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모델 물질들을 이용한 천연유기물질 처리능 및 소독부산물 생성능 평가
Evalua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Treatability and Disinfection By-Products Formation Potential using Model Compound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9, 2013년, pp.1153 - 1160  

손희종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정종문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최진택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손형식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장성호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a range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types can generate high levels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after chlorination,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which specific compounds act as precursors. Use of eight model compounds allows linking of explicit properties to treatability and DB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단위공정별 실험은 응집, 이온교환, 활성탄 흡착 및생물분해 실험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 2 mg/L 이하인 처리수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위공정별 제거 실험에서 응집, 이온교환 및 활성탄 흡착 실험에 사용된 시료수의 경우 수중의 DOC 농도가 10 mg/L가 되도록 조제하였으며, 오존 및 생물분해 실험의 경우는 수중의 DOC 농도를 5 mg/L 조제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Table 1에는 본 실험에 사용된 최종처리수의 성상을 나타내었으며, Table 2에는 실험에 사용된 8 종의 모델물질들에 대한 물리․화학적인 성상을 나타 내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 중에 복잡한 형태로 존재하는 NOM들에 대해 정수처리 공정상에의 제거 특성 평가와 이들에서의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4 부류(hydrophobic- and hydrophilic-neutral 및 hydrophobic- and hydrophilic-anionic)의 8종의 모델물질들을 선정하여 응집, 이온교환, 활성탄 흡착, 오존산화 및 생물분해 실험을 수행한 후 모델물질별 각각의 제거특성을 잔존 DOC 농도로 평가하였고, 소독부산물 생성능은 HAA 생성능으로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 중에 복잡한 형태로 존재하는 NOM들에 대해 정수처리 공정상에의 제거 특성 평가와 이들에서의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4 부류(hydrophobic- and hydrophilic-neutral 및 hydrophobic- and hydrophilic-anionic)의 8종의 모델물질들을 선정하여 응집, 이온교환, 활성탄 흡착, 오존산화 및 생물분해 실험을 수행한 후 모델물질별 각각의 제거특성을 잔존 DOC 농도로 평가하였고, 소독부산물 생성능은 HAA 생성능으로 평가하였다.
  • 생물분해 실험은 2년간 실험실 규모의 정수처리용 biofilter로 운전된 anthracite 컬럼의 상층부에서 anthracite를 채집하여 초순수로 여러 번 세척한 후 pH를 7 부근 으로 조절하여 농축된 무기 영양염류를 주입(Goel 등, 1995; Son 등, 2004b)한 시료수 150 mL가 채워져 있는 300 mL 용량의 BOD병에 습중량 2 g씩 투입하여 shaking incubator에서 20℃, 100 rpm의 교반조건에서 8일간 생물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4종의 모델물질들의 제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종속영양 성 박테리아들이 부 착되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가진 anthracite를 이용 하여 접촉시간에 따른 잔존 DOC 농도변화를 살펴본 것을 Fig. 4에 나타내었다. 아미노산류인 Glu-A와 Ser 의 경우는 접촉 초기부터 빠른 생분해율을 나타내었 으며, 접촉시간 4일 이후에 Glu-A 및 Ser가 각각 최대 75%와 88%의 생분해율을 나타내었다.
  • 본 실험에 사용된 8종의 모델물질인 glutamic acid, glycine, leucine, serine, mannose, xylose, tannic acid 및 resorcinol은 순도 99% 이상의 특급시약(Sigma- aldrich, USA)을 사용하였다. 시료수는 초순수(Millipore)에 300 m 3 /일 처리용량의 오존/활성탄 공정을 갖춘 고도 정수 처리용 pilot-plant의 최종 처리수를 활성탄 흡착공정 (F-400 신탄, Calgon, USA)에서 공탑체류시간 30분의 조건에서 재처리하여 처리수의 용존 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농도가 0.2 mg/L 이하인 처리수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위공정별 제거 실험에서 응집, 이온교환 및 활성탄 흡착 실험에 사용된 시료수의 경우 수중의 DOC 농도가 10 mg/L가 되도록 조제하였으며, 오존 및 생물분해 실험의 경우는 수중의 DOC 농도를 5 mg/L 조제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 (Orica, Australia)를사용하였으며, 2 L 용량의 jar에서 24시간 동안 100 rpm으로 교반시켰다. 시료수의 pH는 7 부근으로 조절하여 실험하였으며, MIEX투입농도는 최대 100 mL/L까지 투입하여 최대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능 실험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을 3000 mg/L의 농도로 희석하여 각각의 모델 물질들이 함유된 300 mL BOD병에 20 mg․Cl/L의 농도로 주입한 후 pH를 6.8~7.2로 조절하여 20℃ 암소에서 7일간 염소와 반응시켰으며, 7일 후에 생성된 HAA 농도를 US EPA method 552.3 (2003)에 근거하여 GC/μECD (Agilent 6890N,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오존처리 실험은 시료수의 pH를 7 부근으로 조절한 후 10 L 용량의 오존 접촉조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2∼10 mg/L 농도로 오존을 투입하였으며, 오존 접촉후 Na2S2O3 (Junsei Chemical, Japan)를 사용하여 잔류오존을 제거하였다.
