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지역 고온현상이 사과나무 생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대구광역시 '후지'/M.9을 사례로
Impacts of Urban High Temperature Events on Physiology of Apple Trees: A Case Study of 'Fuji'/M.9 Apple Trees in Daegu,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5 no.3, 2013년, pp.130 - 144  

사공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권헌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박무용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송양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류수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김목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최경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윤태명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도심지역의 고온이 사과나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도심지역인 대구와 전원지역인 군위에 재식된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과실품질을 2년(2009-2010년) 동안 조사하였다. 사과 생육기(4-10월) 동안 대구의 평균기온은 군위보다 $3.0^{\circ}C$ 정도 높았고, 사과 생육기 동안의 총 강수량은 대구가 군위보다 100mm 정도 많았다. 과실 비대기(6-8월) 동안 대구는 일 평균기온이 $30^{\circ}C$를 넘은 날이 2010년은 10일 정도 있었으나 2009년에는 하루도 없었다. 대구의 과실 성숙기(9-10월) 동안 평균기온은 $19.8^{\circ}C$로 군위보다 $4.0^{\circ}C$ 정도 더 높았다. 과실 비대기의 $30^{\circ}C$ 이상의 고온은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속도, 신초생장,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감소시켰다. 과실 성숙기의 $20^{\circ}C$ 정도의 온난한 기온은 광합성속도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착색을 감소시켰다. 지역별 비교에 있어서, 장마 전에는 대구의 광합성속도가 군위보다 낮았으나, 장마 이후로는 대구가 군위보다 높았다. 대구의 과중은 군위보다 컸으나, 대구의 일 최고기온이 $35^{\circ}C$를 넘은 날이 많아질수록 대구와 군위의 과중 차이는 없어졌다. 대구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군위보다 높았으나 착색은 반대로 군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도시화에 의해 '후지'/M.9 사과나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착색불량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of urban area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apple tree including the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planted at Daegu urban area (DUA) and Gunwi rural area (GRA) for 2 years (2009-2010). Dur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기공전도도가 높을수록 광합성속도와 증산속도는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Tromp, 2005), 본 시험에서는 시기별로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지역별 광합성속도 역시 장마 전에는 대구가 군위보다 낮았지만 장마기 이후로는 반대로 대구가 군위보다 높은 경향이었다(Table 3).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30℃이상의 고온에서 광합성능력의 변화 양상 및 지역별 광합성능력의 차이가 장마 전후로 변하는 이유를 구명하고자, 지역별 평균 광량의 차이가 심하지 않았던 2009년의 6월과 8월, 2010년의 5월과 7월 광합성능력 일변화를 지역별로 비교해보았다.
  • 본 시험은 도심지역의 고온이 사과나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도심지역인 대구와 전원지역인 군위에 재식된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과실품질을 2년(2009-2010년) 동안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는 어떤 기후에 적합한가? 사과는 4월부터 10월까지의 평균기온이 15-22oC인비교적 한랭한 기후에 적합하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과 주산지의 연평균기온은 13.5-18.
사과나무는 같은 품종이라도 적산 온도가 높을수록 어떤 변화가 있는가? , 2004). 사과나무는 같은 품종이라도 적산 온도가 높을수록 과실의 비대 및 신초생장이 증가한다(Johnson and Lakso, 1985; Ortega-Farias et al., 2002).
도심지역인 대구와 전원지역인 군위에 재식된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과실품질을 2년(2009-2010년) 동안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과실품질을 2년(2009-2010년) 동안 조사하였다. 사과 생육기(4-10월) 동안 대구의 평균기온은 군위보다 3.0oC 정도 높았고, 사과 생육기 동안의 총 강수량은 대구가 군위보다 100mm 정도 많았다. 과실 비대기(6-8월) 동안 대구는 일 평균기온이 30oC를 넘은 날이 2010년은 10일 정도 있었으나 2009년에는 하루도 없었다. 대구의 과실 성숙기(9-10월) 동안 평균기온은 19.8oC로 군위보다 4.0oC 정도더 높았다. 과실 비대기의 30oC 이상의 고온은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속도, 신초생장,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감소시켰다. 과실 성숙기의 20oC정도의 온난한 기온은 광합성속도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착색을 감소시켰다. 지역별 비교에 있어서, 장마 전에는 대구의 광합성속도가 군위보다 낮았으나, 장마 이후로는 대구가 군위보다 높았다. 대구의 과중은 군위보다 컸으나, 대구의 일 최고기온이 35oC를 넘은 날이 많아질수록 대구와 군위의 과중 차이는 없어졌다. 대구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군위보다 높았으나 착색은 반대로 군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도시화에 의해 ‘후지’/M.9 사과나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착색불량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yun, J. Y., S. S. Lee, K. S. Choi, and S. M. Kang, 2006: Plant Physiology (2nd Ed.). Byun, J. Y. (Eds.) Hyangmoonsha Press. Seoul, 52-64. (In Korean) 

