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산, 태안 및 고흥 지역에서 마늘 흑색썩음병을 일으키는 Sclerotium cepivorum의 살균제 감수성 조사
Sensitivity of Sclerotium cepivorum Causing Garlic White Rot Isolated from Taeahn, Seosan and Goheung Areas to Fungicid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2, 2013년, pp.133 - 139  

김형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최우봉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  김흥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요 마늘 재배지인 서산, 태안, 고흥에서 2008년과 2009년에 채집한 병든 마늘로부터 단균핵 분리를 통하여 총 147개의 흑색썩음균핵병균 Sclerotium cepivorum 균주를 분리하여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에는 현재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isoprothiolane 등 5종의 살균제를 선발하여 한천희석법으로 살균제에 대한 병원균의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isoprothiolane에 대한 병원균의 평균 $EC_{50}$값을 연도별로 비교하여 보면, 2008년에는 각각 0.054, 0.012, 23.189, 0.901, $21.362{\mu}g\;mL^{-1}$이었으며, 2009년에는 0.030, 0.020, 10.367, 1.684, $33.406{\mu}g\;mL^{-1}$이었다. Flutolanil에 대한 평균 $EC_{50}$값은 2008년에 확보한 균주에 비하여 2009년에 확보한 균주 집단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 iminoctadine과 isoprothiolane에 대해서는 2008년 균주 집단의 $EC_{50}$값보다 2009년 균주 집단의 $EC_{50}$값이 더 증가하였다. 병원균 분리 지역 간의 $EC_{50}$값을 비교하여 보면 고흥 지역에서 분리한 병원균 집단의 flutolanil과 isoprothiolane에 대한 $EC_{50}$값이 14.468과 $24.653{\mu}g\;mL^{-1}$로 서산과 태안에서 분리한 병원균 집단보다 낮았으며, prochloraz에 대해서는 태안 지역에서 분리한 균주의 집단이 $0.008{\mu}g\;mL^{-1}$로 가장 낮았다. 현재 마늘 흑색썩음균핵병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5종의 살균제에 대해서 국내에서 분리한 S. cepivorum 균주 집단에는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찾아 볼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sensitivity of Sclerotium cepivorum causing garlic white rot to 5 fungicides, including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and isoprothiolane, 147 isolates isolated from infected garlics from 2008 to 2009 through a single sclerotium isolation were screened. Whil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 마늘의 주산지인 서산, 태안, 고흥에서 분리한 흑색썩음균핵병균을 사용하여 prochloraz, tebuconazole, flutolanil, iminoctadine tris-albesilate 그리고 isoprothiolane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여 병원균 집단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의 다양성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포장에서 저항성 균의 발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a ; Sensitivity of each isolate to each fungicide was represented as EC50 value (effective concentration (µg mL−1 ) reducing mycelial growth by 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색썩음균핵병 방제를 위해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오래 전부터 흑색썩음균핵병 방제를 위해서 dicloran 또는 iprodione 등과 같은 살균제를 사용하였으나, 토양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새로운 살균제를 개발하기 위한 비용과 시장성을 고려하여도 흑색썩음균핵병을 대상으로 살균제를 개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Entwistle, 1992).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방법들도 강구되어 왔는데, Coniothyrium과 같은 사상균을 이용하여 초기 전염원인 균핵을 방제하거나, 태양열 소독을 통해서 포장에서 균핵의 밀도를 낮춤으로써 병 방제를 하기도 하였다(Entwistle, 1992; Stour 등, 1989; UlacioOsorio 등, 2006). 또한 합성한 마늘의 기름 성분인 diallyl disulfide나 마늘 가루를 마늘을 재배하기 전에 토양에 처리하여 Sclerotium 균핵의 발아를 촉진시켜 균핵의 생존을 억제함으로써 병을 방제하기도 하였다(Davis 등, 2007; Hovius와 McDonald, 2002). 살균제 사용 이외의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지만,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균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은 살균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 방법이다(Zewide 등, 2007).
마늘 흑색썩음균핵병균의 피해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백합과 채소작물에서 흑색썩음 균핵병의 발생이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백합과 채소 중에서도 마늘에 특히 심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와 Kim, 1996). 마늘 흑색썩음균핵병균은 균핵 상태로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오염된 토양에서는 마늘의 재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토양 1g당 0.01에서 0.1개의 균핵이 생존할 경우, 수확기에 병원균에 감염된 마늘이 85%에서 100%에 달하기 때문에 피해가 매우 큰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Crowe 등, 1980).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이 발생한 포장의 토양에 균핵이 장기간 생존하게 되면 마늘 생산에 큰 피해를 받기 때문에 병원균의 균핵이 포장에 유입되는 것을 막아야 하며, 유입되었다고 한다면 균핵의 생존을 억제하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Kim 등, 2005).
국내 흑색썩음 균핵병은 언제 어떤 작물에서 처음 발생이 보고 되었는가? 전 세계적으로 파속 채소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흑색썩음균핵병은 국내 마늘 재배에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Kim, 2001; Kim, 2002; Kim, 2003; Kim, 2004). 국내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백합과 채소작물에서 흑색썩음 균핵병의 발생이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백합과 채소 중에서도 마늘에 특히 심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와 Kim, 1996). 마늘 흑색썩음균핵병균은 균핵 상태로 토양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오염된 토양에서는 마늘의 재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토양 1g당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W. D. and W. G. Kim (1996) Occurrence of white rot on Alliaceous vegetable crops. Korean J. Plant Pathol. 12:251-254. (In Korean) 

