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R&D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보건의료산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 of National R&D Investment: Health care industry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1 no.1, 2013년, pp.59 - 83  

정군오 (호서대학교 경제학과) ,  임응순 (호서대학교 경제연구소) ,  송재국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출산율의 감소와 고령화 추세에 따른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보건의료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많은 선진국들은 IT관련 산업에서 벗어나 전략산업으로 보건의료(HT: Health technology) 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있다. 한국도 경제성장을 통하여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국민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따라 보건의료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증대됨으로 인하여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국가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수치화해보고자 한다. 위 분석은 국가 R&D 투자가 이루어지는 보건의료산업을 내생부분이 아닌 외생화시켜 타 산업분야에 대한 순수한 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건의료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공통적으로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와 금융 및 보험부문이 높게 나왔다. 이러한 부문은 보건의료산업과 관련이 있는 세부분류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보건의료산업의 취업유발효과는 도소매부문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농림수산품 부문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산업의 전 후방 연쇄효과는 평균인 1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보건의료산업이 최종수요적 원시산업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제 2009년 보건의료산업 관련 국가 R&D투자금액을 대입하여 보건의료관련 정부연구개발비가 경제에 미치는 생산 및 부가가치 금액을 도출해본 결과 전체산업에 생산유발은 약 4,932억원, 부가가치유발은 약 2,1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care industry is increasing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caused by decreasing in fertility rate and aging population. Therefore expansion of government investment in R&D of the health care industry is needed as the demand of health c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기본부문(403부문)에서 의약품(155), 의료기기(268), 의료 및 보건(377, 378, 379)을 통합하여2) 전체 보건의료산업을 새로이 정의하고 이에 관한 분석을 실시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산업의 국가 R&D 투자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9년도 보건의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보건의료산업의 국가 R&D 투자가 미치는 경제적 효과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산업들 중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보건의료산업의 국가R&D투자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의 분석방법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산업의 외생화 작업을 통해 타 산업에 미치는 순수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종합 분석결과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산업연관표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 R&D 투자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 R&D 투자가 보건의료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서의 보건의료산업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실제 정부연구개발 금액을 대입하여 경제적 파급금액을 계산해보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국가 R&D투자에 대한 경제적 성과분석과 추후 R&D에 관한 정책결정에 활용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과 함께 국가 R&D투자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해 본다.
  • 이에 본 연구는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국가 R&D투자금액 대비 파급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가설 설정

  • 또한 산업연관표와 국민계정상의 중간투입비용개념인 R&D투자와 외생적인 국가R&D투자의 개념이 서로 상이하여 파급효과의 의미가 모호해 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계정상의 투자개념 가정하에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증가한 원인은? 최근까지 한국을 비롯하여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국가들은 제조업 기반의 산업화를 통한 경제성장과 그로 인한 소득의 증가를 경험하며,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기반의 경제성장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 추세로 인한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와 삶의 질에 기초가 되는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보건의료분야는 “서비스”라는 개념에서 의료기술의 산업화와 의료관광과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기술 기반의 경제성장을 추구하게 된 배경은? 최근까지 한국을 비롯하여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국가들은 제조업 기반의 산업화를 통한 경제성장과 그로 인한 소득의 증가를 경험하며,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기반의 경제성장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 추세로 인한 인구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와 삶의 질에 기초가 되는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보건의료분야에 선진국들이 하는 노력은? 이러한 보건의료분야는 “서비스”라는 개념에서 의료기술의 산업화와 의료관광과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미국, EU, 일본 등의 선진국들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보건의료 부문의 국가 R&D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보건의료기술을 건강관련 지식들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모든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의료관련 R&D의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3천개 보건의료 관련기관에 312억 달러 상당의 국가 R&D를 집중하는 NIH Roadmap을 실시하고 있다(AAAS, 2010). EU는 제7차 연구개발 기본계획(FP7: Framework Program, 2007-2013)을 통하여 9개의 주요연구 분야 중 보건의료부문을 하나로 분리하여 60억 유로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MacNee, Viegi, Kamel, 2007). 일본은 건강과 안전을 추구하여 세계 제일의 안전 국가를 정책 목표로 세우고 의료관광, 의료기관 육성 등의 신 성장전략과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보건의료 분야에 국가 R&D를 중점지원하고 있다(Hirai, 2009). <그림 1>은 미국과 한국의 각 분야별 국가 R&D투자 비중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