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 분석
Suicide Ideation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by Gender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9 no.3, 2014년, pp.161 - 175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률을 비교하고, 자살생각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별로 분석하여 자살생각과 관련한 남녀 간 차이를 이해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0년과 2011년에 수집된 국민건강조사 제5기 1, 2차년도 원시자료를 이차분석 하였으며,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성별 자살생각률은 남자는 9.8%, 여자는 18.9%로 여자가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성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여자가 가구소득수준이 '하'인 경우가 남자보다 높고, 초등학교 졸업자 비율이 높으며, 직업이 없는 비율이 더 높았다. 여자가 건강수준이 더 좋지 않았으며, 흡연, 음주, 고위험음주, 알코올 의존 등 건강에 해로운 건강행위를 남자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걷기 실천 등 신체활동도 더 많이 하지만, 비만율도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나 우울감 등은 여자가 더 높아 정신건강수준은 여자가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률을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자살생각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거주지역, 연령, 개인소득, 가구소득, 교육수준, 직업, 결혼상태, 기초생활수급권자여부, 독거, 건강수준, 질병상태, 활동제한, 와병여부, 아토피, 신부전증, 흡연, 알코올 의존, 격렬한 신체활동, 수면시간, 스트레스, 우울감 등이었다. 남자의 경우에만 자살생각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월간 음주, 여자에서만 자살생각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비만이었다.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녀 모두에게 자살생각률에 유의한 위험요인은 신부전, 우울, 우울감, 스트레스 인지, 건강수준, 흡연이었으며, 남자에게만 유의한 변수는 결혼상태, 활동제한, 격렬한 신체활동 등이었고, 여자에게만 유의한 변수는 교육수준과 알콜의존이었다. 남자의 경우, 65세 이상(교차비 3.35), 이혼, 별거, 사별상태(2.15), 건강수준이 나쁜 경우(1.52), 활동제한(2.21), 신부전(4.84), 우울증(3.85), 흡연(1.42), 스트레스(3.45), 우울감(8.65)이 자살생각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에 의해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비율은 80.8%였다. 여자의 경우 초등학교 졸업 미만의 학력을 가진 경우(2.21), 건강수준이 나쁜 편(1.81), 신부전(11.73), 우울증(3.19), 흡연(1.70), 알코올 의존(2.09), 스트레스(3.01), 우울감(6.88) 등이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이었고, 이들 변수에 의해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비율은 79.9%였다. 자살생각 위험요인이 남녀 간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으므로 자살 예방을 위한 중재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이러한 성별 자살생각 위험요인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and its the related factors by gender among Korean adults. Methods: National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database of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률을 비교하고, 자살생각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률을 비교하고, 자살생각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별로 분석하여 자살생각과 관련한 남녀 간 차이를 이해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0년과 2011년에 수집된 국민건강조사 제5기 1, 2차년도 원시자료를 이차분석 하였으며,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성별 자살생각률의 비교하고, 성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남자의 자살생각률은 9.
  •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을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위, 자살생각과 관련된 질병 등을 포함하여 분석함으로써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별 자살사망률과 자살생각률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 통계는? 한편, 성별 자살사망률과 자살생각률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1년 자살사망률을 살펴 보면, 전체 인구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31.7명이었는데, 남자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43.3명, 여자는 20.1명으로 남자의 사망률이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 남녀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1]. 그렇지만, OECD 국가 대부 분의 나라는 남자의 자살사망률이 여자에 비해 3~4배 정도 높은 편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만 예외적으로 여자의 자살사망률이 매우 높아 2배 정도의 차이를 보여[2], 성별 자살사망에 대한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성별 자살생각률은 자살사망률과 다르게 여자의 자살생각률이 더 높게 보고되고 있다. 2011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남자의 자살생각 률이 9.9%인데 비해 여자의 자살생각률은 16.9%로 여자의 자살생각률이 상당히 높다[4]. 자살사망은 남자가 높지만, 자살생각이나 치명적이지 않은 자살시도는 여자가 더 높은 현상을 자살행위에 있어 젠더 패러독스라고 칭하는데[5], 이는 자살 사망이나 자살생각에 있어 남녀 간의 차이는 생물학적인 차이로 인한 기질적 차이 이외에 사회적, 문화적으로 형성되는 성차와 자살과 관련한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에 있어서의 성차, 또는 성역할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5-7].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은 무엇이 있나? 예를 들어 우울은 자살생각이나 자살 시도의 주요 위험요인 으로 알려져 있는데[8-10], 우울경험률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11].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을 좀 더 살펴 보면, 건강수준, 질병여부, 비만, 수면 등이 자살 생각과 관련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10], 결혼상태, 학력, 흡연 등도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고[8], 동반가족 없이 혼자 사는 경우 자살생각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2]. 자살생각을 가진 사람들중 여성, 젊은 나이, 낮은 학력과 수입, 미혼, 경제 활동이 없거나 정신장애가 동반된 사람들이 자살 행동이나 자살 시도가 더 많았다[13].
2011년 자살로 사망한 인구는? 2011년 사망원인통계를 살펴보면, 2011년 한 해동안 약 16000명이 자살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자살은 2001년 사망원인순위 8위에서 2011년 4위로 상승하여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Korean) 