  • 응집 실험은 2 L 용량의 jar를 사용하는 jar-tester (phipps & bird, USA)를 사용하였으며, 응집제는 낙동강 하류에 위치한 정수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무기고분자 응집제인 PSO-M(Al2O3 7%, 서정화학)을 사용하였으며, 시료수의 pH를 7 부근으로 조절한 후 PSO-M 주입농도를 최대 100 mg/L까지 투입하여 최대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 활성탄 흡착실험은 석탄계 신탄(F-400, Calgon, USA)을 직접 분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300mL 용량의 BOD병에 pH가 7 부근으로 조절된 시료수 150 mL를 주입한 후 0.2∼25 g/L의 농도로 분말활 성탄을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shaking incubator에서 20℃, 100 rpm으로 교반시켰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8종의 모델물질인 glutamic acid, glycine, leucine, serine, mannose, xylose, tannic acid 및 resorcinol은 순도 99% 이상의 특급시약(Sigma- aldrich, USA)을 사용하였다. 시료수는 초순수(Millipore)에 300 m 3 /일 처리용량의 오존/활성탄 공정을 갖춘 고도 정수 처리용 pilot-plant의 최종 처리수를 활성탄 흡착공정 (F-400 신탄, Calgon, USA)에서 공탑체류시간 30분의 조건에서 재처리하여 처리수의 용존 유기탄소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농도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무엇인가?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중에 존재하는 NOM의 종류 및 특성, Br - 농도, pH, 반응시간, 온도 및 염소 농도 등이다(Krasner, 1999). 수중의 NOM은 다양한 유기화합물의 혼합체로 존재하며, 크기, 화학적 조성과 구조 및 관능기들과 특성들은 NOM의 유래와 오래된 정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Chin 등, 1994).
DBPs 생성능이 소수성 유기물질과 친수성 유기물질 중 어느 물질에서 높은지 의견이 상반되는 이유는? Hwang 등의 연구결과(2002)에서는 소수성 유기물 질들에 비해 친수성 유기물질들에서 높은 DBPs 생성 능을 보고하고 있으나, Liang과 Singer의 연구결과 (2003)에서는 친수성 유기물질들에 비해 소수성 유기 물질들에서 DBPs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보고된 연구결과들이 상반되는 이유는 개개별 시료수 중에 함유된 NOM의 조성이 너무 복잡하며, 각각의 NOM들이 서로 혼합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정수공정에서의 각각의 NOM 제거특성 또는 각각의 NOM의 특성에 따른 DBPs 생성 특성들을 파악하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NOM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여러 모델물질들을 이용하여 정수공정에서의 각각의 NOM 제거특성 또는 각각의 NOM의 특성에 따른 DBPs 생성 특성들에 대해 조사․연구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Kim과 Reckhow, 2008; Reckhow 등, 2004).
일반적으로 NOM에서 가장 높은 생성농도를 나타내는 DBPs 종들은? 일반적으로 소독제로는 생산단가 및 취급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려 염소를 많이 사용하지만 염소는 수중의 천연유기물질(natural organic matter, NOM) 과 반응하여 다양한 소독부산물들(disinfection by-products, DBPs)을 생성시킨다. 일반적으로 NOM에서 가장 높은 생성농도를 나타내는 DBPs 종들로는 trihalomethanes (THMs)과 haloacetic acids (HAAs) 가 있다(Kristiana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in, Yu-Ping., Aiken, George., O'Loughlin, Edward.. Molecular Weight, Polydispersity,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of Aquatic Humic Substanc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28, no.11, 1853-1858.

  2. J. AWWA 87 90 1995 

  3. Environ. Sci. Technol. 33 3325 1999 

  4. Liang, L., Singer, P. C..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and Relative Distribution of Haloacetic Acids and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37, no.13, 2920-2928.

  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 2075 2002 

  6.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6 457 2004 

  7. J. of KSWE 20 357 2004 

  8. J. Kor. Soc. Environ. Eng. 31 308 2009 

  9. Yang, X., Shang, C.. Chlorination Byproduct Formation in the Presence of Humic Acid, Model Nitrogenous Organic Compounds, Ammonia, and Bromid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38, no.19, 4995-5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