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lastid DNA (psbA-trnH, trnL-F)의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ris L. based on plastid DNA (psbA-trnH, trnL-F) sequence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3, 2013년, pp.227 - 235  

이현정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  박선주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붓꽃속 16종과 1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유연관계 및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산 붓꽃속은 5개의 Clade로 나타났으며, Clade I에는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Laevigatae, Sibiricae, Clade II에는 Series Ruthenicae, Easatae, Clade III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IV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V에는 Series Crossiris, Pumilae, Pardanthopsis로 나타났다. 대청부채, 만주붓꽃, 연미붓꽃은 하나의 단계통을 형성하여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고, 금붓꽃과 노랑붓꽃은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여 두 종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연미붓꽃은 Crossiris속의 Crossiris절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노랑무늬붓꽃, 금붓꽃, 노랑붓꽃)과 각시붓꽃계열(넓은잎각시붓꽃, 각시붓꽃)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붓꽃속은 크게 4아속(Limniris, Crossiris, Iris, Pardanthopsis)으로 나눠지며, Pardanthopsis아속, Iris아속 그리고 Crossiris아속에서 Limniris아속으로 분화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axonomic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among 16 species of the korean genus Iris L. Korean Iris was grouped by five clades.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Laevigatae and Sibiricae was included to Clade I. Series Chinensis, and Easatae was co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금붓꽃과 노랑붓꽃의 경우 Lee(1996)는 형태학적으로 동일종으로 보았으며, Sim(1988)은 금붓꽃은 1개의 꽃이며, 노랑붓꽃은 항상 2개의 꽃이 핀다고 하여 각각 독립된 종으로 취급하였다. 이상과 같이 학자들 마다 분류체계 및 종의 실체에 이견이 있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분자적인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hloroplast DNA의 psbA-trnH, trnL-F지역을 이용하였으며, non-coding 지역은 coding 지역보다 빠르게 진화하며 염기치환과 같은 비율로 삽입과 결실이 축척되어 종간 또는 속간의 계통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Curtis and Clegg, 1984; Palmer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붓꽃속의 특징은 무엇인가? kaempferi 1속 1종 4변종을 처음 기재로, Nakai(1911, 1914, 1952), Mori(1921), Lee(1976, 1979), Lee(1976, 1996) 등에 의해 단순보고 되었다. Sim(1988)은 붓꽃속 특징으로 잎은 선형 또는 검형이며, 꽃은 화경 끝에 단정화 또는 총상으로 붙고, 화색은 짙은 보라, 보라, 백색, 노란색이며, 내·외화피편은 6장으로 화피편이 짧거나 길고, 부속물의 유무와 자방은 3심피 3실로 중축태좌 및 측생배주이며, 삭과는 타원형, 장타원형, 난형, 원형으로 3릉형 혹은 6릉형이며, 성숙시 포배개열을 하고, 종자는 반원형, 다면체형 등가종피의 유무로 구분 했다. 또한, 붓꽃속은 크게 4아속으로 나누었으며, 외화피편에 부속물이 없는 Limniris아속, 외화피편에 계관상 돌기가 있는 Crossiris아속, 다세포 혹은 단세포의 털이 있는 Iris아속, 외화피편에 부속물이 없고, 화경은 수회 둘로 분지하는 Pardanthopsis아속으로 분류하였으며, 아속을 다시 9개의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Sibiricae, Ruthenicae, Ensatae, Chinensis, Crossiris, Pumilae, Pardanthopsis)로 세분 하기도 하였다.
멸종위기 종으로 지정된 붓꽃속 식물은 무엇이 있는가? 서식지는 산야지의 개울가와 초지 등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1998), 잎과 꽃이 관상 가치가 높아 동서양에서 원예종으로 개발되어 절화 및 분화로 재배되고 있다(Grey-Wilson, 1981; Mathew, 1981). 2012년 5월 환경부에 의해 노랑붓꽃 (I. koreana), 대청부채(I. dichotoma), 솔붓꽃(I. ruthenica), 제비붓꽃(I. laevigata)은 멸종위기 종으로 지정되었으며, 한국 특산 식물로는 노랑붓꽃(I. koreana), 노랑무늬붓꽃(I.
한국산 붓꽃속 Clade I에 속하는 것은 무엇인가? 한국산 붓꽃속 16종과 1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유연관계 및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산 붓꽃속은 5개의 Clade로 나타났으며, Clade I에는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Laevigatae, Sibiricae, Clade II에는 Series Ruthenicae, Easatae, Clade III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IV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V에는 Series Crossiris, Pumilae, Pardanthopsis로 나타났다. 대청부채, 만주붓꽃, 연미붓꽃은 하나의 단계통을 형성하여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고, 금붓꽃과 노랑붓꽃은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여 두 종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PG II.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Botanical Journal of Linnean Society 141: 399-436. 

  2. Curtis, S. and Clegg, M. T. 1984. Molecular evolution of chloroplast DNA sequenc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1: 291-301. 

  3. Doyle, J. J. and J. A.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 Bull. 19: 11-15. 

  4. Drummond, A. J., B. Ashton, S. Buxton, M. Cheung, A. Cooper, C. Duran, M. Field, J. Heled, M. Kearse, S. Markowitz., R. Moir, S. Stones-Havas, S. Sturrock, T. Thierer, A. Wilson, 2011. Geneious v5.6, Available from http://www.geneious.com/. 

