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bifermentans로 발효한 율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Effe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bifermenta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9, 2013년, pp.1378 - 1386  

김배진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손우림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최미옥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조성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이진태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김학윤 (계명대학교 환경생물학과) ,  권대준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NC/Nga mice에 율피 발효물을 각각 0.1%, 1%, 5%로 도포하고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였다. 율피 발효물의 유효성분은 HPLC 분석 결과, gallic acid와 ellagic acid가 각각 10.18 mg/g, 2.14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군 간의 유의적 체중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육안 평가를 통해 홍반, 가려움과 피부건조, 부종혈종, 짓무름 그리고 태선화와 같은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한 점수 결과에서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atopic dermatitis(AD)군($13.17{\pm}0.40$)과 비교 시, 아토피 피부염 유발 후 5% 율피 발효물을 도포한 fermented Castanea crenata inner shell(FCS) 5군에서 $7.50{\pm}0.43$ 으로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빠르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 피부 측정 기기인 MPA5 580을 이용하여 피부멜라닌지수, 피부홍반지수, 피부수분지수를 측정한 결과, AD군은 각각 $296.61{\pm}8.11$, $264.33{\pm}10.15$, $3.15{\pm}0.54$를 나타내었으며 FCS 5군은 각각 $105.86{\pm}2.92$, $199.56{\pm}4.22$, $17.62{\pm}1.75$로 개선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각 실험군 mice의 면역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비장 무게(mg)를 체중(g)으로 나누어 산출한 비장 수치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유발로 인해 AD군에서 증가된 비장 수치($5.55{\pm}0.31$)가 FCS 0.1군, FCS 1군, FCS 5군에서는 각각 $4.53{\pm}0.24$, $3.80{\pm}0.40$, $3.32{\pm}0.24$로 나타나 율피 발효물의 도포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FCS 5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이는 율피 발효물이 아토피 피부염 상태에서 증가된 비장 내 T-림프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통해 피부조직에서 IL-$1{\beta}$, TNF-${\alpha}$와 같은 염증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정상군의 relative quantification값이 1일 때 AD군은 각각 1.30, 1.26으로 증가되었으며 FCS 5군에서는 1.11, 0.93으로 나타나 율피 발효물 도포에 의한 유의적인 감소(P<0.05)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학적 지표인 혈청 내 IgE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각 실험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AD군($1,628.71{\pm}202.59ng/mL$)과 비교 시, 율피 발효물을 도포한 FCS 0.1군, FCS 1군, FCS 5군에서 각각 $1,530.15{\pm}198.70ng/mL$, $1,462.15{\pm}83.79ng/mL$, $1,187.47{\pm}140.09ng/mL$로 나타나 율피 발효물 도포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율피 발효물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을 위한 기능성 천연물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opic dermatitis (AD) is a common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chronic and relapsing inflammatory dermatitis with immunological disturbances. In spite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D, it is regrettable that till date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to treat the same. Therefo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효성분 개발을 위해 2,4-dinitrochlorobenzene(DNCB)으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 NC/Nga mice에서 Lactobacillus(L.) bifermentans로 발효한 율피 발효물의 농도별 항아토피 효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토피 피부염이 심할 수록 혈청 내 IgE의 농도는 어떻게 되는가?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면역학적 이상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특히 많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서 혈청 내 immunoglobulin E(IgE) 농도가 증상이 심할수록 높게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혈청 내 IgE의 농도는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 지표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6-8). 또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는 콜라겐(collagen)이 콜라게나이즈(collagenase)에 의해 분해되어 피부장벽의 손상이 일어나는데 이는 염증유발물질의 피부 침투와 염증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게 되므로 피부장벽의 손상도 아토피 피부염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9).
피부장벽의 손상이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 지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특히 많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서 혈청 내 immunoglobulin E(IgE) 농도가 증상이 심할수록 높게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혈청 내 IgE의 농도는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 지표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6-8). 또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는 콜라겐(collagen)이 콜라게나이즈(collagenase)에 의해 분해되어 피부장벽의 손상이 일어나는데 이는 염증유발물질의 피부 침투와 염증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게 되므로 피부장벽의 손상도 아토피 피부염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9).
아토피 피부염이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주로 유아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만성적 또는 재발성 염증 피부질환으로 멜라닌(melanin) 색소의 과침착, 피부 건조증 그리고 홍반성 피부 병변으로 특징지어진다(1). 아토피 피부염이 발병하면 과민반응으로 인해 피부를 긁게 되고 이는 홍반, 짓무름, 부종과 혈종, 가려움, 그리고 태선화 등을 동반한 염증반응을 심화시킨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pergel JM, Paller AS. 2003. Atopic dermatitis and the atopic march. J Allergy Clin Immunol 112: S118-S127. 

