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ISM,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으로 작성한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비교
Comparison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Representing 1km Spatial Resolution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PRISM, IDW, and Cokriging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3, 2013년, pp.147 - 163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  김만규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3 가지 보간 방법으로 생산한 남한 강수 자료에서 강수 분포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보간된 강수 자료를 생태환경모델링, 수문모델링, 기후변화 영향평가 등의 연구에서 이용할 때 보간 방법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연구에는 기후변화정보센터에서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으로 작성한 강수 자료와 본 연구에서 공동크리깅역거리가중법으로 작성한 강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보간된 강수 자료의 공간해상도는 1km이다. 보간 방법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강수량의 차이는 대체로 산지 유역의 자료에서 크다. 특히 군사분계선 주변과 소백산, 월악산, 덕유산, 지리산, 태백산지의 강수 자료에서 보간 방법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월강수량의 차이는 약 10~20%, 또는 그 이상이었다. 이는 이 지역의 연구에 보간된 강수 자료를 이용할 때 연구에 채택한 보간 방법에 따라 최종 결과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ecipitation distributions in precipitation data sets over South Korea produced by three interpolation methods. The differences of precipitation caused by interpolation methods is an important information when the interpolated precipitation data sets were us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RISM은 특정 지점의 값을 결정할 때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PRISM은 공동크리깅을 사용하여도 강수의 우산효과(rain shadow effect)와 같은 사면방향에 따른 강수 분포의 특성을 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해양의 영향 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한하여 제안된 방법이다. 이 방법은 특정 지점의 값을 결정할 때 주변 관측소와의 거리, 지형고도, 해양도, 사면방향 등의 유사성을 토대로 기지점의 값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Daly et al.
본 연구에서 역거리가중법을 채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역거리가중법, 공동크리깅, 그리고 PRISM으로 작성한 강수 분포를 비교하였다. 역거리가중법은 사용이 쉽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강수 보간에 실무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연구에 채택하였다. 공동크리깅은 지형고도를 고려하여 강수를 보간할 수 있는 방법으로 Park and Jang(2008), Park and Kim(2009)등의 연구에서 좋은 보간 결과를 보였기에 연구에 채택하였다.
베리오그램 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공동크리깅은 크리깅의 종류와 베리오그램 인자에 의해 보간 값이 결정된다. 베리오그램 인자들로는 모델, 상관거리, 너깃 그리고 문턱값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D.H., I.W. Jung and D.P. Lettenmaier. 2011. Hydrologic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from IPCC AR4 GCM simulations of the Chungju Basin, Korea. Journal of Hydrology 401:90-105. 

  2. Briggs, P. and J. Cogley. 1996. Topographic bias in mesoscale precipitation networks. Journal of Climatology 9:205-218. 

  3. Chang, H. and I.W. Jung. 2010.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runoff caused by climate change in a complex large river basin in Oregon. Journal of Hydrology 388:186-207. 

  4. Cho, H.L. and J.C. Jeong. 2006.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4(1):29-41 (조홍래, 정종철. 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14(1):29-41). 

  5. Cho, N.H., J.C. Park and M.K. Kim. 2010. The application of distributed synthetic environment data to a military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19(4):235-247 (조내현, 김만규, 박종철. 2010. 분포형 합성환경자료의 군사시뮬레이션 적용.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19(4):235-247). 

  6. Choe, J.G. 2007. Geostatistics. Sigma Press. pp. 186-187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186-187쪽). 

  7. Daly, C., R.P. Neilson and D.L. Phillips.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2):140-158. 

  8. Daly, C., W.P. Gibson, G.H. Taylor, G.L. Johnson and P. Pasteris. 2002. A knowledge-based approach to the statistical mapping of climate. Climate Research 22:99-113. 

  9. De Knegt, H.J., F. van Langevelde, M.B. Coughenour, A.K. Skidmore, W.F. de Boer, I.M.A. Heitknig, N.M. Knox, R. Slotow, C. van der Waal and H.H.T. Prins. 2010. Spatial autocorrelation and the scaling of species-environment relationships. Ecology 91:2455-2465. 

  10. Deutsch, C.V. and A.J. Journel. 1992. GSLIB: Geostatistical Software LIBrary and Us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1. Duan, Q., S. Sorooshian and V.K. Gupta.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 Research 28(4): 1015-1031. 

  12. Goovaerts, P. 2000. Geostatistical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elevation into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228:113-129. 

  13. Gupta, H.V., H. Kling, K.K. Yilmaz and G.F. Martinez. 2009. Decomposition of the mean squared error and NSE performance criteria: implications for improving hydrological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377(1-2):80-91. 

  14. Hattermann, F.F., M. Wattenbach, V. Krysanova and F. Wechsung. 2005. Runoff simulations on the macroscale with the ecohydrological model SWIM in the Elbe catchment valid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Hydrological Processes 19(3):693-714. 