  5.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4): 783-791. 

  6. Farris, J. S. 1989. The retention index and homoplasy excess. Systematic Zoology 38(4): 406-407. 

  7. Farris, J. S., V. A. Albert, M. Kallersjo, D. Lipscomb and A. G. Kluge. 1996. Parsimony jackknifing outperforms neighborjoining. Cladistics 12: 99-124. 

  8. Grey-Wilson, C. and B. Mathew. 1981. Bulbs-Thebulbous plant of europc and their allies-iris. Pp. 153-165. 

  9. Kimura, M. 1980. A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16: 111-120. 

  10. Kim, S. C. and S. J. chum. 1998. Effect of NAA and BAP on organogenesis of callus and detection of virus in bulbous duch iris. RDA.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40: 58-63. 

  11. Kluge, A. G. and J. S. Farris. 1969. Quantitative phyletics and the evolution of anurans. Systematic Zoology 18(1): 1-32. 

  12. Koh J C, Lee J M. 2003. Effect of Colchicine on Chromosome Doubling in Iris sp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44(2): 245-250. 

  13. Lawrence, G. H. M. 1953. A reclassification of the genus Iris. Gent Hebert. 8: 346-371. 

  14. Lee, T. B. 1976. Bulletin of the Kwanak Arboretum (1). Pp. 128-129. (in Korean) 

  15. Lee, T. 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ea, Seoul. Pp. 247-248. (in Korean) 

  16. Lee, T. B. 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4: 21-32. (in Korean) 

  17. Lee, W. T. and W. H. Lee. 1964. Report on study of a new forma of Iridaceae plants. Seoul Agricultural College: 1-4. 

  18. Lee, Y. N. 1996.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Pp. 951-956. (in Korean) 

  19. Lenz, L. W. 1972. The status of Pardanthopsis (Ididaceae). Aliso. 7: 401-403. 

  20.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Vol. 1. Ed. 1. Holmiae (Stockholm). 

  21. Loockerman, D. J. and R. K. Jansen. 1996. The use of herbafium material for DNA studies. In Sampling the green world. Stussey, T. J. and S. Sohmer (de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Pp. 205-220. 

  22. Mathew, B. 1981. The Iris. Batsford, London. 

  23. Makarevitch et al. 2003.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iberian Iris Species Inferred from noncoding chloroplast and Sequ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164(2): 229-237. 

  24. Mori, T. 1921.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K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25. Nakai, T. 1911. Flora Koreana II. Journal College Science Important. University Tokyo. 31: 230-234. 

  26. Nakai, T. 1914. Report in the vegetation of Quelpart and Wanto Isiand.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Pp. 1-156. 

  27. Nakai, T. 1914. Plantae novae Coreanae et Japonicae I. Feddes Repertorium 13: 248-249. 

  28.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Pp. 31: 148. 

  29. Palibin, J. W. 1901. Conspectus florae Korea II. Acta Horti Petropolitani 19: 106-108. 

  30. Palmer, J. D., B. Osorio and W. F. Thompson. 1988. Evolution significance of inversions in legume chloroplast DNAs. Current Genetics 14: 65-74. 

  31. Page, R. D. M. 1996. Tree view an application to display phylogenetic trees on personal computers, Computer Application Biosciences 12: 357-358. 

  32. Park, S J. 2002. A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korean Iris (Iridaceae) Based on RAPD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4): 383-396. (in Korean) 

  33. Sim, J K, Park, H D, Park, S J. 2002.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ris (Iridaceae) based on nrDNA ITS sequenc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1): 33-53. 

  34. Park, C.-W. and S. P. Hong. 2007. Iris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328-1331. 

  35. Pierre, T., G. Ludovic, P. Guy, and B. Jean. 1991. Universal primers for amo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 of chloroplast DNA. Plan Molecular Biology. 17: 1105-1109. 

  36. Rodionenko, G. I. 1961. The genus Iris. Academy of Science USSR, Leningrad and Moscow. 

  37. Ronquist, F., Huelsenbeck. 2003. MrBayes3: Bayesian phylogenetic inference under mixed models. Bioinformatics 19: 1572- 1574. 

  38. Sang, T., D. J. Crawford and T. F. Stuessy. 1997. Chloroplast DNA phylogeny, reticular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Paeonia( Paeoni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4: 1120-1136. 

  39. Sim, J. K. 1988. A taxonomic study on Iridaceae in Korea. Ph. D.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in Korean) 

  40. Soltis, P. D., J. J. doyle and D. E. Soltis. 1992. Molecular data and polyploid evolution in plants. in: Molecular Systematics of plant. Soltis, P. D., J. J. doyle and D. E. Soltis. (eds.), Chapman & Hall. New York. Pp. 177-201. 

  41. Swofford, D. L. 2003. PAUP* :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s). ver. 4.0b10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42. Tavar, S. 1986. Some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problems on the analysis of DNA sequences, Lect. Mathematical Life Science 17: 57-86. 

  43. Waddick, J. W. 1992. Chinese Iris in the Wild and in the Garde.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44. Yu, Z, Y, Z. 2009. Karyotype studies on ten Iris species (Iridaceae) from Sichuan, China. Vol. 62(3): 253-260. 

  45. Zhao, Y. T. 1992. The Iris of China.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