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 특징과 엽록소 함량 비교
Comparisons i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Foliages with Variegated Leave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4, 2013년, pp.447 - 456  

박인숙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신용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화훼장식전공) ,  오욱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  김규원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원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여 이용 및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반입의 형태 및 색, 면적비, 그리고 잎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주요 관엽식물 중에서 국내 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반입식물 6개과, 18속, 54종 또는 품종을 선정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반입의 형태는 계단, 복륜, 복륜붕괴, 모래복륜, 절반, 비단, 별, 엽맥, 장작, 장작복륜, 중심, 초심, 잎, 불규칙, 그물, 수박, 참외무늬 등 20종류였다. 반입의 색깔은 암록, 적, 암적, 적백, 적황, 백, 은, 은백, 황백, 황색 등이었다. 반입 면적비는 5.8%에서 100%까지 종에 따라 다양하였는데, 초심의 반입 면적비율이 98.6%로 가장 높았고, 계단무늬도 60.8%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복륜, 별, 장작무늬 등은 33.6-36.4%로 비율이 낮았고, 절반 및 엽맥 무늬도 43% 정도로 낮았다. 반입의 엽록소 함량은 일반식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엽록소 a와 b의 비율은 일반식물에 비해 b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특히 Stromanthe sanguinea 'Triostar',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Compacta'의 복륜붕괴 무늬종, D. reflexa 'Song of India' 및 Tradescantia spathacea의 엽록소 b함량이 a보다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ory and foundational data for breeding, on variegated foliage plants using for potted plants, based on examination and analysis for shape, color, and area ratio of variegated leaves and chlorophyll contents. Six families, 18 genus, and 54 spe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Kwak and Lee, 1997a, 1997b; Shen and Seeley, 1983)는 진행되고 있는데 비해, 현재 유통 되고 있는 분화류 중 반입식물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반입 관엽식물의 엽색과 무늬 형태, 잎의 엽록소 함량을 분석하여 종 또는 품종별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그린 인테리어나 화훼장식품 제작 시 재료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 반입식물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입식물이란 무엇인가? 반입식물이란 잎이나 꽃에 두 가지 이상의 색이 혼입된 식물을 말하지만 협의로는 엽록소의 함량이 적거나 엽록소가 없는 식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발생 원인은 엽록소의 부족 또는 파괴, 다른 색소의 발생, 표피세포의 변형 등으로 나타난다 (Kim et al.
반입식물의 장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관화식물에 비해 광요구도가 낮은 반입식물(variegated plant)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반입식물은 잎의 색과 무늬가 다양하여 다양한 경관을 조성할 수 있고 관화식물에 비해 관상기간을 장기간 유지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Kim et al., 2008).
반입식물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반입식물이란 잎이나 꽃에 두 가지 이상의 색이 혼입된 식물을 말하지만 협의로는 엽록소의 함량이 적거나 엽록소가 없는 식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발생 원인은 엽록소의 부족 또는 파괴, 다른 색소의 발생, 표피세포의 변형 등으로 나타난다 (Kim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K.S., S.D. Yun, W.S. Lee, and K.-Y. Yu. 2006. Comparison of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for the determining intensity of green color in leaf. Kor. J. Hort. Sci. Technol. 24:515-519. 

  2. Boardman, N.K. 1977. Comparative photosynthesis of sun and shade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28:355-377. 

  3. Byun, M.S., J.H. Lee, J.S. Kim, and K.W. Kim. 2008. Development of floral designs by using potted plants. Flower Res. J. 16:186-195. 

  4. Chen, J., Q. Wang, R.J. Henny, and D.B. McConnell. 2005. Response of tropical foliage plants to interior low light conditions. Acta Hort. 669:51-56. 

  5. Cheong, D.C., H.C. Lim, H.B. Park, and Y.J. Song. 2005. Effect of shading period and level on growth and flowering of Gypsophila paniculata. Kor. J. Hort. Sci. Technol. 23:433-439. 

