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충주 수룡리 원모롱이 야철지 수습 철재 및 노벽의 과학적 분석
Scientific Analysis of Slags and Furnace Wall collected from Iron Production Site at Suryong-ri Wonmorongi in Chungju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9 no.2, 2013년, pp.139 - 147  

조현경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충주 수룡이 원모롱이 야철지에서 수습한 슬래그와 노벽을 분석하여 제철관련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슬래그의 전철량은 36.98~44.47wt%이며 이는 고대 제철조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철 회수율이다. 슬래그에 포함된 CaO는 노벽에 포함된 0.36wt%보다 많으므로 조재제로서 제련 시 의도적으로 첨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노벽의 경우 $Al_2O_3$의 함량이 낮아 고알루미나질의 내화점토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획인되었다. 슬래그의 미세조직과 주성분 분석을 통해 Fayalite와 Wustite가 나타난 No.1~3 슬래그는 철광석으로 제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No. 4 슬래그의 경우 $TiO_2$을 함유한 Ulvospinel이 나타나 사철을 이용하여 제련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이 지역에서는 제철 원료로서 철광석과 함께 사철도 이용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노벽은 $Al_2O_3$의 함량이 낮은 일반점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iron making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nalyzing slags and furnace wall collected from iron production site of Suryong-ri Wonmorongi, Chungju. Total Fe content of slags were from 36.98% to 44.47% and this range was general recovery rate of iron in ancient. Compounds of calci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충주 수룡리 원모롱이 야철지에서 수습한 슬래그와 노벽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제철관련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룡리 원모롱이 야철지는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원모롱이에 있는 고려시대 야철 유적이다.
  • 이상으로 충주 수룡리 원모롱이 야철지에서 수습한 제철관련 유물인 슬래그 4점과 노벽 1점을 자연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제철관련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주 일원의 고려시대 제철유적에 산재한 슬래그에는 철 성분이 많아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련원료로 재활용되었다고 한다(Shi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대에 제작된 철제유물이 오래될수록 형태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이유는? 고대에 제작된 철제유물의 경우 쉽게 부식되는 철의 성질로 인해 오래된 유물일수록 형태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러므로 발굴되는 철제유물을 통해 철기 문화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슬래그의 전철량은? 충주 수룡이 원모롱이 야철지에서 수습한 슬래그와 노벽을 분석하여 제철관련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슬래그의 전철량은 36.98~44.47wt%이며 이는 고대 제철조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철 회수율이다. 슬래그에 포함된 CaO는 노벽에 포함된 0.
고대에 제작된 철제유물의 형태가 남아있지 않기에 따라오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고대에 제작된 철제유물의 경우 쉽게 부식되는 철의 성질로 인해 오래된 유물일수록 형태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러므로 발굴되는 철제유물을 통해 철기 문화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적인 제철관련 유적지에서는 철을 생산하고 남은 철광석이나 제련과정에서 발생한 슬래그가 많이 출토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ung, K.Y. and Kim, K.H., 2010, Metallurgical study of slags excavated from Noge-ri iron production site. Excavation Report 98, Jungwon 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Cheongju, p.320-352. (in Korean) 

  2. Eo, C.S., 2011, An Essay o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Iron Production Sites in Chungju. Prehistory and Ancient History, 35, 279-3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S.M., Kim, K.N. and Shin, D.Y., 1993, A Basic Study on the Refractory Material of Kalcheon Iron Making Furnac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2), 25-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wang, I.H., Do, U.C., Eo, C.S., Kang, S.B., Ham, J.W., Jang, J.Y., Jo, E.Y.O., Seok, J.S., Yang, Y.H. and Woo, D.R., 2010, Ancient City Remains of Jungwongyeong(Section of Remains).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5. Kil, G.T., 2007, Remains of Iron Metallurgy in the Chungju Area, History and Silhak, 32, 857-8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G.T., Chung, K.Y. and Cho, Y.S., 2005, A Brief Archaeological and Scientific Approach to the Haemi Fortress. Archaeology, 4(2), 7-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J.G., 1990, Cerami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Bandopress. (in Korean) 

  8. Park, J.S., 2007, A study of microstructure of slags excavated from Soekkoji site, Chungju and relative process research. Excavation Report 110, Centr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eongnam, p.193-208. (in Korean) 

  9. Park, S.T. and Choi, C.O., 2004, The Analysis of Slags Excavated from Jisa a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6, 6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Park, Y.J., Eo, C.S., Seok, J.S., Yang, Y.H. and Jo, E.Y.O., 2012, Iron manufacturing site of Jungwon.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11. Rho, T.C., 2000, A Historic Study on the Ancient Metallurgical Technology in Korea. Hakyounmunhwasa. (in Korean) 

  12. Shin, G.H., Lee, N.K., Jang, K.S. and Lee, J.Y., 2008, Analytic consideration of samples from Chilgeum-dong iron making site, Chungju. Excavation Report 62, Jungwon 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Cheongju, p.123-152. (in Korean) 

  13. Shin, G.H., Lee, N.K., Jang, K.S. and Nam, S.J., 2010, Metallurgical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objects involved with iron making excavated from Clean Energy Park site, Chungju. Excavation Report 88, Jungwon 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Cheongju, p.236-246. (in Korean) 

  14. Yoon, D.S., 1986, On the slag produced in early iron metallurgy. The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5, 380-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