  2. Abramovits W. 2005. Atopic dermatitis. J Am Acad Dermatol 53: S86-S93. 

  3. Yamashita H, Makino T, Mizukami H, Nose M. 2007.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chronic pruritus model induced by multiple application of 2,4,6-trinitrochlorobenzene in NC mice. Eur J Pharmacol 563: 233-239. 

  4. Leung DY, Soter NA. 2001. Cellular and immunologic mechanisms in atopic dermatitis. J Am Acad Dermatol 44:S1-S12. 

  5. McGrath JA. 2008. Filaggrin and the great epidermal barrier grief. Australas J Dermatol 49: 67-73. 

  6. Kang DG, Park CW, Lee CH. 1992. A study of peripheral blood eosinophil and serum IgE level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otis. Korean J Dermatol 30: 51-56. 

  7. Lee YH. 2007. Effect of Phellinus Liteus grown in germinated brown rice on atopic dermatitis. J Kor Soc Cosm 13:514-519. 

  8. Vercelli D. 2001. Immunoglobulin E and its regulators.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1: 61-65. 

  9. Sator PG, Schmidt JB, Honigsmann H. 2003. Comparison of epidermal hydration and skin surface lipids in healthy individuals and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m Acad Dermatol 48: 352-358. 

  10. Sidbury R, Hanifin JM. 2000. Old, new, and emerging therapies for atopic dermatitis. Dermatol Clin 18: 1-11. 

  11. Schreiber SL, Crabtree GR. 1992. The mechanism of action of cyclosporin A and FK506. Immunol Today 13: 136-142. 

  12. Joo YH, Won CH, Kim JY, Cho KH, Min KU, Kim KH. 2009. Developing an atopic dermatitis model and the effects of actinidia extract on dermatitis in NC/Nga mice. Korean J Dermatol 47: 1105-1112. 

  13. Choi MJ, Jung HK, Jeong YS, Park SC, Hong JH. 2010. Anti-allergic activities of fermented Eriobotrya japonica and Saurus chinensis extracts in 2,4-dinitrochlorobezen-induced BALB/c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11-1618. 

  14. Cho SE. 2012. A study on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leaves on NC/Nga mice as models for atopic dermatitis. J Kor Soc Cosm 18: 78-89. 

  15. Yoon WJ. 1997. The study on the humidity preserving effect with several natural packs. M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6. Yang MJ, Lim SJ, Ahn HS, Kim MA, Ahn RM. 1999. Inhibitory effects of chestnut bark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Kor J Env Hlth Soc 25: 37-43. 

  17. Hubert J, Berger M, Nepveu F, Paul F, Dayd J. 2008. Effects of fermentation o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y germ. Food Chem 109:709-721. 

  18. Han SK. 2005. Quality improvemen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pork produced by using 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34-737. 

  19. Suto H, Matsuda H, Mitsuishi K, Hira K, Uchida T, Unno T, Ogawa H, Ra C. 1999. NC/Nga mice: a mouse model for atopic dermatitis. Int Arch Allergy Immunol 120: 70-75. 

  20. Kim BA, Kim MS, Kang BM, Byeon SH, Park IH, Park JH, Jung JW, Ahn EM, Jung HA, Jang JH, Bae W, Lee HY, Choi PN, Park CI. 2008. Inhibitory studies of Hwangryunhaedok- tang on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Kor J Herbology 23: 59-65. 

  21. Yamaguchi T, Maekawa T, Nishikawa Y, Nojima H, Kaneko M, Kawakita T, Miyamoto T, Kuraishi Y. 2001. Characterization of itch-associated responses of NC mice with mite-induced chronic dermatitis. J Dermatol Sci 25: 20-28. 

  22. Leung DY, Hirsch RL, Schneider L, Moody C, Takaoka R, Li SH, Meyerson LA, Mariam SG, Goldstein G, Hanifin JM. 1990. Thymopentin therapy reduces the clinical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85: 927-933. 

