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량변화에 따른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수리학적 이동효율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Passage Efficiency of Ice-Harbor Type Fishway for Flowrate Change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5, 2013년, pp.1841 - 1850  

조재안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한은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영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  백경오 (국립한경대학교 토목안전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대강에 설치된 16개의 다기능보에는 횡단구조물의 건설로 인한 생태계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어도가 설치되어 있다. 달성보에 설치된 아이스 하버식 인공형 어도는 상류측에 가동보를 설치하여 하천유량에 상관없이 어도 내로 일정한 양을 통수시킬 수 있다. 어도의 유입유량은 내부의 수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어류의 이동효율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어도의 이동효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최적 유입유량 등의 다기능보 운영조건을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달성보의 아이스하버식 인공형 어도를 대상으로 FLOW-3D 모형을 이용하여 유량에 따른 수리특성과 이동효율을 분석하였고, 이동효율을 고려한 최적의 어도 가동보 유량 조건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rious types of fishways are installed at the multi-functional weirs in the four major rivers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verse structures. The movable weir was installed at the upstream of the ice-harbor type artificial fishway of the Dalseong weir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달성보 내 아이스하버식 인공형 어도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제원과 규격의 3차원 격자를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량조건에 따른 어도 내 흐름특성을 모의하였다. 또한 유량변화에 따른 어도 내 순환류 세기를 분석하여 어류가 상류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유입유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달성보의 아이스하버식 인공형어도의 유량변화에 따른 어도 내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월류부와 잠공부에서의 평균 및 최대유속과 비월류부에서의 순환류의 세기, 어도 내 흐름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어류가 상류로 소상함에 있어 적합한 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달성보 내 아이스하버식 인공형 어도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제원과 규격의 3차원 격자를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량조건에 따른 어도 내 흐름특성을 모의하였다. 또한 유량변화에 따른 어도 내 순환류 세기를 분석하여 어류가 상류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유입유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치된 달성보 인공형 어도를 대상으로 3차원모형인 FLOW-3D모형을 이용하여 어도입구의 가동보 운영에 의한 유입유량의 차이에 따른 어도 내 흐름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유량조건에 따른 어도 내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실제 설치된 어도와 같은 제원으로 3D Solid를 구축 후 수치모의를 통하여 수리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6개의 다기능보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최근 건설된 16개의 다기능보는 댐이나 취수보, 낙차공과 같은 하천의 횡단 구조물로서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이동통로를 차단시킴으로써 구조물 상류의 어류 개체수가 감소하는 등의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Baek, 2012). 이와 같은 하천 횡단구조물들은 치수와 이수의 목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점이 있으나 구조물 상하류 간의 하천 생태계를 단절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어도를 설치한다(Lim, 2009).
하폭이 넓은 하천에 건설되는 횡단구조물은 무엇이 중요한가? 하폭이 넓은 하천에 건설되는 횡단구조물의 경우 소상하려는 어류가 어도의 입구로 잘 유인되는 것이 중요하다(Baek, 2012). 또한 어류의 소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정유속, 흐름구조, 도약수심 등의 어도 내 수리특성을 갖추어야 하며, 적절한 어도의 형식으로 인해 와류 등을 발생시키지 말아야 한다.
소상하려는 어류에게 도움을 주려면 횡단구조물은 어떠해야 하는가? 하폭이 넓은 하천에 건설되는 횡단구조물의 경우 소상하려는 어류가 어도의 입구로 잘 유인되는 것이 중요하다(Baek, 2012). 또한 어류의 소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정유속, 흐름구조, 도약수심 등의 어도 내 수리특성을 갖추어야 하며, 적절한 어도의 형식으로 인해 와류 등을 발생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 기 설치된 어도의 경우 다양한 어류가 소상하기 어렵게 설계된 경우가 다수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M. W. (2008).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 friendly fish raceway for eco-restoration of streams, Doctoral Dissertations, Konkuk University (in Korean). 

  2. Ahn, S. S., Lee, S. I. and Lee, Z. S. (2012).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ice-harbor fishway."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ENSS, Vol. 21, No. 11, pp. 1395-1406 (in Korean). 

  3. Baek, K. O. (2012). "Best position of fishway based on hydraulic analysis."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2, pp. 42-47 (in Korean). 

  4. Baek, K. O. and Ahn, S. S. (2008). "Flow analysis for effective design of fishway at wangsuk stream." Proc.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p. 2100-2104 (in Korean). 

  5. Cea, L., Pena, L., Puertas, J., Vazquez-Cendon, M. E. and Pens, E. (2007). "Application of several depth-averaged turbulence models to simulate flow in vertical slot fishways." J. of Hydraulic, ASCE, pp. 160-172. 

  6. Choi, S. H., Kim, S. J., Lim, Y. S. and Yoon, B. M. (2009). "Flow analysis in the baffled fishway using FLOW-3D." Proc.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p. 1837-1840 (in Korean). 

  7. Choi. Y. H. (2011). Optimal fishway design for seungchon small dam,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in Korean). 

  8. Hayashida, K., Honda, T., Kataba, Y. and Shimatani, Y. (2000). "The characteristic of the plunging flow and the streaming flow in the pool-weir-fishway and the swimming behavior of leuciscus hako-nensis." Proc. of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Vol. 28, pp. 333-338 (in Japanese). 

  9. Heimerl, S., Hangmeyer, M. and Echteler, C. (2008). "Numerical flow simulation of pool-type fishways: New Ways with Well- Known Tools." J. of Hydrobiologia, Vol. 609, pp. 189-196. 

  10. Jo, E. H., Yeo, D. Y., Kim, G. H. and Kim, H. J. (2011). "Prediction of water quality variation according to weir construction using EFDC Model ; Focused on Dalsung Weir." Proc.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p. 186-190 (in Korean). 

  11. Kim, J. H. (2001).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weir type in a pool-weir fishway." J. of Ecological Eng, Vol. 16, No. 3. pp. 425-433 (in Korean). 

  12. Kim, J. H. and Kim. C. (1994).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upstream migration of fish in a pool-and-weir fishway."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27, No. 2, pp. 63-72 (in Korean). 

  13. Kim, S. J., An, M. W., Choi, Y. K. and Kyoung, M. S. (2006). "Examination of modified larinier pass fishway in korea." Proc.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p. 452-456 (in Korean). 

  14. Kim, S. J., Yu, K. K., Yoon, B. M. and Lim, Y. S. (2012). "A numeric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ice harbortype fishway." J.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16, No. 2, pp. 265-272 (in Korean). 

  15. K-water (199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intenance flow discharge determination method, K-water Investigation Plan Place IDP-95-2 Research Report, pp. 127-434 (in Korean). 

  16. Lee, J. S. (2011). "An analysis on hydraulic properties by fishway type for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urban streams."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12, No. 3, pp. 214-222 (in Korean). 

  17. Lim, Y. S. (2009). An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c characteristics and fish swimming performance associated with distance between baffles in the ice-harbor fishway, Master Thesis, Myungji University (in Korean). 

  18. Liu, M. and Rajaratnam, N. (2006). "Mean flow and turbulence structure in vertical slot fishways." J.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2, No. 8, pp. 765-777. 

  19.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Four river restoration master plan, MLTM, p. 284; p. 308; p. 328; p. 348 (in Korean). 

  20.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Nakdong river basin master plan (change), Technical Report, pp. 497-49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