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Effects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chizonepeta tenuifol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9, 2013년, pp.1357 - 1362  

양한열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백상민 (통영 한려초등학교) ,  임영택 (통영 한려초등학교) ,  박선형 (통영 한려초등학교) ,  이종화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2 g을 70, 90, $110^{\circ}C$에서 30분간 원적외선 처리 후 물 100 mL와 함께 $60^{\circ}C$에서 1, 3, 5시간 추출하였다. 원적외선을 고온에서 처리함에 따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능이 증가하였다. 시료에 원적외선을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서 항산화능 및 tyrosinase 저해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고온에서 원적외선을 처리할수록 좋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tyrosinase 저해능이 $110^{\circ}C$에서 원적외선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약 2.5, 2.6, 2.3, 4.4배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이러한 형개 추출물의 생리적 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되며 형개를 건강기능식품이나 미백화장품의 소재로서 적용하고자 할 때 원적외선 처리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r-infrared (FIR)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chizonepeta (S.) tenuifolia. After FIR irradiation of S. tenuifolia for 30 min at 70, 90, or $110^{\circ}C$, water extracts (2 g/100 mL)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Lee 등(15,16)은 원적외선 처리로 인하여 왕겨와 땅콩껍질의 고분자 polyphenol들이 유리되어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원적외선 조사가 형개 추출물의 총 폐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력과 tyrosinase 저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원적외선 조사가 형개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DOPA quinone으로 만든다(29). 페놀화합물을 가지는 식물이 모두 tyrosinase 저해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30,31) 여러 페놀 화합물이 tyrosinase 저해능이 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바 있으며(32),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형개의 페놀 화합물이 tyrosinase 저해 효과가 있는 지와 원적외선 처리에 따른 활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Table 4에 나타내었다. 원적외선 처리 없이 1시간 추출 시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개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는 한해살이풀로 중국 북부지방이 원산지로서 중국의 하남, 하북, 산동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약용식물로써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형개를 감기에 의한 발열, 발진, 알레르기, 천식 등에 사용한다(1,2).
형개는 주로 중국 어디에서 재배되고 있는가?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는 한해살이풀로 중국 북부지방이 원산지로서 중국의 하남, 하북, 산동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약용식물로써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형개를 감기에 의한 발열, 발진, 알레르기, 천식 등에 사용한다(1,2).
항산화제 중 페놀계 인공 합성 물질들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어떤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는가? 최근 다양한 제품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로는 butylated hydroxyanisole(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 tertiary butyl hydroquinone(TBHQ) 등의 페놀계 인공 합성 물질이다. 그러나 이들은 독성(9,10) 및 발암성(11,12)이 지적되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안전성과 관능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식품 유래의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광범위하게 시도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Fujita S, Fujita Y. 1973. Miscellanous contributions to the essential oils of plants from various territories. XXXII. On the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s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 Yakugaku Zasshi 93: 1622-1626. 

  2. Mun JY. 2011. Distinc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itri unshiu semen, Schizonepetae spike and Prunella spike on the basis of DNA sequences. Ph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3. Qiu Q, Ling J, Ding Y, Chang H, Wang J, Liu T. 2005. Comparison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steam distillation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essential oils from Schizonepeta tenuifolia Briq. Se Pu 23: 646-650. 

  4. Kirby AJ, Schmidt RJ. 199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herbs for eczema and of placebo herbs-I. J Ethnopharmacol 56: 103-108. 

  5. Tohda C, Kakihara Y, Komatsu K, Kuraishi Y. 2000.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herbal medicines on substance P-induced itch-scratch response. Biol Pharm Bull 23:599-601. 

  6. Yoon MY, Lee HJ, Lee BB, Lee SM, Kim JY, Kim Y, Park E, Park HR. 2007. Protective effect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extracts on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leucocytes and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Food Sci Biotechnol 16: 858-862. 

  7. Halliwell B, Gutteridge JM.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Biochem J 219: 1-14. 

  8. Cross C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 Saul RL, McCord JM, Harman D.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07: 526-545. 

  9. Sun B, Fukuhara M. 1997. Effects of co-administrati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flavonoids on the activation of mutagens and drug-metabolizing enzymes in mice. Toxicology 122: 61-72. 

  10. Hirose M, Takesada Y, Tanaka H, Tamano S, Kato T, Shirai T. 1998. Carcinogenicity of antioxidants BHA, caffeic acid, sesamol, 4-methoxyphenol and catechol at low doses,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and modulation of their effects in a rat medium-term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Carcinogenesis 19: 207-212. 

  11. Namiki M. 1990. Antioxidants/antimutagens i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29: 273-300. 

  12. Pokorny J. 1991. Natural antioxidant for food use. Trends Food Sci Technol 2: 223-227. 

  13. Jayaprakasha GK, Negi PS, Sikder S, Rao LJ, Sakariah KK. 2000.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us reticulata peel extracts. Z Naturforsch C 55: 1030-1034. 

  14. Inoue S, Kabaya M. 1989. Biological activities cause by far-infrared radiation. Int J Biometeorol 33: 145-150. 

  15. Lee SC, Kim JH, Jeong SM, Kim DR, Ha JU, Nam KC, Ahn DU. 2003.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s. J Agric Food Chem 51: 4400-4403. 

  16. Lee SC, Jeong SM, Kim SY, Park HR, Nam KC, Ahn DU. 2006.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peanut hulls. Food Chem 94: 489-493. 

  17.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8.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9. Pellegrini N, Re R, Yang M, Catherine RE.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20. Vanni A, Gastaldi D, Giunata G. 1990. Kinetic investigation on the double enzymatic activity of the tyrosinase mushroom. Ann Chim 80: 35-60. 

  21. Ahn SI, Bok JH,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22. Park JH, Jin JH, Kim HJ, Park HR, Lee SC. 2005.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rice hu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1-134. 

  23. Lee SC, Kim SY, Jeong SM, Park JH. 2006.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catechin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green tea. J Agric Food Chem 54: 399-403. 

  24. Ji CK. 2004.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far-infrared. Living Books, Seoul, Korea. p 40-64. 

  25.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10-316. 

  26. Jo EK, Lee SC. 2011. Antioxidan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ubcritical water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391-1396. 

  27.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28. Jeong HR,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CH, Heo H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 culinary herb). Korean J Food Preserv 17: 720-726. 

  29. Kim YJ, Uyama H. 2005. Tyrosinase inhibitors from natural and synthetic sources: structure, inhibition mechanism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Cell Mol Life Sci 62: 1707-1723. 

  30. Chan EWC, Lim YY, Wong LF, Lianto FS, Wong SK, Lim KK, Joe CE, Lim TY. 2008.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on properties of leaves and rhizomes of ginger species. Food Chem 109: 477-483. 

  31. Wang KH, Lin RD, Hsu FL, Huang YH, Chang HC, Huang CY, Lee MH. 2006. Cosmetic applications of selected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s. J Ethnopharmacol 106:353-359. 

  32. Boissy RE, Manga P. 2004. On the etiology of contact/ occupational vitiligo. Pigment Cell Res 17: 208-214. 

  33. Hwang EY, Kim DH, Hwang JY, Kim HJ, Park TS, Lee IS, Son JH. 2012. A study on the depigmenting effect of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olia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6-81. 

  34. Hirota A, Taki S, Kawaii S, Yano M, Abe N. 2000.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compounds from soybean miso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isoflavones from soybean miso toward the cancer cell lin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1038-10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