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쪽 면이 열린 동축 공동 공진기를 이용한 빗물 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the Rain Using Open-Ended Coaxial Cavity Resonator 원문보기

韓國電磁波學會論文誌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24 no.9, 2013년, pp.944 - 950  

이윤민 (건국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  김진국 (건국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  허정 (건국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한쪽 면이 열린 동축 공동 공진기를 이용하여 빗물의 양을 선형적으로 감지하는 레인 센서에 관한 연구이다. 공진기의 열린 면에 놓이는 유전체의 양과 특성에 따라 공진 주파수와 손실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공진기를 자동차 앞유리 표면에 떨어진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공진기 양 벽면에 입력과 출력 포트를 구성하고, 입출력 커플링 프로브는 'ㄱ'자 형으로 구성한다. 공진기 내부도체 반지름을 2 mm, 5 mm, 10 mm로 변화시켜 빗물의 반응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결과, 내부 도체 반지름이 5 mm일 때 공진 주파수가 비교적 선형적으로 민감하게 변화하여 빗방울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진기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공진기는 빗방울의 양이 변함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3.55 GHz부터 3 GHz까지 선형적으로 변하였고, Q값은 42.38부터 24.3까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설계한 공진기의 구조가 공진 주파수를 측정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빗물의 양을 선형적으로 감지하는 레인 센서로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study of a rain sensor using an open-ended coaxial cavity resonator which senses the amount of rain drops linearly. It shows that it will be used as a sensor to sense the amount of rain dropped on the windshield of an automobile based on the principle of varied resonant frequency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축 공동 공진기는 내부 도체 반지름, 외부 도체 내경, 그리고 공진기의 길이 변화에 따라서 공진 주파수가 달라진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설계된 공진기를 레인 센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빗물의 양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공진 주파수와 Q값이 변하는 공진기 구조를 찾기 위해서 공진기 내부 도체 반지름과 빗방울의 두께를 변화시켜 가면서 모의실험을 한후, 대표적인 공진기 크기를 정하여 이를 실제로 제작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공진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Ansoft사의 HF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레인 센서의 빗물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HP-8753ES 네트워크 분석기를 사용하여 공진기의 공진 특성을 분석하였다.
  • 또한, 유리 내부 광도파 특성을 이용하여 빗물에 의해 간섭의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하는 방식[3]은 입사광을 유리판 사이로 주입할 때 광결합기를 필요로 하며, 복잡한 광학계가 적용되고, 설치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파의 공진 특성으로 빗물의 양을 측정하는 새로운 개념의 레인 센서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쪽 면이 열린 동축 공동 공진기는 열린 면의 유전체 양에 따라 공진 주파수와 공진기 손실 및 Q값이 달라지는데, 자동차 앞유리 표면에 떨어진 빗물을 이 공진기의 유전체로 간주하여 공진기의 공진 특성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레인 센서로 활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한쪽 면이 열린 동축 공동 공진기를 이용하여 빗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인 센서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한쪽 끝이 개방된 동축 공동 공진기를 기본 센서로 하고, 그 개방된 한 쪽 끝에 유리를 올려놓고, 그 위에 빗물이 떨어지면 감지하는 구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전용량 방식 레인센서는 어떤 단점이 있는가? 기존에는 이와 같은 레인 센서에 정전용량, 광량, 광도파 특성 등의 원리를 적용하여 구현한 방식들이 사용되었다. 유리면에 떨어지는 빗방울의 양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은[1]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었으나, 센서의 출력이 빗방울 양에 비례하지 않고 오동작이 자주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광학 방식[2]은 유리와 빗물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로 빗방울의 양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설계가 간단하나 주변광의 영향으로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레인 센서 중 광학 방식은 어떤 방식인가? 유리면에 떨어지는 빗방울의 양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은[1]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었으나, 센서의 출력이 빗방울 양에 비례하지 않고 오동작이 자주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광학 방식[2]은 유리와 빗물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의 변화로 빗방울의 양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설계가 간단하나 주변광의 영향으로 정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리 내부 광도파 특성을 이용하여 빗물에 의해 간섭의 정도를 측정하여 감지하는 방식[3]은 입사 광을 유리판 사이로 주입할 때 광결합기를 필요로 하며, 복잡한 광학계가 적용되고, 설치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레인 센서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는가? 본 논문은 한쪽 면이 열린 동축 공동 공진기를 이용하여 빗물의 양을 선형적으로 감지하는 레인 센서에 관한 연구이다. 공진기의 열린 면에 놓이는 유전체의 양과 특성에 따라 공진 주파수와 손실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공진기를 자동차 앞유리 표면에 떨어진 빗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공진기 양 벽면에 입력과 출력 포트를 구성하고, 입출력 커플링 프로브는 'ㄱ'자 형으로 구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Y. Netzer "Sealed capacitive rain sensor" United States Patent, US2008/0265913 A1, Oct. 2008. 

  2. N. Bendicks, "Moisture sensor" United States Patent, 5323637, Jun. 1994. 

  3. G. Muller, "Windshield wiper system with rain detector" United States Patent, 5015931, May 1991. 

  4. D. K. Cheng, Field and Wave Electromagnetics, Addison Wesley, 1961. 

  5. 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John Wiley and Sons, 3rd Edition, New York,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