.org. 

  8. D. Liu and M. Yoo, "Implementation of CSK Modulation based on Image Sensor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in Proc. Korea Inst. Commun. Inform. Sci. (KICS) Fall Conf., pp. 558-559, Seoul, Korea, Nov.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