  2. OECD. "Suicide", in health at a glance 2011: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2011 

  3. Neeleman J, Graaf R, Vollebergh W. The suicidal process; prospective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r stages. J Affect Disord, 2004;82(1):43-5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In.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n) 

  5. Schrijvers DL, Bollen J, Sabbe BG. The gender paradox in suicidal behavior and its impact on the suicidal process. J Affect Disord, 2012;138(1):19-26. 

  6. Kumar MB, Walls M, Janz T, Hutchinson P, Turner T, Graham C. Suicidal ideation among Metis adult men and womenassocia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inding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Int J Circumpolar Health 2012;71:1-11 

  7. Hunt K, Sweeting, H, Keoghan, M, Platt, S. Sex, gender role orientation, gender role attitudes and suicidal thoughts in three generation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06;41(8):641-647. 

  8. Chin YR, Lee HY, So ES.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 J Public Health 2011;56(4):429-39 

  9. Jeon HJ. Epidemiologic studies on depression and suicide. J Korean Med Assoc 2012;55(4):322 (Korean) 

  10. Park 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2008;38(3):465-473 (Korean) 

  11. Seoul National Uin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n) 

  12. Forkmann T, Brahler E, Gauggel S, Glaesmer H.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German general population. J Nerv and Mental Dis 2012;200(5):401-405 

  13. Borges G, Nock MK, Abad JMH, Hwang I, Sampson NA, Alonso J, Andrade LH, Angermeyer MC, Beautrais A, Bromet E. Twelve month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in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s. J Clin Psychiatry 2010;71(12):1617 

  14. Cavanagh JT, Carson AJ, Sharpe M, Lawrie SM.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suicide: a systematic review. Psychol Med 2003;33(3):395-405 

  15. Pigeon WR, Pinquart M, Conner K. Metaanalysis of sleep disturbance and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J Clin Psychiatry 2012;73(9):e1160-1167 

  16. Roth KB, Borges G, Medina-Mora ME, Orozco R, Oueda C, Wilcox HC. Depressed mood and antisocial behavior problems as correlates for suicide-related behaviors in Mexico. J Psychiatr Res 2011;45(5):596-602 

  17. Chen CK, Tsai YC, Hsu HJ, Wu IW, Sun CY, Chou CC, Lee CC, Tsai CR, Wu MS, Wang LJ.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Psychosomatics 2010;51(6):528-528 

  18. Picardi A, Lega I, Tarolla E. Suicide risk in skin disorders. Clinics in Dermatology 2013;31:47-56 

  19. Kim HS, Chae YS, Bae YJ.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12;42(1):1-8 (Korean) 

  20. Yi S, Yi Y, Jung HS. Factors on the suicidal attempt by gend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J Korean Acad Nurs 2011;41(5):652-62 (Korean) 

  21. Park E, Choi SJ.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f Psychiat Ment Health Nurs 2013;22(2):88-96 (Korean) 

  22. Shin J, Baek S.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attending community senior center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3;38(2):71-84 (Korean)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using raw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rst and second survey of the fifth phase. (KNHANES V-1, V-2). In.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n) 

  24. Babor TF, Higgins-Biddle JC, Saunders JB, Monteiro MG.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25. Lee JI, Lee MB, Liao SC, Chang CM, Sung SC, Chiang HC, Tai CW.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Formos Med Assoc 2010;109(2):138-47 

  26. Kim HK, Kim JH.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Ulsan. Korean J Nut 2009;42(6):536-546 (Korean) 

  27. Park E.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by gender among adul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1;17(2):169-177 (Korean) 

  28. Statistics Korea. 2011 Social indicators in Korea.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29. Chun H, Khang, YH, Kim, IH., Cho, SI. Explaining gender differences in ill-health in South Korea: the roles of socio-structural, psycho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8;67(6):988-1001 

  30. Cinamon RG. Anticipated Work-Family Conflict: Effects of Gender, Self-Efficacy, and Family Background.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2006;54(3):202-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