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에서 목맴을 이용한 자살 비율의 증가와 전체 자살률 증가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of Increased Proportion of Suicides by Hanging and Increase in Total Suicide Rat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9 no.2, 2013년, pp.135 - 139  

안명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수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태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아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견영기 (국립춘천병원 신경정신과) ,  홍진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nual changes of suicide methods and suicide rates in South Korea. We compared the suicide methods in South Korea with those in six other OECD countries, Japan, Finland, France, United States, Canada and Australia. Method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자살 방법과 자살률의 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다양한 자살률을 보이는 OECD 6개국(일본, 핀란드, 프랑스, 미국, 캐나다, 호주)과 자살 방법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자살 방법과 자살률의 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다양한 자살률을 보이는 OECD 6개국(일본, 핀란드, 프랑스, 미국, 캐나다, 호주)과 자살 방법을 비교하였다. 만약 특정 자살 방법의 선호가 자살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주요 인자라면, 특정한 치명적 자살 방법을 선택하는 비율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자살률 증가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다양한 자살률을 보이는 OECD 6개국(일본, 핀란드, 프랑스, 미국, 캐나다, 호주)과 자살 방법을 비교하였다. 만약 특정 자살 방법의 선호가 자살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주요 인자라면, 특정한 치명적 자살 방법을 선택하는 비율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자살률 증가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또한 나라별로 선호하는 자살 방법의 차이가 나라별로 다양한 자살률과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 만약 특정 자살 방법의 선호가 자살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주요 인자라면, 특정한 치명적 자살 방법을 선택하는 비율의 증가는 우리나라의 자살률 증가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또한 나라별로 선호하는 자살 방법의 차이가 나라별로 다양한 자살률과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자살률 추세는? 8(그리스, 2008년)2 정도로 각 나라마다 차이가 크다. 한국은 자살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2000년 인구 10만명 당 자살 사망자 수 13.6명에서 2011년 31.7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3 따라서 자살률 감소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특정 자살 방법의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라별 자살 방법에 대한 연구는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하다. 특정 자살 방법의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나이4,5 뿐 아니라 유효성, 접근성, 사회적 용인,6-8 언론 보도9,10 등이 있다. 특히 자살 방법의 치사율은 자살 사망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11 고위험 자살 방법은 저위험 자살 방법과 비교했을 때 더 과격하며(violent) 발생 즉시 치명적이다.
음독을 이용한 자살은 지속적으로 감소한 이유는? 음독은 우리나라에서 흔한 자살 방법이었으나 2004년 이를 규제하기 위해 국내 제도를 정비하면서14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체 자살의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는데, 이는 목맴으로의 수단 대치(method substitution) 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HO. Research for Universal Health Coverag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whr/2013/report/en/. 

  2. OECD Health Data. 2011; Available from: http://www.oecd-ilibrary.org/sites/health_glance-2011-en/01/06/g1-06-01.html?itemId%2Fcontent%2Fchapter%2Fhealth_glance-2011-9-en&containerItemId%2Fcontent%2Fserial%2F19991312&accessItemIds%2Fcontent%2Fbook%2Fhealth_glance-2011-en&mimeTypetext%2Fhtml. 

  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ational Statistics Report.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4. Varnik A, Kolves K, van der Feltz-Cornelis CM, Marusic A, Oskarsson H, Palmer A, et al. Suicide methods in Europe: a gender-specific analysis of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European Alliance Against Depressio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008; 62:545-551. 

  5. Im JS, Choi SH, Hong D, Seo HJ, Park S, Hong JP. Proximal risk factors and suicide methods among suicide completers from national suicide mortality data 2004-2006 in Korea. Comprehensive Psychiatry 2011;52:231-237. 

  6. Cantor CH, Baume PJ. Access to methods of suicide: what impact?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1998;32:8-14. 

  7. Pirkola S, Isometsa E, Lonnqvist J. Do means matter?: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innish suicide completers using different method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3;191:745-750. 

  8. Farmer R, Rohde J. Effect of availability and acceptability of lethal instruments on suicide mortality. An analysis of some international data.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0;62:436-446. 

  9. Chen YY, Liao SF, Teng PR, Tsai CW, Fan HF, Lee WC, et al. The impact of media reporting of the suicide of a singer on suicide rates in Taiwa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2;47: 215-221. 

  10. Schmitt MW, Williams TL, Woodard KR, Harruff RC. Trends in suicide by carbon monoxide inhalation in King County, Washington: 1996-2009.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2011;56:652-655. 

  11. Spicer RS, Miller TR. Suicide acts in 8 states: incidence and case fatality rates by demographics and method. Am J Public Health 2000; 90:1885-1891. 

  12. Denning DG, Conwell Y, King D, Cox C. Method choice, intent, and gender in completed sui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00;30:282-288. 

  13. Card JJ. Lethality of Suicidal Methods and Suicide Risk: Two Distinct Concepts Omega 1974;5:37-45. 

  14. Lee WJ, Cha ES, Park ES, Kong KA, Yi JH, Son M. Deaths from pesticide poisoning in South Korea: trends over 10 year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9;82:365-371. 

  15. Cheng AT, Hawton K, Lee CT, Chen TH. The influence of media reporting of the suicide of a celebrity on suicide rates: a population-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7;36:1229-1234. 

  16. Fu KW, Chan CH. A study of the impact of thirteen celebrity suicides on subsequent suicide rates in South Korea from 2005 to 2009. PloS One 2013;8:e53870. 

  17. Lee DT, Chan KP, Lee S, Yip PS. Burning charcoal: a novel and contagious method of suicide in As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2;59:293-294. 

  18. Cheng AT, Hawton K, Chen TH, Yen AM, Chang JC, Chong MY, et al. The influence of media reporting of a celebrity suicide on suicidal behavior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7;103:69-75. 

  19. Hawton K, Williams K. Influences of the media on suicide. BMJ 2002;325:1374-1375. 

  20. Gunnell D, Bennewith O, Hawton K, Simkin S, Kapur N. The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suicide by hanging: a systematic review. Int J Epidemiol 2005;34:433-442. 

  21. Wilson JF. Finland pioneers international suicide prevention. Ann Intern Med 2004;140:853-856. 

  22. Park HM. The Trends and patterns on sucide in korea: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2007. 

  23. Marusic A, Roskar S, Zorko M. Undetermined deaths: are they suicides? Croatian Medical Journal 2003;44:550-552. 

  24. Kapusta ND, Tran US, Rockett IR, De Leo D, Naylor CP, Niederkrotenthaler T, et al. Declining autopsy rates and suicide misclassification: a cross-national analysis of 35 countri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1;68:1050-10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