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치찾기 선진화를 위한 국가지점번호 도입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Point Number for Advanced Location-Find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1 no.2, 2013년, pp.151 - 157  

양성철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초록

1997년부터 도로명을 기준으로 주소를 나타내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지번 방식의 주소에서 도로의 왼쪽에 위치한 건물에 홀수번호를 오른쪽에 위치한 건물에는 짝수번호를 부여하는 도로명 기준의 주소로 변화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도로명주소에 의한 위치표시는 가능하나, 전 답 산악 지역에 대한 위치표시체계는 미흡하여 범죄와 응급 구조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 이러한 비거주지역에서의 위치찾기 어려움의 도로명주소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지점번호가 도입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국가지점번호 도입을 돕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위한 영토 중심의 기준점과 격자 범위, 그리고 부여체계로 두 글자의 한글과 x, y 좌표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지점번호 고시대상지역, 지점번호판 설치위치와 민간 및 공공분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aw for indicating the address based on the street name has taken effect in 1997. The address based on land-lot number will be changed to the address based on the street name giving odd numbers to the buildings situated on the left side and even numbers to the buildings situated on the right s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준점은 지점번호의 부여범위를 어떻게 정의하는 가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며 도로명주소법에 따라 지점번호를 부여하기 위한 격자의 범위는 도서를 포함한 영토뿐만 아니라 인접한 해양도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최서남단 및 최동단의 도서, 즉 영토로 최소화한 방안과 해상의 배타적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 EEZ) 등까지 확장한 방안을 비교분석 하였다.
  • 도로명주소법 제2조에 따르면 지점번호는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표시를 위해 국토 및 이와 인접한 해양을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구획한 지점마다 부여한 문자와 아라비아숫자를 포함하는 번호를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점번호 부여체계를 위해 ① 기준점 위치 및 부여범위, ② 문자 및 숫자구성, ③ 지점번호 고시지역 및 시설물 설치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점번호가 위치찾기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점번호는 도로명주소가 없는 지역에서의 각종 사고 및 재난 발생 시 위치찾기가 불편하여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점과 도로명주소 실시에 따른 비거주지역의 위치 표시 곤란이 도입 배경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지점번호의 효과적인 도입과 활용을 위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점번호의 부여범위는 해상보다 육상이 주 대상이 될 것이므로 영토로 최소화한 방안과 배타적 경제수역까지 확장한 안을 비교하여 최남서단 및 최동단의 도서로 최소화한 우리나라의 영토로 한정한 부여범위와 기준점(경위도는 동경 124°20′11.
  • 첫째는 경찰, 소방, 산림청 등 기관 및 지역별로 서로 다른 위치표시체계가 통일되어 긴급 상황에 상호협력 및 공동대응이 가능한 것과 건물이 없는 비거주지역에서도 위치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공분야와 민간분야로 나누어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분야의 활용방안은 공공기관의 각종 인명피해 등 사고발생에 따른 응급구조 활동에의 활용과 시설물 관리차원에서 비거주지역의 위치표시에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전국적인 지점번호 체계 구축을 위한 기준점 설정, 부여체계 확립의 근거 마련, 고시 지역의 제도적 기반 제시를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지점번호 부여체계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번호부여체계와 기준점을 재정립하고 그에 따른 부여범위를 정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최서남단 및 최동단의 도서로 최소화한 부여범위 안은 지점번호의 실질적인 부여 지역인 우리나라의 영토를 기준으로 한 범위로 최남단인 이어도종합해양과학기지, 최서단인 가거초해양과학기지와 최동단인 독도를 포함한다. 지점번호의 부여는 해상보다 육상이 주 대상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영토위주의 부여범위로 지점번호 표지판을 설치하는 육상 및 도서를 포함하는 영역 설정으로 번호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첫째, 한글과 알파벳 조합이다. Figure 4(a)와 같이 한글의 자 · 모음을 양축으로 하여 결합하되 활용도가 높은 남한지역 내륙에 영어의 기본모음(ㅏㅣㅜㅔㅗ)을 배정하고 영토 또는 영해의 일부가 포함되는 코드에 잘 사용치 않는 모음을 배정하는 방안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점번호의 부여기준은 무엇으로 하는가? 지점번호의 부여기준은 도로명주소법 시행령 제11조의13에 따라 고시한 기준점으로부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0m인 지점을 기본단위로 한다. 여기서 기준점은 번호가 부여되는 격자를 구역하기 위한 기준 즉, 시작점의 의미이므로 위치는 국토 및 이와 인접한 해양을 포함할 수 있는 격자의 좌하단 지점이 된다.
지점번호는 숫자부와 문자부로 구성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지점번호를 숫자만으로 표현할 경우 100km 격자마다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점번호는 숫자부와 문자부로 구성된다.
지점번호를 한글로 사용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생기는가? 한글을 사용할 경우 지점번호는 전국토의 국가적 위치표시 체계이므로 우리나라의 언어인 한글을 사용하여 자국민의 이용을 편리하게 해야 한다는 정당성이 성립한다. 그러나 세계적인 표준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영문대비 데이터 용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영문을 사용할 경우 국제적으로 인식이 가능하고, 알파벳이 한글보다 더 많은 문자수를 가지고 있기 많은 격자에 문자를 부여할 수 있으며, 한글대비 데이터 용량이 적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aek, I., Kim, K. (2011), Application of public service through national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IT policy research series, Vol. 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pp. 1-11. 

  2. FGDC (2001), United States National Grid Standard (FGDC-STD-011-2001). 

  3. Lee, S. et al. (2009), A study on location indication system of region,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4. New Address Information, URL: http://www.juso.go.kr/ (last date accessed: 14 March 2013). 

  5. Ordance Survey (2010), A guide to coordinate systems in Great Britain 

  6. Ordnance Survey, URL: http://www.ordnancesurvey. co.uk/oswebsite/gi/nationalgrid/nghelp1.html (last date accessed: 11 March 2013). 

  7. Song, K. (2013), People lives easier through introduction of advanced location-finding, Local Information Magazine, Vol. 78, pp. 66-71. 

  8. United States National Grid(USNG), URL: http://www.fgdc. gov/usng (last date accessed: 11 March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