  15. Hevesi, J., J. Istok and A. Flint. 1992. Precipitation estimation in mountainous terrain using multivariate geostatistics, part I: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1:661-676. 

  16. Kim, G.B., Y.C. Son, J.W. Kim and J.Y Lee. 2005. Development of algorithms for the construction of hydrogeologic thematic maps using Avenue(TM) language in ArcView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3):107-120 (김규범, 손영철, 김종욱, 이장룡. 2005. ArcView GIS의 Avenue(TM) Language 를 활용한 수문지질도 작성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3):107-120). 

  17. Kim, H.Y. 2010a. A geostatistical approach for improved prediction of traffic volume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 138-147 (김호용. 2010a.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교통량 예측의 정확성 향상.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38-147). 

  18. Kim, H.Y. 2010b.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146-156 (김호용. 2010b.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시설 입지 정확성 향상 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46-156). 

  19. Kim, M.K., M.S. Han, D.H. Jang, S.G. Baek, W.S. Lee, Y.H. Kim and S. Kim.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ation grid data of 1km resolu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1):55-68 (김맹기, 한명수, 장동호, 백승균, 이우섭, 김연희, 김성. 2012. 1km 해상도의 관측 격자자료 생산 기술. 기후연구 7(1):55-68). 

  20. Kling, H., M. Fuchs and M. Paulin. 2012. Runoff conditions in the upper Danube basin under an ensemble of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424-425:264-277. 

  21. Krige, D.G. 1951. A statistical approach to some mine valuations and allied problems at the Witwatersran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itwatersrand, 272pp. 

  22. Lee, E.K. 2003. A space model to annual rainfall in South Korea. Th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10(2):445-456. 

  23. Lee, H.S. 2010.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29-41 (이형석. 2010.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29-41). 

  24. Lee, J.B. and H.R. Lee. 2005. Classified fishery grade using analysis of coastal environmental based on object-oriented data model.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1):40 -48 (이재봉, 이홍로. 2005.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에 기반한 해양환경 분석에 따른 어장 등급 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40 -48.) 

  25. Lee, S.H. 2008. Development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system using clustering and geostatistics approach.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64-75 (이상훈. 2008. 클러스터링과 지구통계학 기법을 이용한 지하공간정보 모델 생성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64-75). 

  26. Lyche, T. and L.L. Schumaker. 1972. On the convergence of cubic interpolating spline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Center for Numerical Analysis 61:1-31. 

  27. Mayers, D.E. 1982. Matrix formulation of co-kriging. Mathematical Geology 14(3): 249-257. 

  28. Merritt, W.S., Y. Alila, M. Barton, B. Taylor, S. Cohen and D. Neilsen. 2006. Hydrologic response to scenarios of climate change in sub watersheds of the Okanagan basin, British Columbia. Journal of Hydrology 326(1/4):79-108. 

  29. Moran, P.A.P. 1950. Notes on continuous stochastic phenomena. Biometrika 37(1): 17-23. 

  30. Park, H.J., H.S. Shin, Y.H. Roh, K.M. Kim and K.H. Park. 2012.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16-33 (박현주, 신휴석, 노영희, 김경민, 박기호. 2012.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6-33). 

  31. Park, J.C. 2009. Prediction of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 on water balance in the catchment of Guryang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3):113 -126 (박종철. 2009. 환경변화가 구량천 유역의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예측. 한국지형학회지 16(3):113-126). 

  32. Park, J.C., I.W. Jung, H.J. Chang and M.K. Kim. 2012. Optimization of PRISM parameter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36-51 (박종철, 정일원, 장희준, 김만규. 2012.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 모형 최적화.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36-51). 

  33. Park, J.C. and M.K. Kim. 2009. A study on the use of a terrain aspect variable in producing the precipitation distribution map applying cokriging: a case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3):59 -66 (박종철, 김만규. 2009. 공동 크리깅을 이용한 강수 분포도 작성에서 지형 사면방향 변수 사용에 대한 연구: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6(3):59-66). 

  34. Park, N.W. and D.H. Jang.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6): 1002-1015 (박노욱, 장동호. 2008. 수치 표고모델과 다변량 크리깅을 이용한 기온 및 강수 분포도 작성. 대한지리학회지 43(6): 1002-1015). 

  35. Remy, N., A. Boucher and J. Wu. 2009. Applied Geostatistics with SGeMS: A User's Guide. Cambridge, pp.73-74. 

  36. Shepard, D. 1968. A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function for irregularlyspaced data. Proceedings of the 1968 23rd ACM National Conference. New York, NY, USA. pp.517-524. 

  37. Thiessen, A.H. 1911. Precipitation averages for large area. Monthly Weather Review 39:1082-10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