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신건강의학과 안정병동 내 병원학교교실 참여자의 학교복귀율과 만족도
Successful Schooling Rate and Satisfaction of the Inpatient Hospital School Participants among th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in the Closed Ward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4 no.3, 2013년, pp.141 - 150  

이미경 (울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방수영 (을지대학교 강남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준호 (울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장호 (울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현경 (부산가톨릭의료원 부산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identify the utilization of hospital school service during hospitalization among patients in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with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who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중 병원학교를 이용한 환자의 학교 복귀율을 파악하고,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설문을 통해 병동 내 병원학교의 이용을 보고한 첫 연구이다. 2009년 3월 1일부터 2012년 10월 31일까지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 환아는 122명으로 그 중 63명이 입원 중 병원학교를 이용하였다.
  • 각기 다른 학년의 학생들이더라도 동일한 시간에 출석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받도록 하였으며 교사에게 교과 내용을 질의하거나 교육 방송 등 다양한 영상 자료를 이용해 학습에 도움을 받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 병원학교의 제2교실로서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정병동 내에서 운영된 병원학교교실의 경험을 분석하고, 효용성을 평가하여 한계점 및 대안을 모색 하여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5) 독일에서도 장애를 가진 학생이 비장애 학생과 동일한 의무교육법(Schulpflichtgesetz)의 적용하에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16개 주(州)에 총 145개의 병원학교가 설립되어 있으며 이 중 신경정신과적 질환을 가진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해 26개의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16) 건강장애 학생의 학업 평가 및 학력의 인정은 각 주(州)의 규정에 의해 실시되는데 이때 획득한 학력은 학교 진급 및 졸업자격 증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16,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 환자들의 경우 학업을 포기하지만, 협력이 원활하지 않은 이유는? 우리 나라의 경우 만성질환으로 인한 휴학 또는 중퇴 아동이 연 8,000여 명에 이르는 실정으로 이들은 대부분 장기 입원 및 통원치료로 인해 학업을 포기한 상태로 지낸다.1,2) 하지만 대부분의 치료자가 질병의 치료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교육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기 어려운 면이 있고,3) 의료인과 학교 관계자들과의 영역이 달라 협력 또한 원활하지 않다.
학교 교육이 질병이나 기타의 이유로 단절되면 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학령기 학생에 있어서 학교는 학업 성취뿐 아니라, 대인관계, 사회성 등의 발달에 주요한 장소임은 물론, 또래와 만날수 있는 필수적인 장이다. 학교 교육이 질병이나 기타의 이유로 단절이 된다면 학생은 학업 성취뿐 아니라 대인관계, 또래 문화의 습득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후 삶의 과정에 있어서 적절한 발달과업을 이룩하지 못하여 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의 발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취약한 학생에 있어서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학령기 학생에게 학교는 어떤 장소인가? 학령기 학생에 있어서 학교는 학업 성취뿐 아니라, 대인관계, 사회성 등의 발달에 주요한 장소임은 물론, 또래와 만날수 있는 필수적인 장이다. 학교 교육이 질병이나 기타의 이유로 단절이 된다면 학생은 학업 성취뿐 아니라 대인관계, 또래 문화의 습득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General Education & Welfare pla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4. 

  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3. Available from URL:http://library.mest.go.kr/edu/components/searchir/detail/detail.aspx?cid14400. 

  3. Breitweiser SS, Lubker BB. Hospital schools: a primer on management model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Care Manage Rev 1991; 16:27-36. 

  4.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management plan. Seoul: Ministry of Education;2013. Available from URL:http://www.mest.go.kr/web/1110/ko/board/view.do?bbsId149&boardSeq42233&m odeview. 

  5. Katz ER, Varni JW, Rubenstein CL, Blew A, Hubert N. Teacher, parent, and child evaluative ratings of a school reintegr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cancer. Child Health Care 1992;21:69-75. 

  6. Katz ER, Rubinstein CL, Hubert NC, Blew A. School and Social Reintegration of Children with Cancer. J Psychosoc Oncol 1989;6:123- 140. 

  7. Lee YZ. The Effects of School Re-entry Support Program in the Hospital School on the Self Perception of Children with Cancer. Disabil Soc Welf 2008;1:111-138. 

  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Special education annual report;2012. p.39-41. 

  9. Im JS. Reorganization Plan of National Mental Hospitals.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Available from URL:http://research.hp.go.kr/hpResearch/ rsrptTma.dia?MethoddetailView&RSR_IDX835&mnid021202 000000&searchCount0&searchLine&page2&outLine10 

  1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1994. 

  11. The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2008 Hospital schools services annual report. The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2008. 

  12. Cho MJ.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13. Mukherjee S, Lightfoot J, Sloper P. Communicating about pupils in mainstream school with special health needs: the NHS perspective. Child Care Health Dev 2002;28:21-27. 

  14. Mukherjee S, Lightfoot J, Sloper P. The inclusion of pupils with a chronic health condition in mainstream school: what does it mean for teachers? Educa Res 2000;42:59-72. 

  15. Thies KM. Ident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ronic illness in school children. J Sch Health 1999;69:392-397. 

  16. Kim KH. A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hospital schoo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Germany. J Spec Educ 2005;12: 27-47. 

  17. Kim KH.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hospital schoo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Korea and Germany. J Spec Educ 2007;9:25-54. 

  18. Kim EJ. Validation study of the hospital school management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Seoul: Ewha Womans Univ.;2008. 

  19. Wheatley GD. THE WINSTON CHURCHILL MEMORIAL TRUST. CHURCHILL FELLOWSHIP 2005: Investigation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s for student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relevant service models existing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Western Australia;2005. Available from URL:http://churchilltrust.com.au/fellows/detail/2919/grant+wheatley 

  20. National Medical Center. Development of an operation model for Children's Hosptal.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21.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Seoul: Ministry of Education;2013. 

  2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Enforcement decree of the school health ac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2008 

  23.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mprovement act. Seoul: Ministry of Education;1994. 

  24. Perrin EC, Newacheck P, Pless IB, Drotar D, Gortmaker SL, Leventhal J, et al. Issues involved i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Pediatrics 1993;91:787-793. 

  25. Thies KM, McAllister JW. The health and education leadership project: a school initiativ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health conditions. J Sch Health 2001;71:167-172. 

  26. Lightfoot J, Mukherjee S, Sloper P. Supporting pupils with special health needs in mainstream schools: policy and practice. Child Soc 2001;15:57-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