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II (KFSS-II)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Korea Family Strengths Scale(KFSS-II)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4 = no.124, 2013년, pp.113 - 129  

유영주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인수 (상명대 복지상담대학원 가족상담치료학과) ,  김순기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  최희진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 Family Strengths Scale II (KFSS-II) which was modified and developed by Yoo(2004).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scale of family strengths which was based on Yoo(2004)'s sample survey that targeted 494 adults who live in Korea co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가족’을 개인의 발달과 자율성을 도모하면서 가족원간의 상호작용이 원만하고 적절한 유대관계를 이룸으로써 가족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족이라고 정의하고, ‘가족의 건강성’ 은 정서적 유대감을 적절한 수준으로 잘 유지하는 가족이 가족 과정과 관계를 기능적으로 실행하여 가족구성원이 행복하고 가족이라는 체계로서 각 가족의 상태나 생활주기 등에 맞는 적정한 기능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편형 척도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척도를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KFSS의 문항수를 축소하고 문장을 평이하게 수정함으로써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하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Ⅱ(KFSS-Ⅱ)'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 2003; Levesque, Zuehlke, Stanek, & Ryan, 2004).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표본 크기에 덜 민감하고 모형의 간명성을 고려할 수 있는 RMSEA를 함께 살펴보았다.
  •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족건강성척도 사용 중에 제기된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KFSS)'의 문항수를 줄이고, 문장을 좀 더 평이하게 수정, 구성하여 여러 연령층과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건강성’ 측정 및 관련 연구에 사정 및 평가의 기초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Ⅱ(KFSS-Ⅱ)'를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의 변화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가족건강성 연구와 건강가족 서비스 실천현장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간편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Ⅱ (Family Strengths Scale: KFSS -Ⅱ)’ 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 우리나라 가족의 가족건강성을 보다 효율 적으로 측정하고, 가족건강성 증진을 위한 각종 연구와 가족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가족건강성을 진단, 평가하고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orean Institute of Healthy Family(2010)에서 센터 이용자들에게 활용하여 건강가정사업을 통한 가정건강성의 향상을 규명하고 건강가정사업의 효과성을 증명할 수 있는 척도인 ‘가정건강성’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가족관계지표(R, 소통과 친밀감) 10문항, 자원관리지표(M, 가치와 가족 자원관리) 10문항, 외부관계지표(E, 일-가정의 균형, 지역사회관계) 3지표에 관한 질문 30문항과 가정의 기초생활 영역에 대한 질문 10문항에 대한 총점으로 가족건강성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하며, R, M, E세 지표의 높고 낮음에 따라 8 개의 가정유형으로 분류하여 가족의 강점과 보완할 점, 실천 전략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제작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의 변화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가족건강성 연구와 건강가족 서비스 실천현장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간편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Ⅱ (Family Strengths Scale: KFSS -Ⅱ)’ 를 개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건강가족적 관점(strong family perspectives)은 삶에 대한 긍정적·낙관적 관점으로 모든 가족은 강점을 가지고 있고 도전과 잠재적 성장의 역량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한다.
  • 모형검증을 통해 재생된 공변량 행렬과 원자료의 공변량 행렬 간에는 차이가 없다. 즉, 평가하고자하는 모형이 완벽하다는 영가설은 기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χ 2 값이 표본의 크기에 매우 민감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영가설을 쉽게 기각하게 된다(Ho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가족적 관점은 무엇을 가정하는가? 건강가족적 관점(strong family perspectives)은 삶에 대한 긍정적․낙관적 관점으로 모든 가족은 강점을 가지고 있고 도전과 잠재적 성장의 역량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한다. 즉, 가족의 강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강점을 찾을 수 있고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의 긍정적 성장과 변화의 기초가 된다고 보았다.
우리나라 건강가족에 관한 초기연구에서 외국의 척도를 사용하여 나타난 문제점으로 제기된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건강가족에 관한 초기 연구들은 대개 가족의 건강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외국의 척도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외국의 척도들은 서구적인 문화와 가족생활을 반영한 것이어서 한국문화 및 가족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Eo and Yoo(1995)는 한국인의 가치관에 맞는 한국가족의 건강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Stinnett et al.
가족과 사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왜 가족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개발하여야 하는가? 즉, 가족의 강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강점을 찾을 수 있고 개발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의 긍정적 성장과 변화의 기초가 된다고 보았다. 나아가 건강한 가족에서 성장한 사람이 안정적으로 자신을 돌보고 건강한 가족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족과 사회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긍정적인 측면, 즉 건강성에 초점을 두고 이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Eo & Yoo,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rnhill, L. R.(1979). Healthy family systems. The Family Coordinator, 28, 94-100. 

