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볏짚 시용에 따른 벼 재배 논에서의 메탄 배출계수 개발에 관한 연구
New Estimates of CH4 Emission Scaling Factors by Amount of Rice Straw Applied from Korea Paddy Field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2 no.3, 2013년, pp.179 - 184  

주옥정 (경기도농업기술원) ,  원태진 (경기도농업기술원) ,  조광래 (경기도농업기술원) ,  최병열 (경기도농업기술원) ,  서재순 (경기도농업기술원) ,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  김건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재배 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해 볏짚 시용량에 따른 메탄 배출 특성을 3년 (2010~2012년)동안 조사하여 우리나라 국가 고유의 배출계수를 개발하였다. 볏짚은 ha당 0 Mg, 3 Mg, 5 Mg, 7 Mg 4수준을 3년 (2010 ~2012)간 가을에 연용하여 추경하였다. 화학비료는 3요소 ($N-P_2O_5-K_2O$ = 90-45-57 kg/ha)를 공통으로 시용하였으며, 물관리는 수확 2주전까지 상시담수를 유지하였다. 벼 생육시기별 메탄 배출량은 이앙 후 약 30일까지 (6월 중순)는 완만히 상승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여 고온기인 이앙 후 약 90일부터 110일 (8월 중순~하순)까지는 최대에 달하였으며, 이후 기온이 감소에 따라 배출량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벼 생육기간 중 ha당 메탄 배출량은 볏짚 시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많아져 무시용구 2.05 kg/ha/day 대비 3Mg/ha, 5 Mg/ha, 7 Mg/ha 시용구에서는 46 %, 101 %, 190 % 각각 메탄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볏짚 시용량에 따른 메탄 배출량 증가로 구한 상관관계를 통해 유기물 시용에 따른 메탄배출 보정 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벼 재배 논에서 평균 10 a 당 볏짚이 500 kg 발생한다고 보고, 발생한 볏짚을 모두 논으로 환원한다면, 우리나라 벼 재배 논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은 IPCC GPG(2000)에서 제시한 보정계수로 구한 경우 보다 약 5 % 낮게 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ccurate estimates of total direct $CH_4$ emissions from croplands on a country scale are important for global budgets of anthropogenic sources of $CH_4$ emissions an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itigation strategies. Methane production resulted by the anaer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03)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유기물 시용량에 따른 메탄 배출량 산정을 위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 재배 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하여 볏짚 시용량 4 수준의 처리구별 메탄 배출 특성을 3년 (2010∼2012년)간조사하여 볏짚 시용에 따른 벼 재배 논에서의 우리나라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부문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0∼14%를 차지하며,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메탄 배출량이 전체 메탄 발생량 중 40%로 농업이 가장 큰 배출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농진청, 2010). 농경지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IPCC Guidelines (1997)의 분류체계에 의해 크게 벼재배에 의한 메탄 배출, 농경지의 아산화질소 배출, 작물잔사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로 분류되며, 각종 영농활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에 관여한다. 벼 재배 논에서의 연 메탄 배출량 산정은 배출계수 (일일배출량)에 재배기간과 수확면적을 곱해서 계산하며, 배출계수는 유기물을 시용하지 않은 상시담수 조건에서의 일일 메탄 배출량에 물관리 (작기 중, 작기 전) 보정계수, 유기물 시용 보정계수 (시용량 및 종류), 토성과 품종 등의 보정계수 곱으로 구한다 (IPCC Guidelines, 2006).
국내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하기 위해 시도한 노력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의 증가는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를 야기하는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이에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범지구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을 적극 주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써 지난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 기후회의에서 ‘2020년 전망치 대비 30% 감축’ 목표를 제시한바 있다. 이러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의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정확하게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국가 고유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등의 개발과 구축이 필요하다.
농업부문에서 차지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느정도인가?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0∼14%를 차지하며,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메탄 배출량이 전체 메탄 발생량 중 40%로 농업이 가장 큰 배출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농진청, 2010). 농경지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은 IPCC Guidelines (1997)의 분류체계에 의해 크게 벼재배에 의한 메탄 배출, 농경지의 아산화질소 배출, 작물잔사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로 분류되며, 각종 영농활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에 관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enier, H.A.C., Neue, H.U., 1995. Influene of organic matter incorporation on the methane emission from a wetland rice field,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9(1), 11-22. 

  2. Jeong, J.H., Sin, B.W., Yoo, C.H., 2001. Effect of the successiv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soil properties and rice yields, Korean J. Soil Sci. Fert. 34(2), 129-133. 

  3. Jeong, H.C., Kim, G.Y., So, K.H., Shim, K.M., Lee, S.B., Lee, D.B., 2010. Assessment on Greenhouse Gas (CH4) Emissions in Korea Cropland Sector from 1990 to 2008, Korean J. Soil Sci. Fert. 43(6), 911-916. 

  4. Kim, G.Y., Park, S.I., Song, B.H., Shin, Y.K., 200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Korean J. Envir. Agri. 21, 136-143. 

  5. Kim, H.K., Kim, B.H., Kim, S.K., Kim, H.W., Park, J.D., Choi, K.J., 2012. The evalution of methane emitted at paddy soil applied to organic matter while rice cultivated organically, Korean J. Soil Sci. Fert. fall conference. 273p. 

  6. Kwun, S.K., Shin, Y.K., Eom, K.C., 2003.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 from rice cultivation in Korea, J. Envir. Sci. and Health 38, 2549-2563. 

  7. Lim, S.S., Choi, W.J., Kim, H.Y., 2012. Fertilizer and Organic inputs effects on $CO_2$ and $CH_4$ Emission from a Soil under Changing Water Regimes, Korean J. Environ Agric. 31(2), 104-112. 

  8. Lindau,. C.W., Bollich, P.K., Delaune, R.D., Patrick, W.H., Law, V.J., 1991. Effect of urea fertiliz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H_4$ emission from a Louisiana, USA rice field, Plant and Soil 136, 195-203. 

  9. Minami, K., 1993. Methane from rice production, Res. Rep. Div. Environ. Planning 9, 243-258. 

  10. Roh, K.A., J.H. Jeong, G.Y. Kim, K.H. So, K.M. Shim, D.B. Lee and Y.H. Kim., 2010. Estimation of Carbon Sequestration and Methane Emission with Organic Amendment Application at Agricultural Soil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fall conference. 156p. 

  11. Shin, Y.K., Lee, Y.B., Suh, J.S., 1995. Influence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n the Diel Change of Methane Emission in a Korean Paddy Soil incorporated with Rice Straw, Korean J. Soil Sci. Fert. 28(3), 266-269. 

  12. Shin, Y.K., Lee, Y.S., Ahn, J.W., Koh, M.H., Eom, K.C., 2003. Seasonal Change of Rice-mediated Methane Emission from a Rice Paddy under Different Water Management and Organic Amendments, Korean J. Soil Sci. Fert. 36(1), 41-49. 

  13. Shin, Y.K., Kim, G.Y., Ahn, J.W., Koh, M.H., Eom, K.C. 2003. Effect of rice vegetation and water management on turnover of incorporated organic materials to methane in a Korean paddy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6(1), 50-56. 

  14. Yagi, K., Minami, K., 1990. Effect of organic matter application on methane Emission from some Japanese paddy fields, Soil Sci. Plant Nutr. 36, 599-6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