  2. Calderon-Zavala, G., N. Lakso, and R. M. Piccioni, 2004: Temperature effects on fruit and shoot growth in the apple (Malus domestica) early in the season. Acta Horticulturae 636, 447-453. 

  3. Chae, J. C., S. J. Park, B. H. Kang, and S. H. Kim, 2006: Principles of Crop Cultivation (3rd ed.). Chae, J. C. (Ed.). Hyangmoonsha Press, Seoul, 205-207. (In Korean) 

  4. Cho, M. S., K. W. Kwon, G. N. Kim, and S. Y. Woo, 2008: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performances of the five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th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49-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ung, U., K. J. Lee, and B. W. Lee, 2007: Preliminary report of observed urban-rural gradi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cross Seoul, Suwon, and Iche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4), 268-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orelli Grappadelli, L., 2003: Light relation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D. C. Ferree and I. J. Warrington (Ed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195-216. 

  7. Ha, K. J., E. H. Ha, C. S. Yoo, and E. H. Jeon, 2004: Temperature trends and extreme climate since 1909 at big four citi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0(1),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wang, Y. S., I. Kim, and J. C. Lee, 1998: Influence of harvest date and postharvest treatments on fruit quality during storage and simulated marketing in 'Fuji' apple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39(5), 574-5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eo, I. H., and S. H. Lee, 2006: Changes of unusual temperature events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1(1), 94-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IPCC, 2007: Special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D-Rom. 

  11. Johnson, R. S., and A. N. Lakso, 1985: Relationships between stem length, leaf area, stem weight, and accumulated growing degree-days in apple shoo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10(4), 586-590. 

  12. Kim, D. A., S. W. Lee, and J. T. Lee, 1998: Ecology of marssonina blotch caused by Diplocarpon mali on apple tree in Kyungpook, Korea. Agricultural Research Bulleti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6, 84-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P. G., and E. J. Lee, 2001: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3: photosynthetic responses to elevated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4), 238-243. (In Korean) 

  14. Kim, J. H., J. C. Kim, K. C. Ko, K. R. Kim, and J. C. Lee, 2006: General Pomology (4th ed.). Kim J. H. (Ed.) Hyangmoonsha Press, Seoul, 34-35 and 185-188. (In Korean) 

  15. Kim, S. O., U. Chung, S. H. Kim, I. M. Choi, and J. I. Yun, 2009: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162-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S. Y., I. H. Heo, and S. H. Lee, 2010: Impacts of temperature rising on changing of cultivation area of appl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3), 201-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akso, A. N., 1994: Apple. Handbook of Environmental Physiology of Fruit Crops. Vol. 1: Temperate Crops. B. Schaffer and P. C. Anderson (Eds.). CRC Press. Inc. Fla. 3-42. 

  18. Lakso, A. N., 2003: Water relations of apple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D. C. Ferree and I. J. Warrington (Ed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167-194. 

  19. Lakso, A. N., J. N. Wunsche, J. W. Palmer, and L. Corelli Grappadelli, 1999: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arbon balance of the apple tree. HortScience 34(6), 1040-1047. 

  20. Lee, H. C., 1999: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fruit coloration and color enhancement in Malus Domestica Borkh. cv. Fuji.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8-5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 W., D. H. Lee, K. H. Choi, and D. A. Kim, 2007: A report on current management of major apple pests based on census data from farmer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5(3), 196-2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K. C., H. S. Kim, H. S. Noh, J. W. Kim, and S. S. Han, 2012: Comparison of photosynthetic responses in Allium microdictyon Prokh and Allium ochotense Prokh from atmosphere-leaf vapor pressure defict (VPD).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3), 171-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Massonnet, C., E. Costes, S. Rambal, E. Dreyer, and J. L. Regnard, 2007: Stomatal regulation of photosynthesis in apple leaves: evidence for different water-use strategies between two cultivars. Annals of Botany 100, 1327-1356. 