  2.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3. Choi, S.(1999). A study on healthy family factor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4. Choi, S.(2006).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in Double-income Coupl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6), 47-58. 

  5. Curran, D.(1983). Traits of a healthy family. MI: Winston Press, Inc. 

  6.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 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7. DeFrain, J.(2002). Global perspective on strong families. Building Family Strengths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 Book, June 12-14, Shanghai, China. 

  8. Eo, E. & Yoo, Y.(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1), 145-156. 

  9. Eo, E.(1996). Korean Urban Family Strenghts and Its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10. Eo, E. & Yoo, Y.(2001). Korean Urban Family Strengths and Its Related Variable. In Y. Yoo(Eds.). Strong family research. Seoul: Kyomoonsa Publishing Co. 

  11. Gubrium, J. F. & Holstein, J. A.(1990). What is family. NY: Mayfield Pub Co. 

  12. Hong, S., Malik, M. L., & lee, M. K.(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13. Hu, L. Z., & Bentler, P. M.(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14. Jeong, S.(2007).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ability of the contents of the "me and my family relations" unit and family strength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ngwon. 

  15. Kim, H. & Kim, K.(2011). A Study of related variables to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en coup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2), 59-86. 

  16. Kim, J., Kim, M., & Hong, S.(2009). Writing to dissertation by AMOS. Seoul: Communication Books. 

  17. Kim, Y.(2008). A study of family strengths, self-esteem, adjustment to school life perceived by adolesc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nam University, Jeonju. 

  18. Korean Institute for Healthy Family(2010).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cale of healthy family. (e-book http://ebook.familynet.or.kr/20100819_132208). 

  19. Lee, S.(2008). The influences of family strengths on marital inst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0. Levesque, C., Zuehlke, A. N., Stanek, L. R., & Ryan, R. M.(2004). Autonomy and competence in German and American un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 68-84. 

  21. Lim, H. & Kang, S.(2012)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s and we-consciousness on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1), 311-327. 

  22. McCubbin, M. A., McCubbin, H. I., & Thompson, I. (1991).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23. Olson, D. H. & DeFrain, J.(1999). Marriage and the family : diversity and strengths(3rd ed.). Mountain View, CA : Mayfield Publishing Co. 

  24. Olson, D. H.(199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assessing family functioning. In F. Walsh(Ed.), Normal family processes(2nd ed.), 104-137. NY: Guilford Press. 

  25. Olson, D. H., & DeFrain, J.(1994).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Mountain View, CA.: Mayfield Publishing Co. 

  26.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n, M., & Wilson, M.(1989).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2nd ed.). Los Angeles, CA: Sage. 

  27.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1979).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Process, 1, 3-28. 

  28.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1989). Circumplex model : systemic assessment and treatment of families. NY : Haworth Press. 

  29. Otto, H. A.(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30. Park, J. (2012). A comparative study between patents of preschooler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on nurturing attitude, nurturing burden and family streng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31. Stinnett, N., & DeFrain, J.(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32. Stinnett, N., & Saur, K. H.(1977).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s, 11. 

  33. Stinnett, N., Sanders, G., & DeFrain, J.(1981). Strong families: a national study. In N. Stinnett, J. De-Frain, K. King, P. Knaub, & G. Rowe(Eds.), Family strengths 3: Roots of well-being (33-42).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4. Stinnett, N., Sanders, G., DeFrain, J., & Prkhurst, A. (1982). A nationwide study of family who perceive themselves as strong. Family Perspectives, 16. 

  35.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Y: Guilford Press. 

  36. Yang, S.(2004). A study on the relative happiness through gender in rural couples and the effect of family healthines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 153-172. 

  37. Yoo, Y.(1994). The rule of family members for the strong family.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Conference Proceeding Book, Seoul, Korea. 

  38. Yoo, Y.(1999). A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sound home and healthy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7(3), 93-102. 

  39. Yoo, Y.(2001). Strong family research. Seoul: Kyomoonsa Publishing Co. 

  40. Yoo, Y.(2004).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 119-151. 

  41. Yoo, Y., Kim, S., & Kim, K.(2008). Family relationships. Seoul: Kyomoonsa Publishing Co. 

  42. Yoo, Y., Lee, I., Kim, S., Hong, S., & Choi, H. (2009). Understanding of strong family. Seoul: Kyomoonsa Publishing Co. 

  43. Life Innovations, Inc. www.facesiv.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