  6. Dole, J.M. and H.F. Wilkins. 2005. Floriculture: Principles and species. 2nd ed.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7. Ha, S.H. 2006. Plants of world flower arrangement. Professional Floral Library, Seoul, Korea. 

  8. Hikosaka, K. and I. Terashima. 1995. A model of the acclimation of photosynthesis in the leaves of C3 plants to sun and shade with respect to nitrogen use. Plant Cell Environ. 18:605-618. 

  9. Hong, J., J.S. Lee, and B.H. Kwack. 1994. Influence of light intensity and quality, and fertilizer on growth and leaf variegation of Codiaeum variegatum 'Yellow Jade' for indoor landscaping. J. Kor. Soc. Hort. Sci. 35:610-616. 

  10. Kim, H.J., N.R. Joo, and J.S. Lee. 2008. Effects of different shading on the growth and leaf color of variegated Arundinaria munsuensis and Carex ciliato-marginata for. variegata. Flower Res. J. 16:284-290. 

  11. Kim, K.W., K.S. Kim, J.H. Kim, H.Y. Kim, K.Y. Baek, and J.S. Lee. 2005. Floricultural materials and morphology. Wizvalley, Seoul, Korea. 

  12. Kim, P.K. and E.J. Lee. 2001.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2. Adapt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to changing environment. Kor. J. Agr. Forest Meteorol. 3:171-176. 

  13. Kwack, B.H. 2007. Flower decorations for our recent human welfare. J. Kor. Flower Design 1:1-12. 

  14. Kwack, H.R. and J.S. Lee. 1997a. Effects of different light intensities and plant growth retardants on leaf-variegated Tradescantia, Hypoestes, Trachlospermum. J. Kor. Flower Res. Soc. 6:1-10. 

  15. Kwack, H.R. and J.S. Lee. 1997b. Effects of uniconazole and gibberellins on leaf-variegation of ornamental plants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J. Kor. Soc. Hort. Sci. 38:754-760. 

  16. Lee, D.W., J.D. Chung, and M.U. Chang. 1995. Electronmicroscopic observation of chloroplast in variegated leaf mutants of Korean native Cymbidium goeringii. J. Kor. Soc. Hort. Sci. 36:574-581. 

  17. Lee, S.Y., J.H. Ahn, and H.J. Kim. 2004.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lowering by nitrogen levels in Sedum sarmentosum. Kor. J. Hort. Sci. Technol. 22:426-430. 

  18. Liu, X., F. Yu, and S. Rodermel. 2010. Arabidopsis chloroplast FtsH, var2 and suppressors of var2 leaf variegation: A review. J. Integr. Plant Biol. 52:750-761. 

  19. Park, J.O., H.S. Cho, M.Y. Park, Y.S. Jo, S.Y. Kang, S.N. Kwack, and B.G. Heo. 2008.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variant induction in Hosta plantaginea and Farfugium japonicum. Flower Res. J. 16:128-133. 

  20. Poole, R.T. and C.A. Conover. 1979. Influence of shade and nutrition during production and dark storage simulating shipment on subsequent quality and chlorophyll content of foliage plants. HortScience 14:617-619. 

  21. Sakamoto, W. 2003. Leaf-variegated mutations and their responsible genes in Arabidopsis thaliana. Genes Genet. Syst. 78:1-9. 

  22. Shen, G.W. and J.G. Seeley. 1983. The effect of shading and nutrient supply on variegation and nutrient content of variegated cultivars of Peperomia obtusifolia. J. Amer. Soc. Hort. Sci. 108:429-433. 

  23. Wang, Y.T. and C.A. Boogher. 1990. Effect of stock plant shading, development stage and cytokinin on growth and lateral branching of Syngonium podophyllum 'White Butterfly'. Scientia Hort. 33:137-145. 

  24. Yoshida, S., D.A. Forno, J.A. Cock, and K.A. Cock. 1976. Laboratory manual for physiological studies of rice. 3rd ed.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Los Banos, Laguna, Philippines. p. 4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