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찰 정체성 접근론에 관한 논의
Discussion about the approach to Police Ident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9, 2013년, pp.121 - 129  

박한호 (원광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김성환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초록

우리나라 경찰은 근대화를 거침으로써 일제식민지 시대의 대륙법계 경찰체제를 거쳐 해방 후 미정 경찰체제를 받아들임으로써 혼재한 상황에서 전란으로 한국의 경찰 정체성을 확립하기보다 체제완성에 집중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외부 환경이 안정화를 갖춤에 따라 현대사회 경찰활동을 지향하기 위해 내부적 성찰을 통한 경찰활동의 철학 즉, 경찰 정체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찰 정체성 정립을 위한 접근은 주요 변수를 찾는 것에 치중하여 단계적 계측을 중시해 왔다. 이러한 단적인 계측 연구를 통한 경찰조직의 정체성은 복제(replication)을 수행할 수 없을뿐더러 이상적 정체성을 내재화하는 것에 한계를 가졌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찰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과 접근론의 형성을 논의하기 위해 경찰관이 정체성을 내재화하기 위한 인식으로써 어떠한 수단에 의존하는지와 의존수단에 따른 경찰활동 반영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the fact that Korean police has not focused on establishing identity but focused on establishing system due to the war under the confused situation which accepted police system of continental law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and then accepted the police system when being governed by USA.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찰 정체성의 접근론을 논의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관점으로써 경찰 정체성의 접근론을 규명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경찰 정체성을 인간이 형성하고 내재화하는 산물로서 파악하고자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경찰의 정체성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논의되고 있는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경찰 정체성을 측정하고 내재화하기 위한 경찰 정체성의 접근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이 설문과 결과는 경찰관들이 인식하고 있는 경찰 정체성을 가시화하기 위해 어떠한 기준에 의해 경찰 정체성을 외형적으로 접근하는지 의존적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이며, 비가시적인 경찰 정체성을 내재화하고 있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경찰 정체성 인식을 접근론적 측면에서 구분하고 분석함으로써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가정에는 인간의 의식, 심정, 동기 등이 비가시적인 무형의 존재이지만 실제로는 그 인간행동은 신념에 따른 것으로 다시 회귀하는 형식을 취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일부 측정가능하다는 점에서 인식조사의 방법을 통한 접근론을 논의하였다[5].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Peter Winch가 주장한 바와 같이 인간행위에 대한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인과관계를 논의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을 통하여 인간행위의 의미를 해석함에 있어 정체성이 인간의 신념, 소망, 목적과 분리될 수 없음에 따라 3가지 접근방법에 따른 정체성을 논의해 보았다[2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적 접근, 역사적 접근, 체제적 접근으로 경찰 정체성 접근수단을 구분하고 수치 확인과 통계적 차이를 규명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경찰 정체성 접근의 구분에 따라 경찰활동의 반영성을 통계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와 더불어 경찰 정체성 형성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있는가에 대하여 인식을 측정함으로써 스스로 경찰이 시민의 요구에 적합하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찰이란? 경찰은 일반통치권에 근거하여 시민에게 명령 강제함으로써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조직이다[1]. 경찰은 국가의 최 일선 행정집행자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요구에 직면해 왔다.
경찰은 활동적 측면에서 어떻게 구분되는가?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경찰은 활동적 측면에서 오늘날 중앙집권화를 기반으로 강력한 법 집행적 경찰활동, 지방분권화에 기반을 둔 지역사회 경찰활동, 시민 및 국가의 상황을 절충한 혼합적 경찰활동 등 크게 3가지 패러다임으로 구분되고 발전되어 왔다.
기존 패러다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어 발생하는 한계는? 그러나 최근 복잡다단한 치안수요의 요구와 급격한 증가는 기존 패러다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경계의 모호성은 고전적 범죄는 물론 기본적 치안 서비스의 요구에 부응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박한호, 여성경찰공무원 직무개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pp.1-3, 2013. 

  2. D. W. Perez, Paradoxes of Police Work, DELMAR CENGAGE Learning, pp.159-175, 2001. 

  3. 한상암, 박한호, 경찰 정체성확립방안, 경찰청 미래발전과, 경찰청, pp.76-77, 2011. 

  4. C. R. Swanson, L. Territo, and R. Taylor, Police Administration : Structures. Processes. and Behavior, Prentice-Hall, p.390, 2007. 

  5. 오석홍, 인사행정론 제5판, 서울: 박영사, 2005, pp.21-102 

  6. 한상암, 김명대, "경찰조직 정체성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4권, 제1호, p.182, 2012. 

  7. S. S. Souryal, Polic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pp.11-12, 1981. 

  8. E. H. Erickson, Identity: Youthandcrisis, Norton, p.211, 1968. 

  9. 송은미, 공군기술부사관 집단정체성척도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대학원, p.9, 2011. 

  10. H. J. Skolnick, Justice Without Trial. National Commission on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Violence, Ballantine Books, 1969. 

  1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제4판, 서울: 법문사, p.15, 2010. 

  12. 이황우, 비교경찰제도론, 서울: 법문사, 1997, pp.3-37. 

  13. http://www.moleg.go.kr/ 

  14. 조지형,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 랑케 & 카, 서울: 김영사, pp.34-50, 2007. 

  15. J. L. Sullivan, Introduction to Police Science, Mcgraw-Hill Book Co., pp.1-2, 1997. 

  16. 조철옥, 경찰학개론, 대영문화사, pp.51-57, 2007. 

  17. 박한호, 한상암, "경찰공무원 치안서비스제공의 일관된 행태 저해 요인에 관한 논의", 공안행정학회보, 통권47(21권2호), pp.341-365 2012. 

  18. D. K. Henderson,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in the Human Scien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14-34, 1993. 

  19. 마리아나 발메르데, 법치란 무엇인가, 행성:B온다, pp.48-50, 2011. 

  20. P. Winch, The Idea of Social Science and its Relation to Philosophy, Routledge & Kegan Paul, p.121, 1958. 

  21.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29194&q%EC%A0%95%EC%B2%B4%EC%84%B1 

  22. 이황우, 경찰학개론 제4판, 서울: 법문사, 2005, p.478 

  23. 배정훈, 동기부여론, 서울: 형설출판사, 2006, p.16 

  24. Kast. F. E.. and Rosenzweig. J. 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 Systems and Contingency Approach. 4th ed. New York: McGraw-Hill: 1985, p.286 

  25. 김태곤, "경찰문화가 여성경찰관의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pp.1-7, 2009. 

  26. 류채형, "한국 여성경찰관의 직업정체성과 직무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pp.1-4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