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타피오카 전분을 첨가한 모과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Tapioca Starch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4, 2013년, pp.444 - 450  

김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식품학부)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식품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hemical properties,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which produces the mokwapyun from the tapioca starch. The mokwapyun-added tapioca starches hold higher moisture contents than mung bean starches. And, the ratios of tapioca starch indicat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전통 과편의 겔화제인 녹두전분의 단점인 제조가 어렵고 가격이 비싸 비경제적인 점을 개선하고자 비교적 경제적이고 낮은 칼로리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타피오카 전분을 과편 제조 시 첨가하여 이화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관능적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전통 과편의 이용성 증진 및 상품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과는 무엇인가? 모과(Chinese quince, Chaenomelis sinensis)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에 속하는 모과나무(Chaemoneles sinensis Koehne)의 성숙과실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이전에 들어와 재배되고 있으며, 현재 전남, 충남, 경기도 등 중부 이남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모과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모과(Chinese quince, Chaenomelis sinensis)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에 속하는 모과나무(Chaemoneles sinensis Koehne)의 성숙과실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이전에 들어와 재배되고 있으며, 현재 전남, 충남, 경기도 등 중부 이남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모과의 효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이전에 들어와 재배되고 있으며, 현재 전남, 충남, 경기도 등 중부 이남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예전부터 감기나 기관지염, 기침, 가래의 완화제로 많이 알려져 왔고, 류머티즘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CB 2006). 모과에 관한 연구는 모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Lee et al 2007), 모과주류의 생리기능성(Lee et al 2002), 모과·사과 혼합청징음료 제조에 관한 연구(Song et al 2002), 모과의 음료 소재 가공 적성에 관한 연구(Song JC 2002), 모과의 비휘발성 flavor 성분에 관한 연구(Chung et al 1988) 등으로 모과를 음식에 직접 이용한 연구가 아직은 미비하므로, 모과를 첨가한 음식의 발굴 및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 YJ, Jung YS, Kim JW, Yoon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carrot. spinach and mulberry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46-52. 

  2. Chee KM (1986) Nutritive values of tapioca. Korean J Animal Nut & Feedstuffs 10: 18-35. 

  3. Chung TY, Cho DS, Song JC (1988) Non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quince fruits, Chaenomeles sinensis Koehne. Korean J Food Sci 20: 293-302. 

  4. Ha YD (2003) Effect of addition soy flour on tapioca nonsteamed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88- 392. 

  5. Hyun YH, Hwang YK, Lee SY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apioca flour. Korean J Food & Nutr 18: 103-108. 

  6. Jung MH (2002) Comparatice effect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y storage conditions of breads add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aris.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p 40. 

  7. Kim BS, Jeong MR, Lee YE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hwakwa-pyun with various starch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783-792. 

  8. Kim EM, Lee HG (2003) Development of lemon pyun by the addition of various gelling ag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772-776. 

  9. Kim JH, Kwon KR (1987)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cassava starch by a straim of Rhizopus and Aspergillus niger. Korean J Mycol 15: 158-168. 

  10. Kim KH, Park SH (1995) Liquefaction and saccharification of tapioca starch for fuel ethanol production. Korea J Biotechnol Bioeng 10: 304-316. 

  11. Kim IS, Joo DS, Kim DS, Kim JD (2007) Food and health. Shinkwang munhwasa, Seoul. pp 144-145. 

  12. Lee CB (2006) Korean plant map. Hyangmunsa, Seoul. p 29. 

  13. Lee CJ, Cho HJ (1996)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 of mungbean starch on the quality of omija-pyun. J Korean Soc Dietary Culture 11: 53-59. 

  14. Lee DH, Kim JH, Kim NM, Choi JS, Lee JS (2002)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hinese quince wine and liquor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266-270. 

  15. Lee JY, Lee HG (1994) Texture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0: 386-393. 

  16. Lee YM, Shin HD, Lee JJ, Lee MY (2007) Antioxidative effect of 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4: 177-182. 

  17. Mishra S, Rai T (2006) Morphology and functional properies of corn, potato and tapioca starches. Food Hydrocolloids 20: 557-566. 

  18. Shin SJ, Yoon H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sapyun with various amounts of Crataegi fructus concentrat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 181-190. 

  19. Song JC (2002) Studies on processing possibility of beverage drinks manufacture using Chinese quince. Food Engineering Progress 6: 30-37. 

  20. Song JC, Cho EK, Park HJ (2002) Studies on manufacture of mixed beverage drinks using Chinese quince and apple. Food Engineering Progress 6: 29-45. 

  21. Song JC, Park HJ (2000) Food rheology. Ulsan University Press Center, Ulsan. pp 151, 166, 202. 

  22. Yoo CH, Shin Y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tapioca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96-401. 

  23. Yun YK (2012) Effects of corn starch, potato starch and tapioca starch on the quality of gluten-free rice bread.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pp 2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