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소규모 농가 생산 전통 고추장의 휘발성 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Components of Traditional Gochujang Produced from Small Farms according to Each Cultivation Regio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4, 2013년, pp.451 - 460  

홍여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손성혜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하윤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황인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유승석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traditional gochujang from various districts. The volatiles from each traditional gochujang are being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고추장이 다양한 특성과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최근 고추장을 포함한 장류 소비의 대부분이 한정된 몇 개의 대기업에 제한되는 것을 고려할 때 사라질 수 있는 전통적인 한국의 맛을 발굴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전통 고추장의 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각 지역의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현재 제조하고 있는 전통 고추장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고추장을 수집하여 주요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고추장이 다양한 특성과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최근 고추장을 포함한 장류 소비의 대부분이 한정된 몇 개의 대기업에 제한되는 것을 고려할 때 사라질 수 있는 전통적인 한국의 맛을 발굴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전통 고추장의 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각 지역의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현재 제조하고 있는 전통 고추장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고추장을 수집하여 주요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체계화 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 고추장의 휘발성 성분 분석 시 추출조건을 검토하고 분석방법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장은 어떤 식품인가? 고추장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류의 일종이며 발효 조미식품으로, 다른 장류와는 달리 부재료로 고추를 주로 사용한다. 고추장의 맛은 재료로부터 유래되는 짠맛과 매운맛 외에도 발효에 의한 맛이 있는데, 콩으로부터 얻어지는 단백질의 구수한 맛과 찹쌀, 쌀 등의 탄수화물 식품에서 얻어지는 당질의 단맛이 있다.
고추장의 맛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고추장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장류의 일종이며 발효 조미식품으로, 다른 장류와는 달리 부재료로 고추를 주로 사용한다. 고추장의 맛은 재료로부터 유래되는 짠맛과 매운맛 외에도 발효에 의한 맛이 있는데, 콩으로부터 얻어지는 단백질의 구수한 맛과 찹쌀, 쌀 등의 탄수화물 식품에서 얻어지는 당질의 단맛이 있다. 이와 같은 맛은 고춧가루의 매운 맛과 소금의 짠 맛과 조화되어 고유한 고추장의 맛을 이루며, 조미와 향신의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Shin et al 1996).
개량식 혹은 공장산 고추장이 전분질만을 주요한 기질로 사용하여 황국균의 발효를 이용하는 이유는? 한편, 개량식 혹은 공장산 고추장의 경우, 주로 분리되어 사용된 특정의 국균의 효소작용과 효모의 발효작용에 의하여 주요 향미가 생성되는데, 이는 고추장의 메주 대신 koji를 사용하고, 엿기름에 의한 당화보다는 감미원으로 물엿을 직접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에 기인한다. 이는 전분질만을 주요한 기질로 사용하여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의 발효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통 고추장에 비해 단시간에 고추장을 대량 생산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장에서 생산하는 koji 사용 개량식 고추장의 경우 자연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을 이용한 전통 고추장과는 달리 향미 면에서 다른 특 나타낸다(Kim & Oh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혜경, 김주현 (1999) 고추장의 품질개발동향. 금구논총 7: 7-19. 

  2. 박건영 (2002) 전통식품과 항암효과. 한국 인간.식물.환경 학회지 5: 41-46. 

  3. Cho HO, Kim JG, Lee HJ, Kang JH, Lee TS (1981) 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z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J Korean Agric Chem Soc 24: 21-28. 

  4. Choi JY, Lee TS (2003)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commercial enzym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6: 207-213. 

  5. Choi JY, Lee TS, Noh BS (1999)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mproved kochujang prepared with glutinous rice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221-1226. 

  6. Choi JY, Lee TS, Noh BS (2000)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s with meju and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35-1042. 

  7. Choi JY, Lee TS, Park SO, Noh BS (1997)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45-751. 

  8. Choi JY, Lee TS, Park SO (1998)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mproved kochujang prepared with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9. Hara S (1967) Alcohol composition of sake. J Soc Brew Japan 65: 1195-1205. 

  10. Heath HB (1981) Source book of flavors. AVI Pub. Co., NY. pp 26-42. 

  11. Hur SS, Bae DH, Kim SU, Choi YH (1998) Properties of chopi oleoresin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and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volatile compon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06-412. 

  12. Joo HK, Kim SS, Sa TM (1995) Effect of drying condition on the colors and flavors change of fresh pepper. J Oriental Bot Res 8: 115-125. 

  13. Kang GM (2005)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chujang using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pp 25-36. 

  14. Kim YS, Kwon DJ, Oh HI, Kang TS (1994)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2-17. 

  15. Kim YS, Oh HI (1993)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94-501. 

  16. Nishiya T (1977) Composition of soju. J Soc Brew Japan 72: 415-432. 

  17. Park HK, Kim JG (2003) Character impact compounds of kochujang. Korea Soybean Digest 20: 1-11. 

  18. Schults TH, Flath RA, Mon TR, Eggling SB, Teranishi R (1977)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 Food Chem 25: 446-449. 

  19.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7-161. 

  20. Shin HY, Shin DH, Kwak YS, Choo JJ, Ryu CH (1999)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red ginseng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6-772. 

  21. Yoo SS, Ho CT (1998) Characteristic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peanut butters isolated by selective purge and trap method. Food Sci Biotechnol 7: 188-192. 

  22. Yoo SS (2007) Changes of Korean traditional yu-gwa flavor and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2: 83-90. 

  23. Yuda JI (1976)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apan J Soc Brew 71: 818-8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