  2. Cho, W. D., W. G. Kim, S. K. Hong and W. S. Kim (2003) Sclerotium sp.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a new disease, globular sclerotium rot of garlic. Plant Pathol. J. 18:372 (Abstract). 

  3. Crowe, F. J., D. H. Hall, A. S. Greathead and K. G. Baghott (1980) Inoculum density of Sclerotium cepivorum and the incidence of white rot of onion and garlic. Phytopathology 70:64-69. 

  4. Davis, R. M., M. K. Romberg, J. J. Nunez and R. F. Smith (2007) Efficacy of germination stimulants of sclerotia of Sclerotium cepivorum for management of white rot of garlic. Plant Dis. 91:204-208. 

  5. Entwistle, A. R. 1922. Controlling Allium white rot (Sclerotium cepivorum) without chemicals. Phytoparasitica 20:Suppl. 121S-125S. 

  6. Fullerton, R. A. and A. Stewart (1991) Chemical control of onion white rot (Sclerotium cepivorum Berk) in the Pukekohe district of New Zealand. NZ J. Crop Horticult. Sci. 19:121-127. 

  7. Haq, M. A., H. A. Collin, A. B. Tomsett and M. G. Jones (2003) Detection of Sclerotium cepivorum within onion plants using PCR primers. Physiol. Mol. Plant Pathol. 62: 185-189. 

  8. Hovius, M. H. Y. and M. R. McDonald (2002) Management of Allium white rot (Sclerotium cepivorum) in onions on organic soil with soil-applied dially disulfide and di-Npropyl disulfide. Can. J. Plant Pathol. 24:281-286. 

  9. Kim, C. -H. (2001)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0. Korean J. Pesticide Sci. 5:1-11. (In Korean) 

  10. Kim, C. -H. (2002)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1. Res. Plant Dis. 8:1-10 (In Korean). 

  11. Kim, C. -H. (2003)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2. Res. Plant Dis. 9:10-17 (In Korean). 

  12. Kim, C. -H. (2004)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3. Res. Plant Dis. 10:1-7 (In Korean). 

  13. Kim, Y. -K., M. -K. Kwon, W. -D. Cho, T. -S. Kim, H. -S. Shim, Y. -H. Lee, C. -J. Lee and S. -C. Lee (2004) Pathogenicity of two species of Sclerotium to nine cultivars of garlic cultivated widely in Korea. Res. Plant Dis. 10:105-111 (In Korean). 

  14. Kim, Y. -K., M. -K. Kwon, H. -S. Shim, T. -S. Kim, W. -H. Yeh, W. -D. Cho, I. -H. Choi, S. -C. Lee, S. -J. Ko, Y. -H. Lee and C. -J. Lee (2005) Various cultural factors associated with disease development of garlic white rot caused by two species of Sclerotium. Res. Plant Dis. 11: 28-34 (In Korean). 

  15. Ma, Z. and T. J. Michailides (2005) Advances in understanding molecular mechanisms of fungicide resistance and molecular detection of resistant genotypes in phytopathogenic fungi. Crop Prot. 24: 853-863. 

  16. Melero-Vara, J. M., A. M. Parados-Ligero and U. M. S. Basallote (2000) Comparision of physical and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of controlling garlic white rot. Eur. J. Plant Pathol. 166:581-588. 

  17. Satour, M. M., M. F. Abdel_Rahim, T. El-Yamani, A. Grinstein, H. D. Rabinowitch and J. Kata (1989) Soil solarization in onion fields in Egypt and Israel: short- and long-term effects. Acta Horticul. 255:151-159. 

  18. Stewart, A. and R. A. Fullerton (1991) Additional studies on the control of onion white rot (Sclerotium cepivorum Berk) in New Zealand. NZ J. Crop Horticult. Sci. 19:129-134. 

  19. Ulacio-Osorio, D., E. Zavaleta-Mejia, A. Martinez-Garza and A. Pedroza-Sandoval (2006) Strategies for management of Sclerotium cepivorum Berk. in garlic. J. Plant Pathol. 88: 253-261. 

  20. Utkhede, R. S. and J. E. Rahe (1979) Evaluation of chemical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onion white rot. Pesticide Sci. 10:414-418. 

  21. Zewide, T., C. Fininsa and P. K. Sakhuja (2007) Management of white rot (Sclerotium cepivorum) of garlic using fungicides in Ethiopia. Crop Prot. 26:856-8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