  24. Oh, J. H., C. E. Park, J. W. Kim, and H. J. Seang, 1994: Impacts of climatic change in Korea due to $CO_2$ doubling (scenarios for the precipitation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0(3), 335-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Oh, S. D., J. M. Park, and D. G. Choi, 2004: Tree growth.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S. D. Oh (Eds.), Gilmogm Press, Seoul, Korea, 192-255. (In Korean) 

  26. Ortega-Farias, S., L. Flores, and L. Leon, 2002: Elaboration of a predictive table of apple diameter cv. Granny smith using growing degree days. Agricultura Tecnica 62(4), 624-632. (In Spanish with English abstract) 

  27. Palmer, J. W., J. P. Prive, and D. S. Tustin, 2003: Temperature.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D. C. Ferree and I. J. Warrington (Ed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217-236. 

  28. Park, K. J., J. C. Choi, B. C. Choi, and H. S. Chung, 2005: Variation of background-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 $CO_2$ ) in Korea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1(6), 955-9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Park, Y. M., H. G. Park, and B. S. Lim. 2011: Analysis of postharvest 1-MCP treatment and CA storage effects on quality changes of 'Fuji' apples during export simulatio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9(3), 224-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agong, D. H., S. J. Lee, S. G. Han, and T. M. Yoon, 2011a: The influence of materials for surface mulching on soil temperature and vegetative growth of apple nursery tre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1), 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1.13.1.001 

  31. Sagong, D. H., H. J. Kweon, Y. Y. Song, M. Y. Park, J. C. Nam, S. B. Kang, and S. G. Lee, 2011b: Influence of defoliation of marssonina blotch on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apple tre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9(6), 531-5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him, K. M., G. Y. Kim, H. C, Jeong, and J. T. Lee, 2008: Adaptation and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17(1), 78-81. (In Korean) 

  33. Shu, Z. H., C. C. Chu, L. J. Hwang, and C. S. Shieh, 2001: Light, temperature, and sucrose affect color, diameter, and soluble solids of disks of wax apple fruit skin. HortScience 36(2), 279-281. 

  34. Song, K. J., J. H. Hwang, and H. K. Yun, 2003: Changes of soluble sugar and starch concentrations in fruits of apple cultivars differing in maturity.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4(2), 207-2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Tomana, T., 1983: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on fruit maturing.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24(4), 276-2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Tomana, T., and H. Yamada, 1988: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fruit quality of apple cultivar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6(4), 391-39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37. Tromp, J., 2005: Metabolic processes. Fundamentals of Temperate Zone Tree Fruit Production. J. Tromp, J. T. Webster, and S. J. Wertheim (Eds.). Backhuys Publishers, Leiden, 39-54. 

  38. Warrington, I. J., T. A. Fulton, E. A. Halligan, and H. N. de Silva, 1999: Apple fruit growth and maturity are affected by early season temperatur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24(5), 468-477. 

  39. Yamada, H., K. Hamamoto, A. Sugiura, and T. Tomana, 1988: Effect of controlled fruit temperature on maturation of apple fruits.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7(2), 173-17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0. Yamada, H., H. Ohmura, C. Arai, and M. Terui, 1994: Effect of preharvest fruit temperature on ripening, sugar, and watercore occurrence in appl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19(6), 1208-1214. 

  41. Yoon, T. M., and D. H. Sagong, 2005: Growth control of 'Fuji' apple trees by use of prohexadione-calcium.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3(3), 269-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Yoon, T. M., and H. Richter, 1991: Stomatal conductance and leaf water parameters of apple, pear, sweet cherry and plum in an orchard. Gartenbauwissenschaft 56(2), 75-81. 

  43. Yoon T. M., H. Y. Park, and D. H. Sagong, 2005: Effect of root pruning 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3(3), 275-2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Yu, M. S., and Y. K, Jeong, 2005: Analysis of meteorological elements observed on AW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9(1), 143-1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Yun, S. H., 1998: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agricultural ecosystem, world grain demand-supply and measures for the 21st century,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and Korean Breeding Society Symposium for 50th Anniversary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313-3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6. Yun, J. I., 2002: Urbanization effect on the observed warming in Korea during the recent half centur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1), 58-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