  23. Kwon TK, Lim KB, Kim JC. 2011. The effect of anti-atopic cosmetic in hairless mice. Appl Chem Eng 22: 91-97. 

  24. Schmittgen TD, Livak KJ. 2008. Analyzing real-time PCR data by the comparative CT method. Nat Protoc 3: 1101-1108. 

  25. Kwon KH, Murakami A, Ohigashi H. 2004. Suppressive effects of natural and synthetic agents on dextran sulfate sodium- induced interleukin-1β release from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436-439. 

  26. Matsuo N, Yamada K, Shoji K, Mori M, Sugano M. 1997. Effect of tea polyphenols on histamine release from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the structure-inhibitory activity relationship. Allergy 52: 58-64. 

  27. Choi YH, Yan GH. 2009. Ellagic acid attenuates immunoglobulin E-mediated allergic response in mast cells. Biol Pharm Bull 32: 1118-1121. 

  28. Kim SB, Kang BH, Kwon HS, Kang JH.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y of fermented turmeric by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266-273. 

  29. Jeon BG, Park CK. 2000.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chestnut powder in the inner shell (endo carp) of a chestnut from its treatment plant-Study on the utilities of separated powder from chestunt inner shell). J Kowrec 8: 111-120. 

  30. Aeom YD, Shin MK, Lee YM, Kim HM, Shin TY, Jeong JG, Song HJ. 2000. Anaphylactic reaction inhibitory effect of Fructus Chebula. Kor J Herbology 15: 123-128. 

  31. Gonzalez-Rey E, Chorny A, Delgado M. 2007. Regulation of immune tolerance by anti-inflammatory neuropeptides. Nat Rev Immunol 7: 52-63. 

  32. Kim YB, Yoon HS, Park OS, Kim HJ, Kim KS. 2005. Effects of Chogam-Tang on rat skin induced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18: 44-54. 

  33. Renz H, Mutius E, Illi S, Wolkers F, Hirsch T, Weiland SK. 2002. T(H)1/T(H)2 immune response profiles differ between atopic children in eastern and western Germany. J Allergy Clin Immunol 109: 338-342. 

  34. Heo Y, Lee WT, Lawrence DA. 1998. Differential effects of lead and cAMP on development and activities of Th1- and Th2-lymphocytes. Toxicolo Sci 43: 172-185. 

  35. Jyonouchi H, Sun S, Tomita Y, Gross MD. 1995. Astaxanthin, a carotenoid without vitamin A activity, augments antibody responses in cultures including T-helper cell clones and suboptimal doses of antigen. J Nutr 125: 2483-2492. 

  36. He J, Wang T, Yao L, Chen A, Zhou B, Yu H, Jia R, Cheng C, Huan L, Zhang Z. 2006. Construction and delivery of gene therapy vector containing soluble TNFα receptor- IgGFc fusion gene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Cytokine 36: 296-304. 

  37. Baeuerle PA. 1991. The inducible transcription activator NF- ${\kappa}B$ : regulation by distinct protein subunits. Biochim Biophys Acta 1072: 63-80. 

  38. Spergel JM, Mizoguchi E, Oettgen H, Bhan AK, Geha RS. 1999. Roles of TH1 and TH2 cytokines in a murine model of allergic dermatitis. J Clin Invest 103: 1103-1111. 

  39. Chen L, Martinez O, Overbergh L, Mathieu C, Prabhakar BS, Chan LS. 2004. Early up-regulation of Th2 cytokines and late surge of Th1 cytokines in an atopic dermatitis model. Clin Exp Immunol 138: 375-387. 

  40. Jang SN, Kim KR, Yun MY, Kang SM. 2009. The effect of ${\gamma}$ -PGA on NC/Nga mice, a mouse model for mite antigen-induced atopic dermatiti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53-63. 

  41. Ju JH, Cho HH, Lee YS. 2010. Progress on phytochemical and atopic dermatitis-related study of the roo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Kor J Pharmacogn 41: 73-88. 

  42. Song EJ, Lee CJ, Kim KBWR, Jung JY, Kwak JH, Choi MK, Kim MJ, Ahn DH. 2010. Effect of Ecklonia cava water extracts on inhibition of IgE in food allergy mouse mod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76-17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