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C/ECD를 이용한 농산물 중 생장조정제 dichlorprop 잔류 분석법 확립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Dichlorprop Residues, a Plant Growth Regulator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GC/ECD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2 no.3, 2013년, pp.214 - 223  

이상목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김재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김태훈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이한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장문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김희정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조윤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최시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김명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김미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이규식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  이상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chlorprop(DCPP)는 phenoxyalkanoic acid계열로서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fenoprop, 2,4-D 및 daminozide의 대체 약제로 사용되어온 auxin 활성 생장조정제로 과수의 낙과 방지에 이용된다. 하지만, DCPP의 과다 사용은 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며 연화 및 저장력을 현저히 저하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제초제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산물에 과다 사용하여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장조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DCPP에 대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잔류 실태 조사 연구를 실시하고자 기존 식품공전 분석법을 개선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석법으로 재확립 하였다. 분석법 검증에 사용된 시료는 농산물의 메트릭스를 대표할 수 있는 농산물 5종(감귤, 감자, 고추, 대두 및 현미)을 사용하였다. 검체에 아세톤을 가하고 산성화시켜 추출한 후 산-염기 액-액 분배법을 이용해 추출, 정제 및 농축 과정을 거쳤다. 농축에 의해 얻어진 잔류물은 메탄올로 재용해한 후, 이중 2 mL를 취해 $BF_3$-메탄올 용액으로 메틸화한 후, 헥산 및 5% 염화나트륨을 사용해 최종 정제를 거친 용액을 헥산으로 재용해하여 GC/ECD에 주입하였다. 기기분석은 DB-17 중간 극성 칼럼과 운반 기체로 질소 가스를 사용하였고, split-less 모드 하에 $1{\mu}L$를 주입하여 승온 조건으로 ECD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GC/MS를 통해 확인시험을 수행 하였으며, 모든 검증은 CAC 가이드라인(CAC/GL 40, 1993)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그 결과, DCPP의 정량 한계는 모든 검체에서 0.05 mg/kg 수준이었고, 회수율은 감귤89.5-94.3%, 감자 79.4-87.4%, 고추 90.5-102.2%, 대두 78.8-101.1%, 현미 90.5-100.4%였으며, 변동계수는 감귤 2.5-9.5%, 감자 1.4-2.6%, 고추 2.7-3.9%, 대두 3.4-7.3%, 현 미 1.2-2.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 규정(CAC/GL 40, 1993)에 만족하는 수준으로, 새롭게 개선된 DCPP 분석법은 향후 국내 유통 농산물을 대상으로 한 생장조정제 DCPP의 잔류 실태 조사 연구에 활용될 계획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about dichlorprop (DCPP; 2-(2,4-dichlorophenoxy)propionic acid) which is a plant growth regulator, a synthetic auxin for agricultural commodities. DCPP prevents falling of fruits during their growth periods. However, the ove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장조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DCPP에 대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잔류 실태 조사 연구를 실시하고자 기존 식품공전 분석법을 개선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석법으로 재확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chlorprop의 용도는? 이러한 생장조정제 중, dichlorprop(DCPP; 2-(2,4-dichlorophenoxy)propionic acid)는 phenoxyalkanoic acid 계열로서(West et al., 1997)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fenoprop, 2,4-D 및 daminozide의 대체 약제로 사용되어 온 auxin 활성 생장조정제로 과수의 낙과 방지에 이용된다(Agusti et al., 2003).
생장조정제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생장조정제는 옥신계열의 인돌 아세트산(IAA; indole acetic acid) 개발이 시초이며, 2차 세계대전 당시 이사디(2,4-D; (2,4-dichlorophenoxy)acetic acid)가 화학물질 무기로 소개된 후, 제초제로 이용됨과 아울러 식물 내 호르몬 조절 효과가 주목되어 생장조정제의 실용화 계기가 되었다. 생장조정제의 종류로는 auxin, gibberellin, cytokinin 및 ethylene 등이 있으며 주로 식물의 생육, 착과촉진, 착색, 과실비대 무종자화, 생육억제, 숙기조절 및 열매솎기 등을 목적으로 사용된다(Park et al., 2000).
농약의 사용에 있어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농업에서의 병, 해충, 잡초 방제 및 식물 생장 조정을 위한 농약의 사용은 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식량 생산의 증대를 이루어 인류의 생활 여건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된 농약을 오남용할 경우, 환경오염의 문제 뿐 아니라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잔류하는 농산물 또는 그 가공품이 유통될 우려가 존재하고, 이를 섭취 시 인체에 위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gust'i, M., Gariglio, N., Castillo, A., Juan, M., Almela, V., Martinez-Fuentes, A., Mesejo, C., 2003. Effect of the synthetic auxin 2,4-DP on fruit development of loquat, Plant Growth Regul. 41, 129-132. 

  2. AOAC, 2000. Pesticide and industrial chemical residues, In official method of analysis, pp. 1-88, 17th ed. AOAC International, USA. 

  3. Chang, H.R., Kang, H.R., Kim, J.H., Do, J.A., Oh, J.H., Kwon, K.S., Im, M.H., Kim, K., 2012.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and identification of unregistered pesticides in domestic for orange and brown rice(I)-chlorthal-dimethyl, clomeprop, diflufenican, hexachlorobenzene, picolinafen, propyzamide-, Korean J. Environ. Agric. 31, 157-163. 

  4. Do, J.A., Lee, M.Y., Cho, Y.J., Kang, I., Kwon, K., Oh, J.H., 2013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pyrimisulfan determinatio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LC-MS/MS, Anal. Sci. Technol. 26, 154-163. 

  5. Do, J.A., Lee, M.Y., Park, H., Kwon, J.E., Jang, H., Cho, Y.J., Kang, I., Lee, S.M., Chang, M.I., Oh, J.H., Hwang, I.G., 2013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insecticide sulfoxaflor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148-155. 

  6. Inoue, K., Prayoonhan, N., Tsutsui, H., Sakamoto, T., Nishimura, M., Toyo'oka, T., 2013. Use of chiral derivatiz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dichlorprop in tea samples by ultra performance LC with fluorescence detection, J. Sep. Sci. 36, 1356-1361. 

  7. Kim, M.O., Hwang, H.S., Lim, M.S., Hong, J.E., Kim, S.S., Do, J.A., Choi, D.M., Cho, D.H., 2010.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64-675. 

  8. Lee, C.S., Kang, S.M., Hong, S.J., Choi, S.T., 2000. Effects of dichlorprop and GA3 on storability of 'Tsugaru' apple fruits, Hort. Environ. Biotechnol. 41, 56-60. 

  9. Ma, Y., Xu, C., Wen, Y., Liu, W., 2009. Enantioselective separation and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dichlorprop methyl in sediment, Chirality 21, 480-483. 

  10. Park, J.E., Lee, I.Y., Kang, C.K., 2000. Fact-finding survey on plant growth regulators use at farmer's level, Korean J. Weed Sci. 20, 309-314. 

  11. Raina, R., Etter, M.L., 2010. Liquid chromatography with post-column reagent addition of ammonia in methanol coupled negative ion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for determination of phenoxyacid herbicide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surface water, Anal. Chem. Insights 5, 1-14. 

  12. Thorstensen, C.W., Lode, O., Christiansen, A.L., 2000. Development of a solid-phase extraction method for phenoxy acids and bentazone in water and comparison to 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J. Agric. Food Chem. 48, 5829-5833. 

  13. West, A., Frost, M., Kohler, H., 1997. Comparison of HPLC and CE for the analysis of dichlorprop in a case of intoxication, Int. J. Legal Med. 110, 251-2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