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소비에 있어서의 양면적 태도와 강박구매
Consumers' ambivalent attitudes toward various aspects of clothing shopping on compulsive buying tendenci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1 no.4, 2013년, pp.467 - 477  

박정권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현정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tailers deploy new shopping value-additions to induce customers to shop more, thus driving compulsive buying tendencies, which lead to increased profits for them. Customers display their ambivalence in purchasing a product either through instantaneous consumption, such as when following the la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반되는 소비가치가 강박구매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양극화 소비행동을 하는 소비자들의 강박구매 성향에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선행연구들에서 볼 수 있듯이 성별, 결혼 유무, 연령, 수입, 의복비 지출 등 인구통계적 변수 또한 강박구매 성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면적 소비행동을 브랜드, 점포, 가격, 유행성으로 나누어 양면적 소비행동에 따른 강박구매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강박구매 성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양면적 소비를 개인의 마음에 정반대되는 또는 복합적 감정 및 태도가 공존하여 두 가지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소비경험으로 정의하고, 브랜드, 점포, 가격, 유행성에서 나타나고 있는 양면적 소비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정장류(재킷, 바지, 스커트), 캐주얼 단품류(T셔츠, 청바지), 가방류, 신발류 등의 제품군을 대상으로 양면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며, 이러한 양면적 소비행동에 따른 강박구매성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을 양면적 소비의 속성과 품목에 따라 집단화 하여 양면적 소비행동에 따른 강박구매성향의 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강박구매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을 양면적 소비의 속성과 품목에 따라 집단화 하여 양면적 소비행동에 따른 강박구매성향의 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강박구매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을 양면적 소비의 속성에 따라 집단화 하여 양면적 소비행동에 따른 강박구매성향의 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강박구매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양면적 소비와 강박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면적 소비를 하는 소비자들을 파악하여 서로 다른 소비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양면적 소비를 개인의 마음에 정반대되는 또는 복합적 감정 및 태도가 공존하여 두 가지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소비경험으로 정의하고, 브랜드, 점포, 가격, 유행성에서 나타나고 있는 양면적 소비행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정장류(재킷, 바지, 스커트), 캐주얼 단품류(T셔츠, 청바지), 가방류, 신발류 등의 제품군을 대상으로 양면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며, 이러한 양면적 소비행동에 따른 강박구매성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시장에서 나타나는 소비현상은? 패션시장에서는 고급 브랜드나 수입명품들이 높은 매출 신장을 보이는 동시에 지속적인 저가정책을 사용하는 SPA 브랜드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양극화 소비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이 가치소비를 중시하게 되면서, 고가와 저가를 구매하는 소비자층이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한 소비자가 보다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소비를 하게 되었다.
최근 패션 소비자들에게 관찰되는 소비는? 패션시장에서는 고급 브랜드나 수입명품들이 높은 매출 신장을 보이는 동시에 지속적인 저가정책을 사용하는 SPA 브랜드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양극화 소비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이 가치소비를 중시하게 되면서, 고가와 저가를 구매하는 소비자층이 나눠지는 것이 아니라, 한 소비자가 보다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소비를 하게 되었다. 가방 등은 고가의 제품을 구입하면서, 일상복으로는 SPA 브랜드 등의 저렴하면서도 실용적인 상품들을 구입하는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소셜커머스의 등장에 따른 강박구매의 영향은? 온라인 쇼핑몰, TV 홈쇼핑 등과 같이 강박구매를 부추기는 환경적 요인이 쾌락적 소비의 강조와 서로 상승 작용을 하여 더욱더 쉽게 강박구매를 부추긴다(Seo, 2004).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쾌락적 소비를 강조하는 광고와 상업적 환경은 소비자들을 지나친 소비로 유도하고 있으며, 강박적 구매행동은 개인의 부채 급증 등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고, 크게는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Huh & Seo,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aker, J. L., & Williams, P.(1998). Empathy versus pride: The influence of emotional appeals across cultur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3), 241-261. doi: 10.1086/209537 

  2. Albertson, B., John, B., & Michael, A.(2004). Ambivalence as experienced conflict, political psychology workshop.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Black, D. W.(1996). Compulsive buying: A review.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57(8), 50-55. 

  4. Chung, H. S.(1999). Store patronage mix by fashion product type and competitive structure analysis among fashion stores by consumer's patronage mix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 Davis, F.(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Faber, R. J.(1992). Money changes everything: Compulsive buying from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5(6), 809-819. doi: 10.1177/0002764292035006015 

  7. Ha, S. J.(2003). Consumer segmentation of fashion luxury and ambivalent consump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Holbrook, M. B., & Batra, R.(1987).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404-420. doi: 10.1086/209123 

  9. Huh, E. J., & Seo, J. H.(2004). Consumer value and compulsive buying's their related factors and relationship: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Ulsan in Korea and Nagasaki in Japa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6), 75-87. 

  10. Jun, J. H., & Rhee, Y. S.(2010). The relationship of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value and value-conscious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9), 1491-1503. 

  11. Kang, L. J.(2004). A study on the compulsive buying tendency of 20-30 age group and its related factor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5(4), 1-16. 

  12. Kim, E. Y., & Hwang, J. S.(2012). The effect of ambivalent shopping value on online word-ofmouth and purchase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37, 299-314. 

  13. Kim, H. S.(2008) Lifestyle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between groups depending upon ambivalent consump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esig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J.(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ddictive buying sca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5. Kim, J. H., & Rhee, E. Y.(2007). A study on ambivalent consumption in the purchase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172-189. 

  16. Kim, S. J., & Hyun, M. H.(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ulsive buying, impulsivity, daily hassl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0(1), 1-16. 

  17. Kim, S. Y.(1994).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store patronage behavior of consu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B. M.(2006). Qualitative study on consumer ambiva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J. W., & Kim, M. Y.(2010). A study on ambivalent consumption of cosmetic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60(8), 118-131. 

  20. Lee, S. H., & Shin, C. Y.(2004).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compulsive buying behavior on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5), 658-667. 

  21. Moon, H. K., & Choo, H. J.(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14. 

  22. Park, E. H.(2009).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3. Park, E. H.(2012).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s on ambivalent consumption of fashion produc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1), 137-149. 

  24. Roberts, J. A.(1998). Compulsive buying among college students: An investigation of it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2(2), 295-319. doi: 10.1111/j.1745-6606.1998.tb00411.x 

  25. Seo, J. H.(2004). Middle, high and college students' shopping value type and compulsive buying: In Seoul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5(2), 1-17. 

  26. Shin, S. H.(2004).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ambival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upon consumers' innovative adoption: Focusing on new products of non-durable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7. Shin, J. H.(2000). A study on store patronage mix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product types and situ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8. Sung, H. W.(2008). Effects of price perception and store attributes on fashion-related store choice behavior: Focused on department store, discount store, and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274-1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