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4 no.3, 2011년, pp.171 - 177  

황은영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김동희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김희정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황주영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박태순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이인선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손준호 (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5가지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추출은 70%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총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물의 소거활성은 a-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cdot}$),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cdot}$),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uperoxide anion 저해활성으로 측정하였다. 홍화자 추출물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뛰어난 $DPPH{\cdot}$, $ABTS{\cdot}$, FRAP,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화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그 결과 홍화자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에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natural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y compounds from 5 medicinal plants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and Paeonia lactiflora). These plants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 약용식물을 대한 항산화제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추출물의 a-a-Diphenyl-β-picrylhydrazyl(DPPH),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superoxide anion radical 저해 등 항산화 활성효과를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3)Micrommole of total Fe2 /mg of plants based on trolox as standar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산야에는 이용 가능한 약용식물 중 경북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와 특징은? 우리나라의 산야에는 이용 가능한 약용식물이 약 900여종이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중 약 50여 종이 농가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다. 그 중 경북지역 약용식물인 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5가지 한방자원이 있으며, 이들 약용식물에서 연구의 관심이 되고 있는 기능성 성분으로는 건물기준 함량의 15-45%를 점유하는 것으로 알려진 식이섬유[Lee, 1997] 와 당과 결합한 배당체의 형태로 여러 약용식물에 존재하는 flavonoid를 비롯한 polyphenol[Singleton, 1981]류들이 있으며, 항산화의 다양한 기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 약용식물을 대한 항산화제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추출물의 a-a-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uperoxide anion radical 저해 등 항산화 활성효과를 측정하였다.
활성산소와 free radical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개발된 물질은?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와 free radical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propyl gallate (PG), tertiary-butylhydroquinone (TBHQ) 등 수많은 합성항산화 물질들이 개발, 이용되어 왔는데[Davies, 1995], 그 중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BHT와 BHA는 간 비대, 간장 중 microsomal enzyme 활성 증가, 체내흡수물질의 독성 화 혹은 발암 가능성[Chance 등, 1979]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어 그 사용이 크게 제한을 받고 있어, 안전성과 기호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천연 항산화제 개발 연구가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방 약용식물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민간요법이 있어 약용자원을 이용한 식품첨가제나 기능성 제품의 개발 및 상품화가 용이하다[Lee 등, 2009].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BHT와 BHA의 사용이 크게 제한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와 free radical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propyl gallate (PG), tertiary-butylhydroquinone (TBHQ) 등 수많은 합성항산화 물질들이 개발, 이용되어 왔는데[Davies, 1995], 그 중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BHT와 BHA는 간 비대, 간장 중 microsomal enzyme 활성 증가, 체내흡수물질의 독성 화 혹은 발암 가능성[Chance 등, 1979]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어 그 사용이 크게 제한을 받고 있어, 안전성과 기호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천연 항산화제 개발 연구가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방 약용식물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민간요법이 있어 약용자원을 이용한 식품첨가제나 기능성 제품의 개발 및 상품화가 용이하다[Lee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enzie IFF and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 Cha JY, Kim SK, Kim HJ, Somg JY, and Cho YS (2000)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ek (Allium tuberusum) Seeds. Korean J Life Sci 10, 273-278. 

  3. Chance B, Sies H, and Boveris A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4. Choi JH and Oh SK (1985) Studies on the anti-aging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06-515. 

  5.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and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6. Davies KJA (1995) Oxidative stress: The paradox of aerobic life. In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Environment, Drugs and Food Additives, Rice-Evans C, Halliwell B, Lunt G (eds.). Biochemical Society Symposium no. 61, pp. 1-31. Portland Press, London, UK. 

  7. Ding AH, Nathan CF, and Stuehr DJ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of activating cytokines and evidence for independent production. J Immunol 141, 2407-2412. 

  8.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ophomd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9. Hatano T, Yasuhara T, Yoshihara R, and Okuda T (1991) Inhibitory effects of galloylated flavonoids on xanthine oxidase. Planta Medica 57, 83-86. 

  10. Hwang IW, Lee HR, Kim SK, Zheng HZ, Choi JU, Lee SH, Lee SH, and Chung SK (2008) Proanthocyanidin Content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pe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 859- 863. 

  11. Jun MS, Ha YM, Kim, HS, Jang HJ, Kim YM, and Lee YS (2011) Anti-inflammatory 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Carthamus tinstorius involves in heme oxygenase-1 induction. J Ethnophamacol 133, 524-530. 

  12. Kim HJ, Hwang EY, IM NK, Park SK, and Lee IS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s and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45-451. 

  13. Kim HJ, Jun BS, Kim SK, Cha JY, and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s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14. Kim JH, Sung NY, Kwon SK, Srinivasan P, Song BS, Choi JI, Yoon Y, Kim JK, Byun MW, Kim MR, and Lee JW (2009) Gammairradiation improves the color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xtract. J Med Food 12, 1343- 1347. 

  15. Lee ES, Ju HK, Moon TC, Lee E, Jang Y, Lee SH, Son JK, Baek SH, and Chang HW (2004)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 (TNF-a)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 (NF)-B activation in cultured murine macrophage. Biol Pharm $B{\mu}LI27$ , 617-620. 

  16. Lee KH, Kwon HJ, Chun SS, Kim JH, Cho YJ, and Cha WS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98-303. 

  17. Lee KS (1997) Content analysis, intake estim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dietary fibers in Korean food.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SE, Seong NS, and Bang JK (2003)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medicineal plants. Korean J Medicinemal Crop Sci 11, 127-134. 

  19. Lee SG, YU MH, Lee SP, and Lee IS (2008) Antios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69-275. 

  20. Lee SO, Lee HJ, Yu MH, Im HG, and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1.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78-86. 

  22. Lee YS, Choi BD, and Joo EY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6, 101-108. 

  23. Miliauskas G, Venskutonis PR, and Been TAV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24. Miller NJ, Rice-Eans C, Davies MJ, Gopinathan V, and Milner A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u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84, 407-412. 

  25. Nivea MMI, Sam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6. Parejo I, Viladomat F, Bastida J, Rosas-Romero A, Flerlage N, Burillo J, and Conida C (2002) Comparisi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 Agric Food Chem 50, 6882-6890.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8. Rice-Evans CA and Miller NJ (1994) Total antioxidant status in plasma and body fluids. In Methods Enzymol 234, pp. 279-293, Academic Press, California. 

  29. Rice-Evans CA, Miller NJ, and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 Biol Med 20, 933-956. 

  30. Sim KH and Han YS (2007) The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ed Pepper Seed and Red Pepper Pericarp (Capsicum annuum L.). J Food Sci Nutr 12, 273-278. 

  31. Singleton VL (1981) Naturally ocurring food toxicants: Phenolic substances of plant origin common in foods. Adv Fd Res 27, 149- 242. 

  32. Song JC, Park NK, Hur HS, Bang MH, and Bae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94-101. 

  33. Storch I and Ferber E (1988) Detergent 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mini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 267. 

  34. Yeo SG, Park YB, Kim IS, Kim SB, and Park YH (1995)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154-159. 

  35. Yoshizawa S, Horiuchi T, Yoshida T, and Okuda T (1987) $Antit{\m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tent of tannin in green tea. Phytother Res 1, 44-47. 

  36. Yu MH, Im HG, Lee HJ, Ji YJ, and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